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공개

  • 등록 2021.10.29 09:17:08
크게보기

- 1명 이상 사망사고 발생 발주청 13개소, 시·군·구 32개소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올해 3분기 동안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 및 관련 하도급사, 발주청, 지자체 명단을 공개하였다.

 

  ’19년 5월부터 주요 건설 주체들의 안전에 대한 책임있고 적극적인 역할을 유도하기 위해 명단을 공개하고 있으며, 지난 2분기부터 대형 건설사뿐만 아니라 사망사고가 발생한 공종의 하도급사도 공개하고 있다.

 

 ’21년 3분기 중 사망사고가 발생한 100대 건설사는 총 8개사이며, 총 1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 중 가장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대형 건설사는「한양」으로 해당기간 중 공사현장 3개소에서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어 「현대건설」과 「계룡건설산업」에서 각 2명, 「포스코건설」, 「현대엔지니어링」, 「금강주택」, 「서한」, 「대보건설 」등 5개 건설사에서 각 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공종의 하도급사는 ㈜성원엔지니어링, 덕준건설(주), 부강티엔씨, 서원토건, 우령건설(주), 규람타워렌탈, 삼표이앤씨(주), ㈜신건설, 중원전력 등 9개사이다.

 

[표1] 상위 100대 건설사(하도급사 포함) 사망사고 발생현황(`21.7∼9월)

연번

시공사

시평

순위

합계

(명)

사망자

(명)

사고일

공 사 명

원도급

하도급

1

한양

㈜성원

엔지니어링

38

3

1

7.4

솔라시도 G1골프장 부대시설 신축공사

-

1

8.5

광양항 묘도 준설토 매립장 항만재개발사업

덕준건설(주)

1

8.7

천안 풍세 공동주택 신축공사

2

현대

건설(주)

부강티엔씨

2

2

1

8.5

힐스테이트 라피아노 삼송 3단지 신축공사

-

1

9.6

금정역 보령제약부지 복합개발사업

3

계룡

건설산업

서원토건

18

2

1

8.6

한국은행 증축공사

우령건설(주)

1

9.14

시흥은계 공공주택지구 조성공사

4

포스코건설

규람타워렌탈

4

1

1

8.9

인천 청천1구역 재개발사업

5

현대엔지니어링

삼표이앤씨(주)

6

1

1

8.26

오산역 지산/물류 복합시설 신축사업

6

금강주택

㈜신건설

36

1

1

7.22

양주 회천 금강펜테리움 (A-22BL)

7

서한

중원전력(주)

48

1

1

8.7

고양삼송 A24BL(임대) 민간참여 공공주택 건설사업

8

대보건설

-

49

1

1

9.17

화성병점 A-1BL 행복주택 건설공사 1공구

 

‘21년 3분기 중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발주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로 4명이 사망하였고, 이어 12개 기관에서 각 1명이 사망하였다.

 

[표2] 발주청별 사망사고 발생현황(`21.7~9월)

발주청

합계

(명)

사망자

(명)

사고일

공 사 명

한국토지주택공사

4

1

7.9

광주전남  빛그린 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 건설공사

1

7.22

서울수서역세권 A1BL 및 서울금천 행복주택 건설공사

1

9.14

시흥은계 공공주택지구 조성공사

1

9.17

화성병점 A-1BL 행복주택 건설공사 1공구

 

※ (1인 사망 발주청, 총 12개소) 한국농어촌공사 경주지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강수력본부, 경기북부시설단, 천안시청, 경북도청, 국립공원공단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 상주시청, 의정부시청, 서울교통공사, 한국전력공사, 장수군청, 육군제2967부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인·허가 기관은 경기도이며,  양주시․고양시․안성시․포천시․양평군․오산시․화성시․군포시․이천시․시흥시․하남시에서 각 1명씩 총 11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서울특별시에서 5명, 부산광역시 3명, 인천광역시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표3] 인·허가 기관 별 사망사고 발생현황 (인․허가한 민간공사 기준)  

연번

지역

사망자

인․허가기관 현황

1

경 기 도

11

양주시․고양시․안성시․포천시․양평군․오산시․화성시․군포시․이천시․시흥시․하남시(각 1명)

2

서울특별시

5

중구(2명), 서초구․성동구․강남구(각 1명)

3

부산광역시

3

부산지방고용노동청양산지청․남구․서구(각 1명)

4

인천광역시

3

계양구․서구․부평구(각 1명)

5

충청북도

2

진천군․충주시

6

충청남도

2

천안시․홍성군(각 1명)

7

전라남도

2

여수지방해양수산청․해남군

8

경상남도

2

김해시․밀양시(각 1명)

 

 ※ (1인 사망 지자체, 총 3개소) 광주광역시 남구, 전북도 정읍시, 제주도 제주시

 

 국토교통부는 사망사고가 발생한 8개 대형건설사 및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서는 12월까지 특별점검을 실시하여 안전수칙 준수여부, 품질관리 적정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지도할 계획이다.

 

  한편, ´21년 2분기 사망사고 발생 대형건설사의 127개 건설현장과 관련 하도급사가 참여 중인 건설현장 16개에 대해서 `21년 7월부터 9월까지 특별·불시점검을 실시하였다.

 

  - 점검결과, 총 178건의 부적정 사례가 적발되었으며, 콘크리트 시험을 규정대로 실시하지 않는 등 품질관리를 부적합하게 수행한 현장에 대해서는 지방국토관리청에서 이의신청 등의 행정절차를 거친 후 벌점 및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이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