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소, 알기 쉽게 한 권에 담았다

  • 등록 2022.07.07 09:50:45
크게보기

-‘세계의 소 품종 해설집’발간 … 한국 재래 소 5품종도 소개 -

커다란 뿔로 열을 분산시켜 더위를 이기는 미국의 ‘안콜레 와투시’, 투우소로 알려진 스페인의 ‘모루차’, 낙타처럼 등에 큰 혹이 있는 ‘마다가스카르 제부’ 등 전 세계에서 사육되고 있는 다양한 소를 소개하는 책이 나왔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안콜레 와투시.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85pixel, 세로 70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모루차.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90pixel, 세로 65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마다가스카르제부.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81pixel, 세로 677pixel

<안콜레 와투시>

<모루차>

<마다가스카르 제부>

 * 해당 사진은 「세계의 소 품종 해설집」보도 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가축 생명 자원에 대한 가치와 보존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세계의 소 품종해설집’을 발간했다.

 

  소가 가축화된 것은 기원전 7,000∼6,000년경으로 추정되는데, 개 다음으로 인간의 역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가장 오래 함께해 온 가축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소는 세계 곳곳에서 고기와 우유 생산, 노동력 대체 목적으로 사육되고 있다.

 

  이 책자에는 경제적인 특성이 뛰어나 다양한 나라로 널리 퍼진 품종부터 지역 환경에 적응하여 고유의 유전적 특징을 가진 품종까지 각 정부와 민간에서 사육 또는 보존하고 있는 소 120품종을 실었다.

 

  아시아(19종), 아프리카(6종), 유럽(75종), 아메리카(17종), 오세아니아(3종) 등 품종이 기원한 대륙에 따라 구분해 사진과 역사, 특성, 분포 등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특히 한국 고유의 가축 유전자원인 재래 소 5품종도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 소는 한반도에서 2,000년 이상 독자적으로 키워졌으며 외국 품종과는 차별화된 유전적 구조로 진화해 왔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소품종해설집 표지.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52pixel, 세로 7128pixel

<‘세계의 소 품종해설집’ 표지>

  전체 털색이 황색인 ‘한우(황우)’, 황갈색과 검은색 줄무늬를 이루는 ‘칡소’, 몸 전체가 검은색인 ‘제주흑우’, 몸 전체가 검은색이면서 등에 황색 선이 보이는 ‘내륙흑우’, 몸 전체가 흰색인 ‘백우’까지 5품종이 보존되고 있다.

 

  ‘세계의 소 품종해설’은 문화재청, 국립중앙도서관 등 관련 기관에 보급해 국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했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도 파일(PDF)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최창용 센터장은 “전 세계에는 약 10억 마리의 소가 사육되고 있다.”라며, “이번 소 품종해설집 발간이 세계 소 품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미래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가축 유전자원의 가치를 알리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장지윤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