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 집밥 지출 늘리고 외식 지출 줄였다

  • 등록 2022.04.01 10:33:00
크게보기

- 신선 농산물 지출 11% 증가, 가공식품 지출 5% 증가 -

 코로나19와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가정 내 거주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밥 지출은 7.8% 늘고, 외식 지출은 7.0% 줄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식품 구매행동을 밝히기 위해 최근 3년간(2018~2020년) 매월 가계부를 작성한 소비자패널 1,134명의 농식품 구매정보를 분석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8∼2019년과 발생 후인 2020년을 구분해 신선 농산물, 가공식품 구매액(지출)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코로나19 발생 전보다 신선 농산물 지출은 11.0% 늘고, 가공식품 지출은 5.0% 늘었다.

 

 신선 농산물 중 축산물 지출이 20.4%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다음으로 채소류와 수산물(13.0%), 식량작물(7.5%) 순으로 늘었다. 반면, 과일류(2.5%)와 특용작물(1.9%) 지출은 줄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에도 40~50대 중장년층과 4인 이상 가구에서 신선 농산물 구매가 이어지고 있지만, 최근에는 30대 이하(6.2%)와 1인 가구(11.7%)에서도 신선 농산물 지출이 늘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3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7pixel, 세로 317pixel

< 코로나19 전후의 연간 농식품 구매변화(단위: 천원)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엠블럼-최종안_21110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0pixel, 세로 707pixel

 특히 집밥을 대표하는 주식과 반찬용 신선 농산물뿐만 아니라 건강식과 편의식 관련 신선 농산물 지출도 늘었다.

 

  집밥= 주식인 쌀(7.0%) 지출이 늘고, 당근(37.2%), 애호박(11.2%), 콩나물(8.8%) 같은 반찬 채소의 지출도 늘었다.

 

  건강식= 팥(23.4%), 백태(14.3%), 혼합잡곡(10.9%) 같은 잡곡밥용 식량작물 지출이 늘고, 면역력 증진을 돕는 인삼(54.5%) 지출이 늘었다. 또 건강식을 위한 샐러드(70.7%)과 샐러드용 양상추(36.6%) 지출도 늘었다.

 

  편의식= 딸기(5.2%), 블루베리(18.1%) 등 손질이 편하고 먹기 편한 과일 지출이 늘고, 단순 조리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즉석밥(17.7%), 즉석식품(11.1%), 냉동식품(23.9%) 등 간편식 지출이 늘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38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0pixel, 세로 318pixel

                                      < 집밥 관련 농산물의 연간 구매변화(단위: 원) >

 

 최근 다양한 부위의 축산물 지출이 늘고, 수입 축산물 지출도 늘었다.

 

다양성= 쇠고기(23.9%)와 돼지고기(22.8%) 지출이 늘었다. 쇠고기 등심(40.2%)이나 돼지고기 삼겹살(26.2%) 같은 선호 부위 지출도 늘었지만, 쇠고기 앞다리(부채살, 25.6%), 돼지고기 앞다리(22.0%) 같은  비선호 부위도 늘었다.

 

수입= 쇠고기 지출 가운데 수입 쇠고기 비중이 28.0%에서 30.0%로 2.0%p 늘었다. 반면, 돼지고기 지출 중 수입 돼지고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코로나 발생 이전과 같이 4%대를 기록했다.

 

 쌈채소= 가정 내 육류 소비가 늘면서 상추(17.5%), 깻잎(20.8%) 등 쌈채소 지출도 늘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엠블럼-최종안_21110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00pixel, 세로 70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38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48pixel, 세로 314pixel

                         < 축산물 주요 부위 및 쌈채류의 연간 구매변화(단위: 원) >

 

 코로나19 이후 신선도를 중시한 거주지 인근의 슈퍼마켓 구매와 편의성을 중시한 비대면 온라인 구매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구색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슈퍼마켓에서 신선 농산물(1.2%p)과 가공식품(3.4%p)을 구매하는 비중이 증가했다.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온라인에서 신선 농산물(0.9%p)과 가공식품(3.0%p)을 구매하는 비중도 늘었다. 온라인 신규 이용자*가 늘면서 신선 농산물과 가공식품의 온라인 지출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된다.

   * 2020년 온라인 이용 신선 농산물 신규 구매가구 비율은 16.6%, 가공식품은 18.9%

 

 최근 30대 이하와 1인 가구 중심의 온라인 구매가 중장년층 다인 가구로 확산되고, 온·오프라인의 구매 품목이 서로 비슷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3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9pixel, 세로 31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d38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9pixel, 세로 313pixel

< 신선 농산물 지출 비중 변화(단위: %) >

< 가공식품 지출 비중 변화(단위: %) >

 

 농촌진흥청 농산업경영과 조성주 과장은 “코로나19 이후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신선 농산물도 비대면 구매가 활성화되고 있다.”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신선 농산물의 품질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생산자, 유통인, 소비자가 소통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