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재난안전예산 대형사고 및 기후재난에 중점 투자

  • 등록 2022.07.01 12:43:30
크게보기

- 총 377개 사업 24.3조 원 요구, 지난해 보다 13.5%↑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정부 재난안전예산의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2023년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안)」을 중앙안전관리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의 심의를 거쳐 6월 30일 기획재정부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는 행안부에서 각 부처 예산요구서 등을 검토하여 6월 30일까지 투자방향, 우선순위 등을 기획재정부에 통보하고, 기재부에서는 사전협의 결과를 토대로 내년도 재난안전예산 정부안을 편성하는 제도이다.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10조의2(재난 및 안전관리 사업예산의 사전협의 등)

 

 연구개발(R&D) 사업*을 제외한 전체 중앙행정기관이 요구한 내년도 재난안전예산 규모는 총 377개 사업 24.3조 원으로 올해(21.4조, 연구개발사업 제외)보다 13.5% 증가한 수준이다.

 

   * 「과학기술기본법」 제12조의2에 따라 과기정통부에서 연구개발예산 배분‧조정

 

  분야별로는 사회재난 및 안전사고 분야(26개 유형)가 12.6조 원 (51.9%)으로 가장 많고, 자연재난 분야(9개 유형) 5.7조 원(23.5%), 재난구호·복구 등 공통 분야(8개 유형) 6.0조 원(24.6%)이다.

 

  재난 유형별로는 풍수해 3.7조 원(15.3%), 도로 안전 2.9조 원(12.1%) 철도 안전 2.7조 원(11.0%), 감염병 1.9조 원(7.8%) 등을 요구하였다.

 

 

【분야별 요구현황】

【주요 재난 유형별 요구현황】

 

 행안부는 2023년 사전협의(안) 마련을 위해 과거에 발생한 피해 현황, 최근 현안이 집중된 위험요인 및 향후 위험전망 분석을 토대로 4대 목표 및 6대 중점투자방향을 선정하였다.

 

【 재난안전예산 중점투자방향 】

 

 

4대 목표

 

6대 중점투자방향

 

 

 

 ① 새로운 재난 선제적 대비

 

▪ 신종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

▪ 기후변화 위험 선제적 대처

 

 

 

 

 ② 인명‧재산 피해 최소화

 

▪ 대형재난 인명피해 예방 역량 제고

 

 

 

 

 ③ 기반·생활 시설 안전 강화

 

▪ 기반시설 안전도 및 회복력 확보

▪ 일상생활 속 안전수준 향상

 

 

 

 

 ④ 국민안전 국가책임 확대

 

▪ 포용적 안전관리 강화

 

  또한, 범정부 재난안전정책, 재난안전사업 평가 결과, 민간전문가 자문의견 및 소관부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검토 시 △새로운 재난 선제적 대응역량 제고 △재난으로부터 국민 생명․재산 피해 최소화 △기반시설 및 생활 안전 강화 △포용적 안전관리 강화 등에 중점을 두었다.

 

  총 377개 재난안전사업의 투자우선순위 검토 결과, 투자확대 116개 사업(8.0조), 투자유지 190개 사업(14.6조), 투자축소 71개 사업 (1.7조)을 선정하였다.

 

구 분

투자확대

투자유지

투자축소

사업수

377개

116개(30.8%)

190개(50.4%)

71개(18.8%)

요구액

24조 3,209억

7조 9,815억

14조 6,393억

1조 7,001억

 

 사전협의(안)에서 제시한 4대 투자목표별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① 첫째, 새로운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 신종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방지하고, 가축 전염병에 신속 대응하는 등 신종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에 중점 투자한다.

 

  - 기후변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재해위험지역을 정비하고, 대형산불, 가뭄․폭염 등 기후재난을 집중 관리한다.

 

    ※ (주요사업) △신종감염병 대응 및 검역관리(질병청, 702억) △가축감염병 대응 (농식품부, 1,287억) △재해위험지역 정비(행안부, 9,173억) △산림헬기 운영(산림청, 1,562억)

 

 ② 둘째, 인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 건설현장 및 화재취약시설의 대형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현장 안전점검 강화에 중점 투자한다.

 

  - 50인 미만 소규모사업장의 안전관리를 집중 지원하고, 직업병 등 근로자 건강보호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

 

    ※ (주요사업) △건축안전 및 국토안전 관리 등(국토부, 1,247억) △전통시장 화재예방 (중기부, 139억) △소규모사업장 재해예방(고용부, 2,488억), △근로자 건강보호(고용부, 682억)

 

 ③ 셋째, 기반시설 및 생활 안전 강화를 위해

 

  - 노후된 교량‧터널 등 도로시설 및 철도‧항만 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보수 등 투자를 확대하여 기반시설의 안전을 확보한다.

 

  - 생활 주변 오염원의 미세먼지 배출 저감을 지속 추진하고, 교통안전 확보를 위해 보행자 안전 환경 조성 등에 중점 투자한다.

 

    ※ (주요사업) △노후 교량․터널 보수(국토부, 5,714억) △항만시설 유지보수(해수부, 1,305억) △차량 배출가스 저감(환경부, 3,249억) △보행환경 개선(행안부, 153억)

 

 ④ 넷째, 국민안전에 대한 국가책임 확대를 위해

 

  - 아동․여성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를 근절하고, 디지털 성범죄 2차 피해 방지 등에 중점 투자한다.

 

  - 안전 취약계층별 위험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 (주요사업) △성범죄 등 사회적 약자 대상 범죄 단속(법무부, 44억) △취약계층 보호시설 기능보강(복지부, 395억)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환경부, 100억)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대형산불, 건축물 붕괴사고 등 대형재난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고, 예상치 못한 새로운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재난안전투자가 필수적”이라며,

 

  “앞으로,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제도를 더욱 발전시켜, 국민 안전을 위해 예산이 적재적소에 투자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장승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