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장과 함께 만드는 정보통신기술 표준, 국내 시장 활성화부터 세계 진출까지 견인한다.

  • 등록 2025.04.08 13:34:15
크게보기

- 과기정통부, 민간 중심 정보통신기술 생태계 발전을 촉진하는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토론회(ICT 표준화포럼)’ 선정결과 발표
- 패스워드리스, 디지털신원기술 등 8개 신규 토론회(포럼) 포함, 31개 토론회(포럼) 선정·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회장 손승현, 이하 ‘TTA’)와 함께 국내 디지털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국제 표준을 민간이 주도적으로 개발·제정할 수 있도록 민간 중심의 표준화 협의체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토론회(ICT 표준화포럼)’ 31개를 선정(신규 토론회<포럼> 8개 포함)하였다고 발표했다.

 

 표준화 토론회(표준화 토론회)는 디지털 산업에서 필요한 표준을 적시 개발하여 국내 산업을 활성화하고, 나아가 국제 표준화를 통해 해외 진출 및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하는 목적을 가진 산·학·연 협의체이다. 표준화 토론회(표준화포럼)는 시장의 특성과 토론회(포럼)의 목적에 따라 육성 토론회(인큐베이팅 포럼), 표준개발·확산 토론회(포럼), 개척자 토론회(프론티어 포럼), 반영 토론회(미러 포럼) 4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육성 토론회

(인큐베이팅 포럼)

표준개발‧확산 토론회

(표준개발‧확산포럼)

개척자 토론회

(프론티어 포럼)

반영 토론회

(미러 포럼)

‣ 국내 지향+초기 시장

‣ 초기 시장 활성화 표준 개발 및 정부 정책 지원

‣ 국내 지향+성숙 시장

‣ 시장 수요 국가 표준 개발 및 제품 적용

‣ 세계 지향+초기 시장

‣ 국내 중심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신설

‣ 세계 지향+성숙 시장

‣ 주요 국제 사실표준화기구에 국내 표준 반영

 

 과기정통부는 25년간 지속적으로 민간 중심의 표준화 생태계를 지원해왔으며, ‘24년을 기준으로 산업계 934개, 학계 233개, 연구기관 257개 기관이 표준화 토론회(표준화포럼)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 결과 ’24년에는 국제 사실표준화기구에 기고 250건이 제안되어 153건이 반영되었고, 토론회(포럼) 표준 192건을 개발하였으며, 토론회(포럼) 표준이 적용된 제품 72건을 출시하는 성과를 창출했다.

 

 < 2024년 표준화토론회(표준화포럼) 회원사 및 국제 사실표준화 성과 요약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97pixel, 세로 412pixel

 

 특히, 작년에는 시각장애인 지원, 휠체어 모드 제공 등 사용자 환경(UI)을 표준화하여 다양한 장애 유형에 대응할 수 있는 ‘무장벽(배리어 프리, barrier-free)*’ 무인주문기(키오스크)를 보급·확산**하고, 사물인터넷 기반 도심 홍수 계측장비로 수집하는 데이터와 한강홍수통제소 체계 간 상호 운용 체계를 표준화하여 실시간 도시 침수 점검모니터링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등 성과를 창출하기도 했다.

 

   *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들이 사회 생활에 지장이 되는 물리적 장애물이나 심리적 장벽을 제거하는 활동

   ** 투썸플레이스, 맥도날드, 이마트, 노브랜드, 트레이더스 등 적용

 

  올해는 국내 기업의 구체적 표준화 수요에 대응함으로써 디지털 산업을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표준화포럼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지난 2월부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를 통해 범부처·민간 수요를 파악하여 표준화 토론회(표준화포럼) 신청을 받았으며, 이들의 활동 계획을 구체적 수요 존재 여부, 시장 파급효과, 표준화 수행능력, 결과의 활용성 등을 중심으로 심사·선정하였다.

 

 그 결과 올해는 신규 토론회(포럼) 8개를 포함하여 총 31개 토론회(포럼)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신규 토론회(포럼)는 디지털 신원분야에서 한국이 주도하는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신설을 목표로 하는 ▲‘무비밀번호 엽합 토론회(패스워드리스 얼라이언스 포럼)’과, ▲‘차세대 근거리 무선통신포럼’, ▲‘DIF*미러포럼’ 등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 대응 토론회(포럼), ▲‘가상융합 생성기술 표준화 토론회(포럼)’, ▲‘디지털융합 한국형 환경・사회・지배구조K-ESG혁신 표준화 토론회(포럼)’, ▲‘지능형 이동수단 보안 표준화 토론회(스마트 모빌리티 보안 표준화포럼)’, ▲‘도심버스(시티버스) 표준화 토론회(포럼)’, ▲‘지능형콘텐츠 보안개인정보보호기술 토론회(포럼)’ 등 표준개발·확산 토론회(포럼)가  선정되었다.

 

   * Decentralized Identity Foundation : 차세대 디지털 신원 증명을 위한 분산 ID의 활용 및 채택 가속화를 위해 2017년에 설립된 리눅스 파운데이션 과제 조직

  

< 2025년도 신규 선정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토론회(포럼)(8개) 요약 >

 

포럼 구분

정보통신기술 표준화 토론회(포럼)명

주요활동

대응기구

개척자 토론회

(프론티어포럼)

패스워드리스
얼라이언스포럼

패스워드리스 표준(ITU-T SG17, X.1280) 기술 보급·확산

-

반영 토론회

(미러포럼)

차세대근거리
무선통신 토론회(포럼)

Wi-Fi 8 등 무선통신 기술 표준 개발 및 IEEE 802 대응

전기전자공학자협회 8022

IEEE 802

DIF미러 토론회(포럼)

디지털 신원관리 등 자기주권 데이터 기술 표준화 및 DIF 대응

DIF

표준개발·확산토론회

(표준개발·확산포럼)

가상융합생성
기술표준화토론회(포럼)

가상융합산업 진흥법(’24년 시행)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확장현실/가상현실 등 가상융합세계(메타버스) 관련 표준 개발 및 산업 활성화

전기전자공학자협회 3079

IEEE 3079

디지털융합 한국형 환경사회지배구조(K-ESG)
혁신표준화 토론회(포럼)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공정 해법(솔루션) 표준 개발 및 산업 활성화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지능형이동수단

(스마트모빌리티)
보안표준화토론회(포럼)

자율자동차, 진화된 항공 이동수단(AAM*) 등 첨단 이동수단(모빌리티) 보안 표준개발 및 산업 활성화

* Advanced Air Mobility

전기전자공학자협회

1609,

국제전기통신연합

정보오안 연구반

(IEEE 1609, ITU-T SG17)

도심버스표준화토론회

(시티버스표준화포럼)

가상모형(디지털 트윈) 기반 지눙형 도시(스마트시티)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표준 개발 및 산업 활성화

oneM2M,

국제전기통신연합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표준화 연구반

(ITU-T SG20)

지능형콘텐츠보안
개인정보보호기술포럼

지능형 콘텐츠 서비스 보안 표준 개발 및 산업 활성화

전기전자공학자협회 3079

IEEE 3079,
JTC 1 SC27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정보통신기술 분야에서 표준화는 연구개발 성과를 시장으로 전달하는 핵심 연결 고리인 만큼, 민간의 적극적 참여를 뒷받침할 표준화 생태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 표준화를 통해 파급력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간 중심의 표준화 토론회(표준화포럼)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장승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