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꽃 피는 시기 맞춰 해충 방제도 앞당겨야

  • 등록 2023.04.18 12:36:00
크게보기

- 사과꽃, 지난해보다 10일 이상 빨리 필 것으로 예측
- 온도 높아지면 사과혹진딧물, 나무좀류 등 해충 발생 빨라져
- 방제는 바람 적은 날, 꽃가루 운반 벌 피해 없도록 실시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올봄 사과꽃 피는 시기가 지난해보다 약 10일 이상 빠를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사과 해충 방제를 서둘러야 한다고 당부했다.

 

 해충은 온도가 높아지면 빠르게 성장하고 겨울잠에서도 일찍 깨어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사과혹진딧물-05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60pixel, 세로 102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1년 05월 23일 오후 4:28 카메라 제조 업체 : OLYMPUS CORPORATION 카메라 모델 : DP70 노출 시간 : 1/72초 ISO 감도 : 200 색 대표 : sRGB 측광 모드 : 스팟 측광 EXIF 버전 : 0200

<사과혹진딧물로 인한 잎 피해>

 사과혹진딧물은 꽃이나 잎이 되는 눈 주변에서 알로 겨울을 나는 해충으로, 잎의 기형을 일으키고 심하면 즙액을 빨아 잎을 일찍 떨어뜨린다. 또한, 진딧물의 배설물은 잎과 열매에 그을음 증상을 일으킨다.

 

 농촌진흥청 사과연구소에서 올해(2023년) 겨울을 난 진딧물의 부화 상황을 조사한 결과, 3월 말 이미 95% 이상의 알이 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혹진딧물은 일반적으로 꽃이 피기 10일 전 전문 작물보호제로 방제한다. 꽃 피기 전 방제 시기를 놓쳤다면 벌 등 꽃가루 운반 곤충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꽃이 진 뒤 방제한다.

 

 나무좀류는 세력이 약한 사과나무를 침입해 죽게 만드는 해충이다. 올해 3월 조사한 결과, 낮 최고 기온이 20도(℃) 이상으로 따뜻한 날에는 최고 50마리 이상씩 유인 덫(트랩)에 잡혔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DSCN477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96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1년 08월 01일 오후 2:43 카메라 제조 업체 : NIKON 카메라 모델 : E5700 프로그램 이름 : E5700v1.1 F-스톱 : 3.7 노출 시간 : 10/965초 ISO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46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거리영역 : 매크로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0

<나무좀류 침입 흔적>
 

 나무좀류는 따뜻하고, 바람이 매우 잔잔하게 부는 날 주변 산지에서 과수원으로 이동이 증가한다. 따라서 방제도 이런 날 오후께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땅에서부터 첫 번째 가지가 갈라지는 부분에 전문 약제를 뿌리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사과면충은 가지가 갈라지는 부분, 가지치기한 절단 부분 등에서 즙액을 빨아 먹는다. 얕은 뿌리에서 나온 가지(흡지) 근처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나무좀을 방제할 때 함께 방제한다.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http://pris.rda.go.kr)의 농약 검색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이동혁 소장은 “기온 상승으로 사과꽃 피는 시기가 빨라진 만큼 해충 활동 시기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해충 발생 상황을 살펴 방제에 나서되, 꽃가루 운반 곤충에 피해가 없도록 시기를 적절히 조절해 달라.”라고 전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