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중심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 및 인공지능 대전환 추진을 위해 ’25년 총 6조 3,214억 원 투자

  • 등록 2025.01.02 12:15:05
크게보기

- 2025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 확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총 6조 3,214억 원*을 투자하는 ‘2025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25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 예산(9조 6,671억 원) 중 출연연, 직할연, 과기단체 지원사업을 제외한 금액

 

 ※ 종합시행계획 대상사업 예산 ’24년 5조 2,167억 원 대비 1조 1,047억 원 증가

 

  이번 종합시행계획은 2025년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의 전반적인 추진방향과 분야별 추진계획을 확정하기 위해 수립되었으며, 과학기술 분야 연구개발 예산 5조 58억 원 및 정보통신․방송(ICT) 분야 연구개발 예산 1조 3,156억 원을 대상으로 하며, 지원 예산은 전년대비 약 21.2% 증가*하였다.

 

  * (과학기술) ’24년 대비 9,548억 원, 23.6% 증가, (정보통신방송) ’24년 대비 1,499억 원, 12.9% 증가

 

 ※ 근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정보통신·방송 연구개발 관리규정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증가, 핵심·신흥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한 주요국 간의 경쟁 양상 증대, 기술사업화 파급력 증가 등과 같은 국내외 상황 속에서 현장과 함께하는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 및 인공지능 대전환 추진·기술사업화 기반 마련을 목표로 총 6조 3,214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주요 투자 분야는 다음과 같다.

 

 

 

과학기술 분야

 

  첫째, 핵심 원천기술개발로 국제 선도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분야에 투자를 강화한다. 3대 국면전환요소(게임체인저)*(생명과학, 인공지능 반도체, 양자) 분야의 기술을 육성하고 미래 유망원천기술**인 차세대 디스플레이, 맞춤형 정밀의료 등 융합연구에 집중 투자를 강화한다. 또한 국제 핵심 공급망 확보를 위한 나노·소재 연구개발을 고도화하고 극한 환경에서 활용되는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도 지원한다.

 

  * 첨단기술 적용 생명과학 생산시설(바이오파운드리)기반기술개발(‘25년 신규, 45억 원), 초고집적 반도체용 반데르발스(vdW)소재 및 공정기술개발(‘25년 신규, 40억 원), 양자과학기술국제 동반관계(글로벌파트너십)선도대학 지원(‘25년 신규, 47.6억원)

 ** 미래디스플레이전략연구실(‘25년, 37억 원),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25년, 291억 원)

 

  둘째, 연구자들이 안정적으로 연구하고 연구자 중심의 연구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야에 적극 투자한다. 기초연구는 혁신·도전적 풍토를 조성하고 국가·사회적 수요와 연계한 전략적 기초연구*를 추진하며, 특히 젊은 연구자**가 다양한 연구기회를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이공계 대학원생의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해 연구생활장려금***을 도입하고 해외인재 유치와 정착 지원을 통해 국내 인력수급도 지원할 계획이다.

 

  * 개척연구(‘25년 신규, 150억 원), 전략기초(‘25년 신규, 400억 원), 국가연구소(‘25년 신규, 100억 원)

 ** 씨앗연구(‘25년 신규, 400억 원), 신진연구자 기반(인프라) 구축(‘25년, 300억 원)

*** (지원 내용) ❶최저지급액 보장, ❷대학계정 적립‧운용 자금, ❸대학별 운영비 등 ‘25년, 600억 원 지원

 

  셋째, 임무중심의 기술지원과 연구성과 확산도 지원한다. 미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탄소중립, 기후변화, 원자력, 핵융합 등 분야에 중점 지원한다. 연구개발 성과를 기술사업화**로 연결하는 생태계도 조성할 계획이다. 중대형기술을 사업화하고 사업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신속한 기술 규모확장(스케일업)을 추진하는 등 사업화 전주기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국제 연구개발도 작년 신규로 개시한 전략기술 분야 연구를 본격 추진하고 우수성과 창출을 지원한다. 또한 유럽연합 주도 다자협력 프로그램에 우리 연구자의 참여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무탄소에너지핵심기술개발(‘25년 신규, 57억 원), 차세대 탄소 포집(CC)기술고도화(‘25년 신규, 42.75억 원), 미래 국제 원자력 전문인력양성(‘25년 신규, 20억 원), 미래방사선 강점기술 고도화(‘25년 신규, 30억 원)

 

 ** 대학연구소· 신생 기업(스타트업) 공동혁신 연구개발 지원(‘25년 신규, 75억 원), 차세대 유망 씨앗(Seed) 기술실용화 신속처리(패스트트랙)(‘25년, 123억 원)

 

 

정보통신기술 분야

 

  인공지능(AI) 디지털 대전환 가속화를 위해 인공지능, 인공지능 반도체, 양자 등 3대 국면전환요소(게임체인저) 기술 및 차세대통신,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에 집중 투자한다.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기반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기술, 범용인공지능(AGI) 탐구 과제, 인공지능 안전연구, 양자암호통신·양자 감지(센싱) 산업화 등 3대 국면전환요소(게임체인저)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민간 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연구에 필요한 컴퓨팅 기반(인프라)**을 지원한다.

 

  * 한국형-인터넷 기반 자원공유(클라우드) 기술(’25년 신규, 366.2억 원), 차세대도전형 인공지능 기술(’25년 신규, 60.5억 원), 인공지능 안전기술(’25년 신규, 79.5억 원), 양자센서상용화기술(’25년, 138.12억 원(신규 43.12억 원)) 등

 

 ** 인공지능 연구용컴퓨팅지원프로젝트(’25년 신규, 90억 원)

 

  또한, 차세대 네트워크(6세대 이동통신), 6세대 이통통신 표준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체계, 국가안보·국민안전을 위한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기반 혁신기술* 및 감각인지 한계 극복과 매체 절차 혁신 등 실감 작품(콘텐츠) 원천기술**도 확보한다.

 

  * 차세대네트워크(6세대 이동통신)산업기술(’25년, 869.58억 원(신규 103억 원)), 저궤도위성통신기술(’25년 신규, 203.54억 원), 정보보호핵심원천기술(’25년, 993.35억 원(신규 76억 원)) 등

 

 ** 실감 작품(콘텐츠)기술(’25년, 357.08억 원(신규 70억 원)), 프로그래머블매체(미디어)기술(’25년 신규, 30억) 등

 

  디지털 경제성장을 견인할 전략기술 분야 핵심인재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 분야 최고급 인재 및 산·학 연계·협력을 통한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 실전형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디지털 신산업을 견인할 고급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학․석사 연계 지원, 지역인재 양성 등*도 추진한다.

 

  * 인공지능 분야 유망주 연구지원금 지원(AI스타펠로우십지원)(’25년 60억 원, 신규 4개), 산학연계 인공지능반도체인재양성(’25년 20억 원, 신규 2개)

 

 ** 인공지능 대학원(’25년, 200억 원(10개)), 인공지능 융합대학원(’25년, 135억 원(9개)), 인공지능 반도체대학원(’25년, 90억 원(3개)), 대학정보통신기술 연구센터(’25년, 542.5억 원(64개)), 학·석사연계(’25년, 100억 원(44개)), 지역인재양성(’25년, 291억 원(15개)) 등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도개선 계획도 함께 발표하였다.

 

  과학기술 분야는 사업의 코드화를 통해 유형별 맞춤형 기획·평가·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전문성과 책무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 제도를 개선한다. 또한, 과제 관리자(PM)가 평가위원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고 상위평가(메타평가), 상피제도 원칙적 폐지를 지속적으로 시행한다. 사업 개편과 관련해서는 연구개발 예타폐지와 연계하여 연구개발 사업구조를 체계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보통신기술 분야는 현장이 요구하는 최적 수요를 발굴하여, 방향성이 명확한 수요자가 원하는 연구개발 기획을 추진하고, 전문성 기반의 신뢰받는 평가체계와 기술 공유·축적 및 연구자 간 시너지 강화를 위한 과제협의체, 기술·성과교류회의 운영 등 기술수요조사부터 기획·평가·관리와 성과환류에 이르는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과정 전주기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는 국제 연구개발 사업 증가에 따라 연구자들의 안정적 연구 수행을 위해 국제 연구개발 사업 성과 촉진 체계를 마련하였다. 범부처 국제 연구개발 협의체 구성을 통해 사업추진 현황을 체계적으로 점검·관리할 예정이다. 또한 국제 연구개발의 정량·정성적 성과를 수집·축적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우수성과를 선정하여 맞춤형 홍보와 후속연구를 지원한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사업·과제별 추진 일정을 1월 2일자로 공고하였으며, 1월 말 진행되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 설명회를 통해 구체적인 내용,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장승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