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

  • 등록 2022.05.04 10:07:23
크게보기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2022년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인허가 면적은 14.0% 증가하였고 착공은 15.8%, 준공은 16.4%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22.3월말 기준 전국의 인허가 면적은 40,751천㎡로 아파트, 공장 등의 증가로 인하여 전년 동기(35,732천㎡) 대비 5,019천㎡ 증가하였고,  동수는 46,435동으로 전년 동기(51,507동) 대비 5,072동 감소하였다.

 

  전국 착공 면적은 26,021천㎡로 아파트 등의 착공 면적 감소로 전년 동기(30,911천㎡) 대비 4,890천㎡ 감소하였으며, 동수는 34,726동으로 전년 동기(40,579동) 대비 5,853동 감소하였다.

 

  전국 준공 면적은 26,372천㎡로 아파트 등의 준공 면적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31,564천㎡) 대비 5,192㎡ 감소하였고, 동수는 35,716동으로 전년 동기(38,690동) 대비 2,974동 감소하였다.

 

  건축 인허가는 경기 선행지표로 이번 분기 인허가 면적 증가로 향후 건축 부문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착공은 경기 동행지표, 준공은 경기 후행지표로 코로나 등의 여파로 일부 감소된 것으로 예상된다.

 

《 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현황 》

(단위: 동, 천m2 / 증감률(%))

구 분

'22

‘22년

(1.1∼3.31)

'21

‘21년

(1.1∼3.31)

전년

동기比

5년

1분기

평균比

1월

2월

3월

1월

2월

3월

인허가

동수

14,799

13,403

 18,233

  46,435

14,685

14,814

22,008

51,507

(△9.8)

(△16.2)

연면적

13,728

 12,015

15,007

40,751

9,585

10,992

15,155

35,732

(14.0)

(11.6)

착공

동수

  9,288

 9,749

 15,689

34,726

10,328

11,170

19,081

40,579

(△14.4)

(△20.1)

연면적

  7,073

 7,334

 11,613

26,021

7,650

10,088

13,172

30,911

(△15.8)

(△7.7)

준공

동수

 13,559

10,426

 11,731

35,716

14,125

11,842

12,723

38,690

(△7.7)

(△19.0)

연면적

  9,939

 7,270

  9,163

26,372

13,493

 9,009

9,061

31,564

(△16.4)

(△24.0)

 

1

 

 건축 인허가

 

 

 

 최근 5년간 건축 인허가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0.5% 증가하였으며, 동수는 △7.0% 감소하였다. 동수는 감소한 반면 연면적은 증가하여 규모가 큰 건축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연평균 증가율 = (마지막 해 1분기 면적/첫 해 1분기 면적)^(1/(마지막 해-첫 해))-1

 

  2022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한 40,751천㎡, 동수는 9.8% 감소한 46,435동이다.

 

《 분기별 건축 인허가 면적 추이 》

(단위 :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35pixel, 세로 257pixel

(단위 : 동, 천㎡)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전국

동수

52,900

63,543

59,159

60,379

50,946

58,132

57,547

56,394

51,507

67,098

55,021

57,829

46,435

연면적

35,079

34,208

33,680

41,007

33,104

35,518

38,185

40,033

35,732

46,024

43,000

47,678

40,751

수도권

동수

18,274

19,552

17,012

18,032

16,393

18,381

19,054

18,828

18,478

23,611

20,250

20,502

16,728

연면적

18,736

16,445

16,437

17,214

17,617

17,259

19,046

21,867

18,600

23,797

21,797

21,689

18,119

지방

동수

34,626

43,991

42,147

42,347

34,553

39,751

38,493

37,566

33,029

43,487

34,771

37,327

29,707

연면적

16,343

17,762

17,243

23,792

15,486

18,259

19,139

18,165

17,132

22,227

21,203

25,988

22,631

 

 (지역별) 연면적 기준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8,119천㎡(△480천㎡, ↓2.6%)로 감소, 지방은 22,631천㎡(5,499천㎡, ↑32.1%)로 증가하였다.

 

  연면적은 세종 224.6%, 충북 98.2%, 경북 90.3% 순으로 13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서울, 인천, 대전, 전북은 감소하였다.

     * 동수는 세종, 제주, 울산을 제외하고 감소

 

《 1분기 전국 연면적 증감률 》

《 1분기 전국 동수 증감률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인허가_연면적.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4pixel, 세로 426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인허가_동수.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0pixel, 세로 467pixel

 

 (용도별) 연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공업용(38.1%), 주거용(12.4%), 상업용(2.5%) 순으로 증가한 반면, 교육 및 사회용(2.5%)은 감소하였다.

 

 경기지역의 지식산업센터 등 공장(1,445천㎡→2,253천㎡, 55.9%↑)의 증가로 공업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주거용과 상업용은 지방의 아파트(4,757천㎡→7,578천㎡, 55.3%↑) 및 업무시설(2,831천㎡→3,494천㎡, 23.4%↑) 증가 영향으로 보인다.

 

《 용도별 건축 인허가 면적 추이 》

 (단위 :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79pixel, 세로 256pixel

(단위 : 동, 천㎡, %)

구분

합계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교육및사회용

기타

전국

동수

46,435

(△9.8)

15,996

(△8.9)

18,121  

(△0.8)

3,401  

(△6.2)

1,750  

(△4.6)

7,167  

(△29.9)

연면적

40,751  

(14.0)

13,543  

(12.4)

10,083

(2.5)

4,978

(38.1)

2,341

(△2.5)

9,803

(25.0)

수도권

동수

16,728  

(△9.5)

5,260  

(△15.6)

7,834

(△1.5)

1,339

(0.9)

638

(△7.9)

1,657

(△27.1)

연면적

18,119  

(△2.6)

4,612  

(△20.9)

5,642

(△8.1)

2,479

(48.4)

1,079

(△15.1)

4,306

(16.8)

지방

동수

29,707  

(△10.1)

10,736  

(△5.2)

10,287

(△0.3)

2,062

(△10.2)

1,112

(△2.5)

5,510

(△30.7)

연면적

22,631  

(32.1)

8,931  

(43.6)

4,441

(20.3)

2,498

(29.2)

1,262

(11.8)

5,497

(32.3)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규모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미만 건축물은 38,693동으로 10.9% 감소하였으며, 1만㎡이상은 877동으로 27.1% 증가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규모별 건축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

구분

합계

500㎡미만

5백㎡~1천㎡

1천㎡~3천㎡

3천㎡~1만㎡

1만㎡이상

'22년 1분기

46,435

38,693

3,613  

2,042  

1,210  

877

(△9.8)

(△10.9)

(△6.3)

(△11.8)

(△1.0)

(27.1)

'21년1분기

51,507

43,425

3,854

2,316

1,222

690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1분기 최대 인허가 면적은 461천㎡으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부산시민공원주변 재정비촉진지구 재정비촉진1구역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에 위치한 건축물이다.

 

 (층수별) 동수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5층 건축물은 42,274동으로 10.7% 감소, 11~30층 건축물은 1,362동으로 5.8% 증가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층수별 건축 인허가 현황 》

(단위 : 동, %)

구분

합계

1~5층

6~10층

11~30층

31층 이상

기타

'22년 1분기

46,435

42,274

1,520  

1,362  

174

1,105  

(△9.8)

(△10.7)

(1.7)

(5.8)

(0.6)

(△8.9)

'21년1분기

51,507

47,340

1,494

1,287

173

1,213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1분기 최고 인허가 층수는 49층으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상인동 1558 오피스텔)에 위치한 건축물이다.

 

2

 

 착공

 

 

 

 최근 5년간 착공 연면적의 연평균 증가율은 △7.3%, 동수는 △2.4%로 착공 물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분기 착공 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한 26,021천㎡, 동수는 14.4% 감소한 34,726동이다.

 

《 분기별 착공 면적 추이 》

(단위 :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분기별착공.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6pixel, 세로 246pixel

(단위 : 동, 천㎡)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전국

동수

41,893

55,012

47,178

50,342

40,704

50,891

46,070

47,260

40,579

53,795

44,375

46,839

34,726

연면적

26,183

31,325

23,252

28,493

26,367

31,994

30,198

34,940

30,911

35,586

31,745

37,425

26,021

수도권

동수

12,698

16,262

13,162

13,871

12,260

15,245

14,350

14,673

13,165

17,745

14,863

15,034

11,422

연면적

13,209

15,120

10,423

13,907

13,832

16,328

14,668

17,481

15,615

18,378

15,905

17,048

13,674

지방

동수

29,195

38,750

34,016

36,471

28,444

35,646

31,720

32,947

27,414

36,250

29,512

31,805

23,304

연면적

12,974

16,204

12,829

14,585

12,535

15,666

15,529

17,458

15,295

17,208

15,839

20,377

12,347

 (지역별) 연면적 기준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3,674천㎡(△1,941천㎡, ↓12.4%), 지방은 12,347천㎡(△2,948천㎡, ↓19.3%) 모두 감소하였다.

 

  전년 동기 대비 연면적은 울산 29.0%, 부산 28.3%, 제주 23.8% 순으로 5개 시·도에서만 증가하고 세종, 경남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1분기 전국 연면적 증감률 》

《 1분기 전국 동수 증감률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착공_연면적.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6pixel, 세로 46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착공_동수.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6pixel, 세로 444pixel

 

 (용도별) 연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상업용(10.3%)은 증가한 반면, 주거용(△34.1%), 기타(△20.8%), 공업용(△4.0%), 교육 및 사회용(△1.1%) 순으로 감소하였다.

 

  상업용의 증가는 판교, 동탄 등 경기의 업무시설 신축(787천㎡), 인천터미널 복합쇼핑시설 증축(295천㎡), 천안아산의 생활숙박시설 신축(274천㎡)의 영향으로 보인다.

 

  주거용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 것은 전년 동기 아파트(84.6%) 증가폭이 유난히 컸던 기저효과로 보인다.

 

 

《 용도별 착공 면적 추이 》

(단위 :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착공.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79pixel, 세로 254pixel

(단위 : 동, 천㎡, %)

구분

합계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교육및사회용

기타

전국

동수

34,726

(△14.4)

13,311

(△10.6)

11,555  

(4.0)

2,754  

(△12.0)

998

(△23.3)

6,108  

(△39.8)

연면적

26,021  

(△15.8)

7,399  

(△34.1)

7,547

(10.3)

3,402

(△4.0)

1,528

(△1.1)

6,143

(△20.8)

수도권

동수

11,422  

(△13.2)

4,325  

(△16.6)

4,546

(4.7)

1,024

(△9.0)

257

(△27.0)

1,270

(△41.2)

연면적

13,674  

(△12.4)

3,795  

(△31.8)

4,295

(5.5)

1,396

(△18.9)

536

(△19.7)

3,648

(1.7)

지방

동수

23,304  

(△15.0)

8,986  

(△7.4)

7,009

(3.6)

1,730

(△13.7)

741

(△22.0)

4,838

(△39.4)

연면적

12,347  

(△19.3)

3,603  

(△36.3)

3,251

(17.4)

2,005

(10.1)

991

(13.1)

2,494

(△40.2)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규모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미만 건축물은 28,901동으로 14.2% 감소하였으며, 1만㎡이상은 498동으로 17.7% 감소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규모별 착공 현황 》

(단위 : 동, %)

구분

합계

500㎡미만

5백㎡~1천㎡

1천㎡~3천㎡

3천㎡~1만㎡

1만㎡이상

'22년 1분기

34,726

28,901  

2,877  

1,648  

802

498

(△14.4)

(△14.2)

(△10.7)

(△15.2)

(△27.9)

(△17.7)

'21년1분기

40,579

33,694

3,223

1,944

1,113

605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층수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층 건축물은 32,703동으로 13.3% 감소, 31층 이상은 34동으로 64.6% 감소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층수별 착공 현황 》

(단위 : 동, %)

구분

합계

1~5층

6~10층

11~30층

31층 이상

기타

'22년 1분기

34,726

32,703  

651

647

34

691

(△14.4)

(△13.3)

(△5.7)

(△30.1)

(△64.6)

(△39.3)

'21년1분기

40,579

37,729

690

925

96

1,139

 

3

 

 준공

 

 

 

 

 최근 5년간 준공한 건축물의 연면적 연평균 증가율은 △5.8%,
동수는 △9.2%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1분기 연면적은 전년 동기 대비 16.4% 감소한 26,372천㎡, 동수는 7.7% 감소한 35,716동이었다.

 

《 분기별 준공 면적 추이 》

(단위 :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분기별준공.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26pixel, 세로 246pixel

 

(단위 : 동, 천㎡)

구분

'19년

'20년

'21년

'22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1분기

전국

동수

46,395

46,843

49,827

53,926

44,236

42,891

44,260

48,297

38,690

41,344

43,706

48,074

35,716

연면적

38,660

36,067

33,927

38,248

31,996

30,245

36,178

36,207

31,564

29,360

30,001

36,153

26,372

수도권

동수

14,464

14,646

14,894

14,556

13,333

12,100

13,165

13,741

12,166

12,861

13,776

15,217

11,911

연면적

19,108

18,725

15,640

15,164

16,048

12,774

18,385

17,752

15,668

14,707

15,656

17,616

13,879

지방

동수

31,931

32,197

34,933

39,370

30,903

30,791

31,095

34,556

26,524

28,483

29,930

32,857

23,805

연면적

19,551

17,342

18,331

23,083

15,948

17,470

17,793

18,454

15,895

14,653

14,345

18,537

12,493

 

 (지역별) 연면적 기준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은 13,879천㎡(△1,789천㎡, ↓11.4%), 지방 12,493천㎡(△3,401천㎡, ↓21.4%)로 모두 감소하였다.

 

  연면적은 인천 182.5%, 광주 168.2%, 대구 91.7% 등 5개 시·도에서 큰 폭으로 증가, 동수는 세종, 인천 등 4개 시·도를 제외하고 감소하였다.

 

 

《 1분기 전국 연면적 증감률 》

《 1분기 전국 동수 증감률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준공_연면적.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9pixel, 세로 51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준공_동수.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6pixel, 세로 461pixel

 

 (용도별) 연면적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교육 및 사회용(20.8%), 공업용(0.9%)은 증가한 반면, 주거용(△30.9%), 상업용(△13.4%), 기타(△8.2%) 순으로 감소하였다.

 

  교육 및 사회용은 대구의 문화집회시설(2천㎡→137천㎡), 경기의 교육연구시설(83천㎡→180천㎡)이 증가하고 주거용은 2~3년 전 인허가·착공 연면적 감소 영향으로 보인다.

 

《 용도별 준공 면적 추이 》

(단위 : 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준공용도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79pixel, 세로 254pixel

(단위 : 동, 천㎡, %)

구분

합계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교육및사회용

기타

전국

동수

35,716  

(△7.7)

13,685

(△0.2)

10,925

(4.1)

3,074

(△11.3)

1,402

(△3.0)

6,630

(△30.7)

연면적

26,372

(△16.4)

9,147

(△30.9)

6,735

(△13.4)

3,459

(0.9)

2,030

(20.8)

4,999

(△8.2)

수도권

동수

11,911

(△2.1)

4,619

(△3.7)

4,358

(11.8)

1,151

(△10.1)

441

(0.7)

1,342

(△23.4)

연면적

13,879

(△11.4)

5,108

(△12.6)

3,467

(△31.3)

1,774

(5.9)

945

(34.3)

2,582

(7.9)

지방

동수

23,805

(△10.3)

9,066

(1.6)

6,567

(△0.5)

1,923

(△12.0)

961

(△4.6)

5,288

(△32.3)

연면적

12,493

(△21.4)

4,039

(△45.3)

3,267

(19.9)

1,685

(△3.9)

1,084

(11.0)

2,416

(△20.9)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규모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0㎡미만 준공된 건축물은 29,255동으로 7.5% 감소하였으며, 1만㎡이상은 473동으로 11.8% 감소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규모별 준공 현황 》

(단위 : 동, %)

구분

합계

500㎡미만

5백㎡~1천㎡

1천㎡~3천㎡

3천㎡~1만㎡

1만㎡이상

'22년 1분기

35,716

29,255  

3,286  

1,806  

896

473

(△7.5)

(△7.5)

(△6.8)

(△12.2)

(△6.8)

(△11.8)

'21년1분기

38,690

31,612

3,524

2,057

961

536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층수별) 동수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준공된 1~5층 건축물은 33,265동으로 8.0% 감소한 반면, 31층 이상은 111동으로 11.0% 증가하였다.

 

《 전년 동기 대비 층수별 준공 현황 》

(단위 : 동, %)

구분

합계

1~5층

6~10층

11~30층

31층 이상

기타

'22년 1분기

35,716

33,265  

794

805

111

741

(△7.7)

(△8.0)

(7.2)

(△7.8)

(11.0)

(△11.4)

'21년1분기

38,690

36,140

741

873

100

836

* 괄호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 위 자료에서 분류하는 통계용 건축물의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용도별 건축물 분류(통계용)]

   - 주거용 : 단독, 다가구, 아파트, 연립, 다세대, 기타(다중주택, 공관, 기숙사 등)

   - 상업용 : 근린생활, 판매, 업무, 숙박, 위락, 운수, 자동차관련시설 등

   - 공업용 : 공장

   - 교육및사회용 : 문화집회시설(극장 등), 종교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학교 등),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관광휴게시설, 묘지관련시설 및 장례시설 등

   - 기타 : 농수산용(축사, 온실), 공공용(공공청사, 방송국) 등

  [상업용 건축물 분류(통계용)]

   - 제1종근린생활시설 :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의원 등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공연장, 금융업소, 제조업소, 고시원 등

   - 판매시설 : 도매시장, 소매시장, 상점 등

   - 업무시설 : 공공업무시설, 일반업무시설(사무소, 오피스텔 등)

   - 기타 : 위락시설, 숙박시설, 운수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등

 

 

※ 통계자료에 대한 세부자료는 건축행정시스템(https://cloud.eais.go.kr)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건축물생애이력관리시스템(http://blcm.go.kr)의 ‘맞춤형 건축통계’를 통해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