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바다에 살고있는 해양수산생물은 얼마나 될까?

  • 등록 2021.04.02 11:43:36
크게보기

해수부, 2021년 국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 발간·공개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해양수산생물 14,507종의 정보를 담은 ‘2021년 국가 해양수산생물종(Species) 목록집 4 1() 발간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다양한 해양수산생물은 나고야의정서* 발효 등으로 인해 미래가치가 높아지고 국가 자산으로서 폭넓게 인식되면서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국가 간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소유권 분쟁 발생 시 국내 자원임을 주장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등 해양수산생물에 대한 자원 주권을 강화하고 체계적으관리하기 위해 국내 서식 기록이 있는 종에 대한 목록집(4,644)지난 2016년에 처음으로 발간하였다.

 

   * 나고야의정서(2017. 8. 국내 발효) : 생물자원에 접근하는 경우 자원 보유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자원 이용에 따른 이익은 자원 제공국과 공유해야 함을 규정

 

  이후 매년 우리나라 해양수산생물의 서식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들을 가로 확보하여 종 목록집을 발간해왔으며, 올해 목록집에는 분류군별로 실물을 보존하고 있는 8,660종을 포함하여 총 14,507종에 대한 학명과 국명을 수록하였다. 해양수산생물 실물은 해양수산생명자원 책임기관*  탁등록보존기관**에서 보존, 분양 등 목적에 따라 관리이용하고 있다.

 

   * 국립수산과학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 서울대, 부경대 등 21개 기관

 

  올해 목록집에 등록된 해양수산생물 중 해양절지동물을 포함한 양무척추동물이 5,815(40.1%)으로 가장 많았고, 해양미생물(3,005, 20.7%), 해양원생생물(2,990, 20.6%), 해양척추동물(1458, 10%), 해양식물(1,071, 7.4%), 담수생물(168, 1.2%)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특히, 이번 목록집에는 전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극피동물* 굽은애기불가사리(Henricia epiphysialis Ubagan, Lee, Kim & Shin, 2020) 새로운 생물 172종이 실렸고, 작년에 한글날을 맞아 진행한 국민 선호도 국명 조사를 통해 선정된 수수께끼괴물노벌레(Monstrillopsis paradoxa Jeon, Lee, Soh & Eyun, 2020) 31종의 새로운 국명도 표기되었다. 

 

   * 바닷속에 서식하며 가시가 있는 외피를 가지고 있는 생물

 

  해양생물의 분류군에 따라 총 6*으로 나누어져 있는 종 목록집은 해양수산생물과 관련이 있는 50여 개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며, 국민 누구나 우리나라 해양수산생물자원의 목록을 볼 수 있도록 해양생명자원통합정보시스템(www.mbris.kr)을 통해 자료를 제공한다.

 

   * ① 해양척추동물, ② 해양무척추동물, ③ 해양식물, ④ 해양미생물, ⑤ 해양원생생물, ⑥ 담수생물

 

  임영훈 해양수산부 해양수산생명자원과장은 해양수산생물종 목록집은 우리의 해양수산생명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근거자료인 만큼, 앞으로 과학적인 근거를 확보하고 해양수산생물을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승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