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일염 사재기로 인한 가격 폭등은 사실이 아닙니다.

  • 등록 2023.06.06 15:34:37
크게보기

- 사재기에 두달새 40% 이상 폭등(서울신문, 6.6.) 보도 관련 -

가격 상승* 주 요인은 기상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장마철 대비 출하 물량 조절 때문입니다.

 

    * 산지가격: 14,119원(4월1주)→ 13,740(4월 평균)→ 14,127(5월 평균)→ 17,807(6.1~4)

 

   ** 생산량: (4월) 43,773톤, 전년비 △11.4%→ (5월) 집계 중, 전년비 △1/3 이상 추정(염업조합)

 

  먼저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4~5월(61일) 천일염 최대 생산지인 목포 인근 지역의 강수 일수는 22일로 평년이나 전년(평년: 15.6일, 전년: 8일)보다 더 많아 천일염 생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습니다.

 

  4월 첫 주 대비 6월 첫 주 천일염 가격은 26.8%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천일염 판매량도 감소하여, 사재기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보통 천일염 생산자는 천일염 생산이 힘든 장마 기간에 대비하여 5월경에는 생산을 하고도 판매를 유보하곤 합니다. 특히 올해는 봄철 긴 강수일수로 날씨에 대한 생산자 불안이 증폭되었습니다.

 

    * 출하유보 물량(생산량-출하량): (평년 4월) 24,000톤→ (‘23.5) 32,576톤

 

  기상청 예보에 따르면 올해 장마 기간은 6.24~7.26일이며, 7월
강수량이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많은 확률은 각각 약 40%*입니다.

 

    * KTV ’23.5.25 정책 바로보기

 

 한편 해양수산부는 4월부터 매달 전국 10여개 천일염 생산 염전을 대상으로 방사능 검사를 선제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검사 결과 모든 염전에서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7월
부터는 방사능 검사를 대폭 확대할 예정입니다.

 

 앞으로도 해양수산부는 정부와 민간 기관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
하여 천일염 안전을 철저히 관리할 계획입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