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 정주여건 개선 등 위해 24개 지구 공유수면 매립 추진

  • 등록 2021.08.31 08:20:10
크게보기

              - 해수부, 제4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2021~2030) 수립,발표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중앙연안관리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제4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2021~2030)’을 확정하고, 8월 31일(화)자로 고시한다고 밝혔다.

  * 바다·바닷가, 하천·호소(내륙의 호수와 늪), 구거(인공적인 수로나 부지와 소규모 수로 부지), 그 밖에 공공용으로 사용되는 수면 또는 수류로서 국유(國有)인 것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은 공유수면의 무분별한 난개발을 막고 공유수면의 매립을 합리적으로 이용,관리하기 위하여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이하 공유수면법) 제22조에 따라 10년마다 매립예정지별 매립계획을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이번 제4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에서는 지난해 지자체, 민간 등에서 신청한 31개 지구(8.19㎢)를 대상으로 매립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관계기관 협의 및 지자체의 의견 수렴, 중앙연안관리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신청면적의 12.3% 수준인 24개 지구(1.01㎢)의 매립예정지별 매립계획을 반영하였다.

  * 중안연안관리심의회 : 위원장(해양수산부 차관), 위원(정부 7명, 민간 12명)

 

  매립목적 유형별로는 어촌뉴딜300사업과 연계한 정주여건 개선 및 친수공간 조성을 위한 어항시설이 17개소, 공공시설이 3개소, 산업단지 등 그 밖의 시설용지가 4개소이다. 이는 대규모 공유수면 매립 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어촌지역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어항시설 확충 등 소규모 공공사업 위주로 최소한의 매립이 추진되는 최근의 추세가 반영된 것이다.

 

  앞으로, 매립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자는 공유수면법에 따라 정해진 매립계획에 적합한 범위 안에서 면허를 취득하여야 하고, 5년 이내에 매립면허를 받지 못할 경우 매립계획은 해제된다.
 
  해양수산부는 이번 제4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에 반영된 24개 매립지구에 대해 향후 매립면허와 매립실시계획을 승인할 때, 면허관청과 협력하여 공유수면 매립이 해양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환경영향평가와 해역이용 협의 등을 철저히 실시할 계획이며, 전문가 및 이해관계자의 의견도 적극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윤현수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이번에 수립된 제4차 공유수면 매립 기본계획에 따라 차질 없이 후속조치를 시행하여 현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세대도 공유수면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31개 지구(8.19㎢) 중 24개 지구 1.01㎢(12.3%) 매립계획 반영

매립예정 지구명

위치

신청인

매립목적

매립면적()

비 고

신청

반영

31개 신청 지구 중 24개 지구 반영

8,186,223

1,006,236

7,179,987(87.7%)

보덕포

부산 사하구

사하구청장

공공시설

22,070

12,696

친수공간 및 주차장 확보

대변항

부산 기장군

부산항건설사무소장

어항시설

4,070

4,070

소형선 부두 및 접안시설 확충

광명항

인천 중 구

인천광역시장

어항시설

8,000

4,000

소형선 부두 등 어항시설 확충

소래포구항

인천 남동구

경기 시흥시

인천지방해양

수산청장

어항시설

44,772

39,936

소형선 부두 및 접안시설 확충

후포항

인천 강화군

인천광역시장

어항시설

2,400

1,995

어촌뉴딜 연계 어항시설

소연평항

인천 옹진군

인천광역시장

어항시설

3,630

2,900

어항편의시설 등 확충

창후항

인천 강화군

인천광역시장

어항시설

1,700

1,700

어촌뉴딜 연계 어항시설

오이도항

경기 시흥시

경기도지사

어항시설

9,673

6,245

야적장 등 기능시설 확장

전곡항

경기 화성시

화성시장

그밖의시설

(준설토투기장)

61,270

61,270

준설토 투기장 조성

신안산선

경기 안산시

넥스트레인

공공시설

2,000

2,000

신안산선 복선전철

장호항

강원 삼척시

동해지방해양

수산청장

어항시설

6,400

6,400

친수레저 및 편의시설 확충

임원항

강원 삼척시

동해지방해양

수산청장

어항시설

3,530

3,530

소형선 부두 확충

후진항

강원 삼척시

삼척시장

어항시설

4,312

3,607

어촌뉴딜 연계 어항시설

현대대죽2

충남 서산시

현대오일뱅크

그밖의시설

(일반산업단지)

763,602

652,724

산단 연계 산업용지

창리항

충남 서산시

충청남도지사

어항시설

11,000

6,386

어촌뉴딜 연계 어항시설

무창포항

충남 보령시

대산지방해양

수산청장

어항시설

27,973

25,985

다기능 어항 조성

죽도항

충남 보령시

보령시장

어항시설

8,664

5,147

소형선 부두 등 어항시설 확충

장고항~

용무치

충남 당진시

당진시장

그밖의시설(농어촌도로)

3,951

3,951

어촌뉴딜 연계 도로 확충

송림항

충남 서천군

서천군수

어항시설

4,010

4,010

소형선 부두 확충

낭도항

전남 여수시

여수지방해양

수산청장

어항시설

20,463

9,789

진입도로 등 확충

세포항

전남 여수시

전라남도지사

어항시설

9,600

6,362

소형선 부두 등 어항시설 확충

삼화

전남 광양시

광양시장

그밖의시설

(친수해변 테마공간 조성)

15,000

15,000

친수공원 확장

오천항

전남 고흥군

여수지방해양

수산청장

어항시설

37,073

37,073

소형선 부두 확충

법성

전남 영광군

영광군수

공공시설

93,000

89,460

재해위험지구 정비

 

장승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