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산 소고기는 모두 한우인가요? 좋다는 한우, 정확하게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 등록 2022.03.04 11:25:58
크게보기

●‘국내산’은 원산지, ‘한우’는 품종을 의미, 국내에서 나고 자란 순수 품종이 한우

●국내산 소고기 한우 둔갑 막기 위해 철저한 단속과 투명한 정보공개 진행

흔히 국내에서 기른 소는 전부 한우라고 생각해 국내산 소고기를 한우라고 착각할 수가 있다. 한우는 외래종과 섞이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태어나고 자란 순수 품종의 소를 의미하지만, 국내산과 자세한 차이를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우자조금)가 한우와 국내산 소고기 간 차이점과 구분법을 소개한다.

 

 

◆ 국내산(한우고기), 국내산(육우고기), 국내산(젖소고기)가 올바른 표기

‘국내산 소고기’는 6개월 이상 국내에서 키운 소의 고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원산지’라고 이해하면 쉽다. 국내에서 키우는 다양한 품종을 도축하면 국내산 소고기에 해당한다.

 

국내에서 키우는 소는 한우, 육우, 젖소가 있는데, ‘한우’는 외래종과 피가 섞이지 않고 우리나라에서 기른 순수 혈통의 소를 의미한다. 현재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등재된 한우 품종은 5종으로 황우, 흑소, 제주 흑소, 칡소, 백우 등 5종이다. 황우는 흔히 한우를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누런 색상의 소로, 나머지는 검은색(흑소, 제주 흑소), 흰색(백우), 검은 얼룩(칡소) 등 특징적인 색이 나타난다.

 

‘육우’는 고기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키운 소로, 수컷 젖소나 새끼를 낳지 않은 암컷 젖소, 품종이 섞인 소(교잡우)를 포함한다. ‘젖소’는 새끼를 낳은 경험이 있고 우유를 생산하는 암소를 말한다.

 

이처럼 국내산에도 품종이 다양하므로 ‘국내산’으로만 원산지를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산(한우고기), 국내산(육우고기), 국내산(젖소고기) 등 괄호 안까지 정확히 작성해야 올바르게 표기한 것이다.

 

◆ 한우? 국내산 소고기? 쇠고기 이력제만 있으면 구별 OK!

맛과 영양을 중시해 한우를 찾는 소비자들은 국내산 소고기와 한우를 구분하고 싶어 하고, 간혹 잘못 사지 않았는지 불안해하기도 한다. 아직 뼈가 붙어있는 지육 상태라면 맨눈으로 차이점을 구분할 수 있다. 도축을 마친 지육은 등급판정 도장을 받는데, 적색 도장이 찍힌 것은 한우고기, 녹색은 육우고기, 청색은 젖소고기로 각각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소비자 구매단계인 정육 상태에서는 구별이 어려운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쇠고기 이력제를 도입해 한우를 믿고 먹을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