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 69.9%, 전년대비 1.0%p 향상

  • 등록 2020.03.06 13:18:41
크게보기

-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는 장애인․고령층․농어민․저소득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에 관한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정보취약계층의 PC․모바일 등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인터넷 이용 등 디지털정보에의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15,0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 디지털정보화수준(종합) = 디지털 접근수준 + 디지털 역량수준 + 디지털 활용수준

  디지털 접근수준 :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 보유, 인터넷 접근 가능 정도

  디지털 역량수준 :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인터넷의 기본적인 이용 능력

  디지털 활용수준 :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인터넷의 양적․질적 활용정도

 

 ’19년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 대비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69.9%로 전년(68.9%)대비 1.0%p 향상되었다.

 

  조사 부문별로는,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은 91.7%, 역량은 60.2%, 활용은 68.8% 수준으로 매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 특히, 역량과 활용 수준이 전년(각 59.1%, 67.7%)대비 1.1%p 상승하였다.

 

  < 조사부문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추이 >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24pixel, 세로 266pixel

     ※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정보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의미

 

 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 대비 저소득층이 87.8%, 장애인이 75.2%, 농어민이 70.6%, 고령층이 64.3%로 나타났다.

 

  < 정보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 추이 >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age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24pixel, 세로 279pixel

     ※ 일반국민의 정보화수준을 100으로 할 때, 일반국민 대비 정보취약계층의 정보화수준을 의미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정보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라고 평가하였으나,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과 무인정보단말(키오스크)과 같은 무인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디지털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라고 말하면서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정보 취약계층이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디지털 이용역량 강화, 차별 없는 디지털 환경 조성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본 조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및 한국정보화진흥원(www.nia.or.kr) 홈페이지를 통해 내려받을 수 있다.

장승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