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과수 ‘햇볕 데임’ 예방관리 당부

  • 등록 2023.07.28 12:34:45
크게보기

- 강한 햇볕 열매에 직접 닿으면 데인 증상 발생
-봉지 씌우지 않는 사과·단감에서 주로 발생…미세살수·햇빛 가림망 적극 활용
- 잎으로 열매 가려주거나 탄산칼슘 희석제 뿌려 피해 예방관리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당분간 폭우와 폭염이 번갈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과수 농가에서는 집중호우 뒤 고온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햇볕 데임(일소)’ 피해에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햇볕 데임은 열매가 커가는 시기(과실 비대기)에 직사광선에 오래 노출된 열매 표면이 마치 데인 듯하거나 잎이 갈색으로 마르는 등의 증상을 보이는 고온 장해이다. 일반적으로 봉지를 씌우지 않는 사과, 단감에서 주로 발생한다.

 

 증상 초기에는 열매 표면이 흰색이나 옅은 노란색으로 변하지만, 심해지면 해당 부위가 썩고 탄저병 등 2차 병해 감염 우려가 커진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DSC03107.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2년 08월 07일 오후 13:58 카메라 제조 업체 : SONY 카메라 모델 : DSC-T700 F-스톱 : 3.5 노출 시간 : 10/1600초 ISO 감도 : 10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1

사과 잎에 나타난 햇볕 데임 현상

사과 열매에 나타난 햇볕 데임 현상

단감 열매에 나타난 햇볕 데임 현상

  

 △뿌리활력 높여 잎 갈변 예방= 계속 내린 비로 토양의 과습 상태가 지속되면 과수의 뿌리 활력이 떨어진다. 또한 대기 중 습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기온이 오르면 잎의 증산작용도 원활하지 않아 잎이 마르고 갈색으로 변하며 심하면 떨어진다.

 

 

 이를 예방하려면 뿌리가 분포하고 있는 토양 주변에 물이 차지 않도록 물길(배수로)을 정비하여 뿌리 주변의 통기성을 좋게 관리한다.

 

 △미세살수 장치, 햇빛 가림망 활용= 미세살수 장치와 햇빛 가림망 등을 설치한 농가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햇볕 데임 피해를 예방한다. 미세살수 장치는 대기 온도가 31±1도(℃)일 때 가동하고, 자동조절 장치로 30분 동안 물을 뿌린 뒤 5분간 멈추도록 설정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035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2pixel, 세로 16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035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93pixel, 세로 261pixel

미세 살수장치를 가동한 사과 과수원

차광망을 설치한 과수원

 

 △고온 시 충분한 물 공급, 잎으로 열매 가리기= 햇볕 데임 피해는 과수에 수분이 부족했을 때 발생하기 쉬워 고온기에는 과수원 토양이 마르지 않도록 충분히 물을 공급한다. 또한 나뭇가지를 끌어당겨 잎이 열매를 가리도록 유도해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부위를 줄여야 한다.

 

 

     

표면 온도 36℃

표면 온도 40℃

표면 온도 47℃

 

 탄산칼슘을 열매에 뿌려 햇볕 데임 피해를 예방하고자 할 때는 200배액으로 희석하여 햇볕에 노출된 열매 위주로 뿌려준다.

 

 

 햇볕 데임 증상이 심각한 열매는 빨리 솎아야 병해가 다른 열매로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나무 자람새가 안정되도록 열매솎기 작업은 하지 않는다.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조은희 과장은 “봄철 저온과 우박, 여름철 집중호우로 예년보다 열매가 적게 달린 상황이므로 남아 있는 열매가 수확기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온 대응과 병해충 방제에도 각별한 주의를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