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19년 사물인터넷 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 등록 2020.02.26 13:50:45
크게보기

- ’19년 사물인터넷 매출액은 전년대비 16.2% 증가하여 10조원 돌파

- ’20년 고용계획은 약 4,300명이며, 개발부문에서 2,900여명 필요 전망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2019년도 국내사물인터넷 산업 현황을 담은 ’2019년도 사물인터넷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본 조사는 2014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통계조사로 한국표준산업분류(10차)와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라 사물인터넷 사업 영위가 확인된 2,313개사(’18년 2,204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중에서 601개사가 조사에 응답했다.

 

  사업 분야는 4개(서비스,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서비스 분야의 사업체(1,226개사, 53%)가 가장 많았다.

 

 

< 연도별 사물인터넷 사업체 수 현황>

< 사업 분야별 사물인터넷 사업체 수 >

[단위 : 개사]

[단위 : 개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72pixel, 세로 16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사업체 수 현황_분야별.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49pixel, 세로 840pixel

 

 2019년 사물인터넷 매출액(10조 9,379억원)은 ’18년(9조 4,149억원) 대비 16.2% 증가하여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섰다.

 

 < 연도별 사물인터넷 매출액 현황 >

 

[단위 : 백만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ec0005.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08pixel, 세로 492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de804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3pixel, 세로 45pixel

 

  전체 매출액에서 내수액(9조 7,340억원, 89.0%)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출액의 경우 매년 빠른 성장 추세(연평균(2015년~2019년) 성장률 46.3%)를 보이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 신기술 개발과 확산을 통해 앞으로도 이러한 높은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 분야별로는 매출액은 제품기기(4조 4,796억원, 41.0%)분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전년대비 매출액 증가율은 네트워크(1조 8,815억원, 25.2%) 분야가 가장 높았고 플랫폼 분야(1조 7,092억원, 19.8%)가 뒤를 이었다.

 

  2019년 초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되고 사물인터넷(IoT)과 연계한 다양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네트워크 매출액 신장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 사물인터넷 사업 분야별 매출액 현황 및 전년 대비 증가율 >

[단위 : 백만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ec000a.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83pixel, 세로 457pixel

 

  서비스 분야는 건설·시설물관리/안전/환경(1조 928억원, 38.1%) 분야가 시설물 관리 등을 통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구현 확산으로 인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2019년 사물인터넷 서비스 분야별 매출액 현황 >

 

[단위 : 백만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ec0007.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54pixel, 세로 875pixel

 

 국내 사물인터넷 관련 인력은 77,734명으로 ’18년 대비 3,793명이 증가하였으며, ’20년 고용계획상 필요인력은 약 4,300명으로 나타나 사물인터넷 분야 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19년 사물인터넷 인력현황 >

< 2020년 고용계획상 필요인력 현황 >

[단위 : 명]

[단위 : 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인력 현황.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29pixel, 세로 7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eec000e.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5pixel, 세로 407pixel

 

 실태조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정보통신산업진흥원(www.nipa.kr)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

 

장승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