장 건강에 탁월한 우리 쌀 유산발효물, 산업화 박차

  • 등록 2020.08.11 12:41:54
크게보기

음료, 제빵, 펫푸드,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우리 쌀에 토종유산균을 접목한 발효 소재인 쌀 유산발효물을 개발하고, 장 건강 개선효과 구명을 통해 기술이전과 산업화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 최근 장 건강이 대사성질환, 비만, 뇌건강 등의 질병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많아지면서 장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식품 소재 연구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이에 쌀 유산발효물의 소비자 선호도조사(Gang survey, FGI)를 실시하여 산업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장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했다.

 

 인체대장 모사 발효모델(in vitro gut model)로 쌀 유산발효물의 장건강에 대한 실험결과, 일반 유산균 발효물 대비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및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이 약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유용물질인 단쇄지방산4) 도 증가하여 장내 마이크로바이옴5) 이 개선되었다.

 -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는 14일간 쌀 유산발효물을 1g/kg을 먹였을 때 소장 내 면역 개선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했다.

 

 20~50대 성인 여성 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쌀 유산발효물의 소비자 선호도 조사결과, ‘장 건강 개선’ 부분에서 95%가 선호했다.

 - 쌀 유산발효물 제품이 출시되면 92%가 구입하겠다고 답했으며, 신뢰성과 필요성은 각각 90%, 97%로 조사됐다.

 

 현재 쌀 유산발효물 제조기술은 국내외 특허등록6) 이 완료됐으며, 음료, 제빵, 펫푸드, 화장품 소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산업화 되어 판매 중이거나 곧 출시를 앞두고 있다.

 - 쌀 유산발효물의 경제적 효과는 기술편익* 116억 원, 생산유발효과 652억 원, 고용창출 267명으로 평가됐다.

   * 본 기술이 산업체 적용되었을 때, 관련되는 전후방 사업의 동반성장 할 가능성을 평가

 

 농촌진흥청 수확후이용과 김진숙 과장은 “쌀 유산발효물은 산업적 소재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라며,

 - “앞으로 쌀을 비롯한 다양한 식량작물과 발효미생물을 접목한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이 장, 뇌, 비만 등의 건강산업소재로 활용돼 식량작물의 소비확대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1. 쌀 유산발효물 특성

 

2. 소비자 반응조사

 

함석구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