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로 맞춤형 주거복지 시작 24시간 고령자 스마트 돌봄 시범사업 착수

  • 등록 2021.11.05 11:01:00
크게보기

- 고령자복지주택 2,260호 공급 완료, ‘25년까지 1만호 공급 계획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김현준)는 광주 쌍촌 영구임대주택에서 고령자 맞춤형 스마트돌봄 시범사업을 착수한다고 밝혔다.

 

  입주한 지 30년이 경과하여 노후된 광주 쌍촌 영구임대주택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고령자, 장애인을 대상으로 6가지* 24시간 스마트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 ① 24시간 응급관제, ② 응급벨 대응, ③ 외출 시 위치 확인,
④ 쌍방향 의사소통, ⑤ 개인맞춤형 건강 관리, ⑥ 일상생활 패턴 예측․대응

 

 이를 통해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활동, 건강, 수면 등 개인별 생활패턴 데이터를 분석하여 위기상황에 사전 대응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스마트돌봄 구성도(최종).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77pixel, 세로 860pixel

   ① 24시간 응급 관제  ② 응급벨 대응  ③ 외출 시 위치 확인

   ④ 쌍방향 의사소통  ⑤ 개인맞춤형 관리  ⑥ 일상생활 패턴 예측 및 대응

 

 

 이번 사업을 위해 국토부는 영구임대주택 시설에 대한 총괄지원, LH는 스마트돌봄 플랫폼 설치 예산을 지원하였고, 광주서구청은 돌봄서비스 운영을 담당하였고, 사단법인 복지마을은 스마트돌봄 기기를 개발, 설치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f98ba8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12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96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960pixel

 △ 세대 스마트돌봄 기기 설치

 △ 입주민 응급벨 사용

 

이 밖에도 국토부와 LH는 고령자 주거복지를 위해 임대주택과  돌봄을 함께 제공하는 ‘고령자복지주택’을 지자체 공모를 통해 대상지를 선정하여, ‘21년 현재 2,260호 공급 완료하였고, ’25년까지 1만호 공급할 계획이다.

 

 고령자복지주택 내 공공임대주택에는 건설비의 80%*가 지원되고, 문턱제거, 안전손잡이 등의 무장애(barrier-free)설계가 적용되어 어르신들이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된다.  

 

   * (재정지원 비율) 출자 39%, 융자 41%, 지원단가 8,426천원/3.3m2(‘21년 기준)

 

 공공임대주택과 함께 조성되는 사회복지시설에는 개소당 27.3억원의 건설비가 지원되고, 건강·여가시설 등을 갖춘 복지관, 보건소 등이 유치되어 지역 내 고령자복지거점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다.

 

‘19년부터 운영 중인 장성 영천 고령자복지주택은 150호의 고령자를 위한 임대주택과 1,080㎡의 복지시설이 함께 공급되어, 입주자뿐만 아니라 지역 어르신 전체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대하여 노인주거·복지·보건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평균 하루 200명(코로나 방역지침에 따라 거리두기 실시)이 경로식당, 인지향상프로그램, 원예교실 등 복지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9pixel, 세로 61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KakaoTalk_20210507_153508954_0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00pixel, 세로 30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1년 05월 07일 오후 12:15

 △ 장성 영천, 고령자복지주택 전경

 △ 장성 영천, 경로식당 무료급식 사업

 

임대주택 190호와 1,700㎡의 사회복지시설이 복합 조성된 시흥은계 고령자복지주택은 단지 내 건강한 노인이 거동불편·경증치매 등 취약한 노인 가정을 방문하여 말벗, 취미생활 공유하는 노노케어(老老CARE) 사업 등을 실시하여, 가족들의 돌봄 부담을 줄이고 어르신들의 생활 편의를 제공하며, 사회참여 기회를 높이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층별매니저활동 (1).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18pixel, 세로 498pixel 프로그램 이름 : PhotoScape

 △ 시흥은계, 고령자복지주택 전경

 △ 시흥은계, 노노케어 활동

 

 ‘16년 개관한 성남 위례 고령자복지주택은 지역 내 유일한 복지관으로 고령자를 위한 급식지원, 정서상담 등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노인 인지건강 강화를 위해 ICT기반 스마트 보드게임과 물리치료실, 건강상담실 등도 운영 중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a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0pixel, 세로 1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a821a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5pixel, 세로 351pixel

 

 △ 성남 위례 복지시설 내 물리치료실

 △ 성남 위례, 스마트폰 활용 교육

 

국토교통부 김홍목 주거복지정책관은 “이번 스마트돌봄 시범사업은 임대주택에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덧입혀 맞춤형 주거복지서비스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더 나아가서 이번 사업을 통해 축적된 일상생활 패턴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평면 설계, 단지 배치, 복지서비스, 시설개선 등에 적용하여 임대주택을 질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