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버섯 절대 먹지 마세요!

  • 등록 2020.10.22 14:37:22
크게보기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가을철 산행 등 야외활동 시 야생 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 동안(’15~’19년, 합계) 자연독*으로 식중독 건수는 총 6건이며, 총 41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독 : 독버섯, 독초(나물), 복어 등 자연적으로 생성된 독소를 지닌 동식물 섭취 시 발생

 

 특히, 사계절 중 가을철에 자연독으로 인한 환자가 유난히 많았다.

 

전체 6건 중 4건이 가을에 발생했으며, 전체 환자 41명 중 34명 (82.9%)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생 건수 대비 환자 수를 살펴보면 6.8명(41명/6건)으로, 1건의 사고로 7명 정도의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자연독 사고는 혼자 먹고 중독되기보다는 가족이나 지인과 나누어 먹다가 여럿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위험하다.

 

                                         <최근 5년(‘15~’19년) 동안 자연독에 의한 중독 현황>

 

 국가표준 버섯목록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123종의 버섯이 자라고 있고, 이 중 먹을 수 있는 것은 대략 426종(20%) 정도이다. 나머지 80%(1,697종)는 독이 있거나 식용 불명으로 알려져 있다.

 

 식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426종의 버섯도 주변 환경에 따라 버섯의 모양이나 색 등이 조금씩 달라져 독버섯과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

 

                                     <확실하지 않은 야생 버섯을 먹는 것은 무모!>

 

 전문가는 야생 버섯에 대한 잘못된 민간 속설만 믿고 버섯을 먹는 것은 자칫 중독 등으로 위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야생에서 자라는 버섯은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 색이 화려하지 않은 버섯은 먹어도 된다. (×)

▶ 세로로 잘 찢어지는 버섯은 모두 먹을 수 있다. (×)

▶ 은 제품을 검게 변색시키지 않는 버섯 요리에는 독이 없다. (×)

▶ 벌레나 달팽이가 먹은 흔적이 있는 버섯은 먹을 수 있다. (×)

▶ 독버섯은 버섯 대에 띠가 없다. (×)

▶ 독버섯이라도 가지나 들기름과 함께 요리하면 독성이 없어진다. (×)

 

“산과 들에서 자라는 야생 버섯은 전문가도 독이 든 것과 식용의 구분이 어려우니 야외활동 중 버섯을 발견하면 눈으로만 보아야 하며, 먹는 것은 매우 위험하니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독버섯 구분에 대한 민간 속설도 잘못된 것이 많은 만큼 야생 버섯은 무조건 먹지 않아야 한다.”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임영운 교수-

 

 한편, 산에서 버섯 등 임산물을 함부로 채취하는 것은 불법으로, 관련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 (국유림)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3조(벌칙) 산림에서 그 산물을 절취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국립공원)자연공원법 제82조(벌칙) 야생 식물을 채취하는 행위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김종한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산행 등 야외활동 시 야생 버섯을 따 먹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야생 버섯은 전문가도 먹을 수 있는지 구분하기 어렵다.”며 “농가에서 재배된 안전한 버섯 이외에는 절대 먹지 말아달라.”라고 강조했다.

장지윤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