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빈집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작 10건 선정

  • 등록 2021.12.01 10:08:56
크게보기

- 총 135건 접수…아동·청년지원시설·커뮤니티시설·전시관 등 선정 -

“빈집을 철거하여 우리 동네에 부족했던 아동 돌봄센터를 만들고, 다양한 교육, 복지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가 주최한 「제1회 빈집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경기주택도시공사의 ‘지역 맞춤형 아동 돌봄센터’ 설립 사례가 대상 수상(국토교통부 장관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번 공모전*은 방치된 빈집을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자산으로 활용하고, 빈집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취하기 위해 올해 처음 개최되었으며, 3개 부문(아이디어, 설계, 활용사례 영상)에 135건의 출품작이 접수되는 등 열띤 호응이 있었다.

 

   * (접수) ‘21.9.17~11.12 / (주최) 국토교통부 (주관·후원) 한국부동산원/ LX, AURI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에서 서류·현장평가를 통해 창의성, 실현가능성, 확장성, 지속가능성 등을 심사하여, 대상 1건, 최우수상 3건, 우수상 6건 등 총 10건의 우수작을 선정하였다.

 

 최우수상에는 △커뮤니티 센터, △청소년 문화의 집, △보육원 독립청년 대상 주거지원 시설 등 3건, 우수상에는 △골목 안심귀가시설 △음악회 및 전시회 공간 △반려동물을 위한 네트워킹 공간으로 활용하는 아이디어, 설계, 영상 등 총 6건이 선정되었다. 

 

 

【 「빈집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작 】

 

 

 

 

대상

(1점)

설계형

지역맞춤형 아동 돌봄센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121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6pixel, 세로 151pixel

 

 ㅇ(수상자) 경기주택도시공사

 ㅇ(주요내용)

 

  -  단독주택 빈집 3호를 철거하고, 다함께
아동 돌봄센터, 마을공유 공부방 조성

 

  -  동두천시의 아동복지 지원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지원 예정

 

 

최우수상

(3점)

활용사례형

자산골 마당깊은 집(김천시 자산골 커뮤니티센터)

 ㅇ(수상자) 김천시

 ㅇ(주요내용) 오래된 단층 목조주택 빈집을 리모델링, 증축하여 지역 주민의 문화센터로 탈바꿈(문화자산 재활용)

설계형

청소년 문화의 집

 ㅇ(수상자) 석수빈 외 2명

 ㅇ(주요내용) 초등학교 인근 빈집을 무인 문구점(1층), 문화센터(2층)가 복합된 공간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체험 지원

아이디어형

보육원 독립 청년 대상 주거지원

 ㅇ(수상자) 이동기

 ㅇ(주요내용) 보육원, 자립생활관을 독립하는 청년의 안정적 주거지원을 위해 도심지역 빈집을 리모델링하여 장기임대(10년) 할 수 있도록 지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2pixel, 세로 11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5pixel, 세로 11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4pixel, 세로 113pixel

 

 

 

우수상

(6점)

활용사례형

 ➊ 수밋들 마을방송 힐링 음악회 및 전시회

ㅇ(수상자) 대전 서구청

ㅇ(내용) 민·관·학 협업으로 다용도의 커뮤니티 쉼터 조성

 ➋ 마을공동체 강화사업 “같이(가치)가유(YOU)”

ㅇ(수상자) (사)부산진구자원봉사센터

ㅇ(내용) 빈집을 마을회관으로 개편, 재능나눔자원봉사 연계

설계형

 ➊ 가변형 주거공간과 복합문화시설

ㅇ(수상자) 임시영 외 2인

ㅇ(내용) 주민 복합문화 시설과 지역 예술인의 활동공간 조성 

 ➋ 자율주택정비사업을 통한 빈집 정비

ㅇ(수상자) 경관종합건축사사무소

ㅇ(내용) 슬럼화된 빈집 4호 철거 후 공동주택 및 오피스텔 신축 

아이디어형

 ➊ 주택 골목 안심 책임지는 우리동네 랜드마크

ㅇ(수상자) 김혜진 외 1인

ㅇ(내용) 24시간 안심 조명을 설치하여 택배보관함, 중고거래 장소로 활용 

 ➋ 반려인과 반려동물을 위한 네트워킹 공간 Pet-ppy house

ㅇ(수상자) 김송이 외 1인

ㅇ(내용) 반려동물 편의시설, 반려인 정보나눔 및 교육 공간 조성 

《 수상작 주요 사례 》

 

(대상) 지역맞춤형 아동 돌봄센터

 

대상을 수상한 경기주택도시공사는 경기도, 동두천시, 주민과 함께 단독주택 빈집 3호를 정비하여 아동 돌봄센터, 마을 공유 공부방 등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고안하였다. 지역 수요조사를 통해 활용방안을 발굴하였으며, 현상설계 공모를 거쳐 쇠퇴지역의 이미지를 변화시킬 창의적인 설계안도 마련할 예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6pixel, 세로 17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7pixel, 세로 168pixel

 

<빈집>

 

<빈집 활용 후(예정)>

 

(최우수상) 커뮤니티 센터, 청소년 문화시설, 청년 주거지원 등

 

 최우수상을 수상한 경북 김천시는 6.25 이후 형성된 역사 깊은 마을에 방치된 단층 목조주택의 역사·문화적 가치에 주목하였다.  빈집의 원형을 최대한 보존한 리모델링, 증축을 통해 커뮤니티 시설, 마을 기업의 지역특산품 판매시설 등으로 운영 중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4pixel, 세로 149pixel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348f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14pixel, 세로 151pixel

 

<빈집>

 

<빈집 활용 후>

 

이 밖에도 초등학교 인근 빈집을 문구점, 청소년 문화시설로 활용하거나, 도심의 빈집을 리모델링하여 보육원, 자립생활관을 독립하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거지로 제공하는 아이디어도 있었다.

 

이번에 선정된 우수 아이디어, 설계, 영상은 한국부동산원 누리집(http://reb.or.kr)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앞으로 지자체의 빈집 정비계획에 활용하고, 민간·공공의 빈집 정비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 책자, 영상 등을 제작하여 홍보할 예정이다.

 

《 빈집 정비사업 지원제도 》

 

 국토교통부는 이번 공모전 외에도 전국 빈집 실태조사 및 정비계획 수립을 의무화하고(‘22.1.1 시행), 빈집 정비사업비 지원과 빈집 신고제 마련 등 빈집 관련 지속적인 법·제도 개선을 추진해왔다.

 

또한 빈집을 활용하여 가로주택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등 소규모주택 정비사업을 하는 경우,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하여 1.2%의 저리로 총 사업비의 50%~90%까지 융자를 지원하고,

 

  「자율주택정비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찾아가는 주민설명회, 사업 컨설팅 등을 진행하고 있다. * (문의처) 한국 부동산원, ☎ 053-663-8670, 8127

 

 

【 소규모주택정비사업 기금융자 지원 개요 】

 

 

 

 

구분

가로주택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개념

‣ 가로구역에서 주민이 노후 단독, 공동주택을 정비하는 사업

‣ 2인 이상 주민이 스스로 노후 단독, 공동주택을 정비하는 사업 

지원대상

‣ 토지등소유자, 공공시행자, 공동시행자 등

융자한도

‣ 초기사업비: 총 사업비의 5%

‣ 본 사업비 : 총 사업비의 50% ~ 90%

  (임대주택 20%이상 공급 시 70%까지, 공공 참여 시 90%까지 지원)

융자금리

‣ 1.5% ☞ 빈집 활용 또는 공공 참여 시 : 1.2%

 ◇ (문의처)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1566-9009(콜센터) / www.khug.or.kr

 

국토교통부 안세희 도심주택공급협력과장은 “이번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다양한 빈집 정비모델이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고, 빈집 정비사업에 대한 기금융자 지원, 세제 개편 등의 제도 개선을 병행해나가겠다.” 라고 밝혔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