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품종 보급률 96.3%… 숫자로 보는 한국 딸기

  • 등록 2022.01.04 11:23:11
크게보기

- 국내 18품종 판매…수경재배 면적 10년 새 10배 이상 늘어 -

새콤달콤 향긋한 딸기의 계절이 돌아왔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이 겨울 대표 열매채소로 자리매김한 우리 딸기의 현주소를 숫자로 풀어봤다.

 

# 96.3%

 

국산 딸기의 품종 보급률이 2021년 기준 96.3%를 돌파했다.

 

 2005년 9.2%에 불과하던 국내 육성 딸기 품종 보급률은 2010년 61.1%로 외국 품종을 역전한 이후, 2015년 90%를 넘어 2021년 9월 역대 최고치인 96.3%를 기록했다.

 

# 18개

 

현재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국산 딸기는 18개 품종이다.

 

 점유율 1위(84.5%)는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에서 개발한 ‘설향’이다. ‘설향’은 당도 10.4브릭스(°Bx)에 과실이 크고 수량이 많다. 또, 흰가루병에 강하고 과즙이 풍부해 농민과 소비자 모두가 선호하는 품종이다.

 

 ‘설향’의 보급률이 압도적이지만 다른 품종의 도전도 거세다.

 

 - 점유율 2위는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금실’로 당도는 11.4브릭스이고, 열매가 단단해 내수와 수출이 가능한 품종으로 평가받으며 재배가 늘고 있다. 3위 품종은 담양군농업기술센터에서 육성한 ‘죽향’으로 당도는 12.8브릭스이고 품질이 좋다. 4위는 맛과 유통성이 우수해 수출용으로 재배되는‘매향’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사진채소-딸기-설향20140120 (1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256pixel, 세로 2832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4년 01월 20일 오후 4:40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NIKON D700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5.1 Windows F-스톱 : 18.0 노출 시간 : 1/160초 IOS 감도 : 2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35mm 초점 거리 : 38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딸기_금실_이미지.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72pixel, 세로 3648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0년 01월 21일 오후 13:56 카메라 제조 업체 : Canon 카메라 모델 : Canon EOS-1D X Mark II F-스톱 : 3.5 노출 시간 : 1/200초 IOS 감도 : 20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수동 프로그램 노출 : 메뉴얼 노출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켬 EXIF 버전 : 023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8e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0pixel, 세로 36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딸기 '매향'.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72pixel, 세로 170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07년 04월 27일 오후 5:22 카메라 제조 업체 : SONY 카메라 모델 : CD MAVICA F-스톱 : 2.8 노출 시간 : 10/2500초 IOS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EXIF 버전 : 0220

 

설향

금실

죽향

매향

 

# 1조 2,270억 원

 

 현재 딸기의 재배 면적은 5,683헥타르(ha), 생산액은 1조 2,270억 원에 이른다. 2005년 6,457억 원에 불과하던 우리나라 딸기 생산액은 15년 사이 1.9배 늘었다. 전체 채소 생산액(약 11조 2,000억 원)의 10.9%를 차지하는 금액으로 채소 작물 중 가장 규모가 크다.

 

 과거 토양에서 재배했던 딸기는 이제 수경재배로 전환되는 분위기이다. 10년 전 토양재배와 수경재배 비율은 97.4% 대 2.6%(184헥타르)였지만, 현재 토양재배는 64.5%, 수경재배는 35.5%(2,018헥타르)에 이른다.

 

# 4,823톤

 

 딸기는 수출 효자 품목이기도 하다. 2020년 기준 딸기 수출량은 4,823톤, 금액으로는 5,374만 7,000 달러(약 637억 9,700만 원)였다. 2005년 수출액이 440만 6,000 달러였던 것과 비교하면 15년 사이 약 12배 증가한 셈이다.

 

 주요 수출 품종은‘금실’,‘매향’ 등이고 주요 수출국은 홍콩,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이다.

 

 농촌진흥청이 지난해 12월 10일 온도, 습도를 비롯해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등 대기 환경을 조절하는 시에이(CA, Controlled Atmosphere) 컨테이너에 딸기 약 1,500kg을 실어 홍콩으로 시범 수출한 바 있다. 수송기간이 2주가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금실’,‘아리향’의 품질이 유지돼 현지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홍콩 수출업체(한인홍) 임재화 대표는 “CA 저장 기술 덕분에 우리 딸기의 우수한 품질을 홍콩시장에 알릴 수 있어 자부심을 느낀다.”라며 “한국의 농식품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CA 컨테이너 도입으로 우리 농산물의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2006년 딸기연구사업단을 출범해 전국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공동 연구를 통해 딸기 우량 품종 개발과 보급에 앞장서 왔다.

 

 딸기를 재배하는 김제금실작목반 류필영 씨는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하는 다양한 신품종이 개발돼 농가의 소득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 이우문 과장은 “당도와 경도가 우수하고 저온기 기형과 발생이 적은 신품종을 육성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농민들이 품질 좋은 딸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재배 지침을 개발해 보급함으로써 국산 딸기 신품종의 우수성을 알리겠다.”라고 밝혔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