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콩 ‘청자5호’, 검정콩 가공시장 넓히다

  • 등록 2023.10.06 11:04:44
크게보기

- 우수한 재배 특성·수량성, 품종 점유율 전체 검정콩의 66%로 확대
- 생산성·기능성 갖춰 두유부터 토장까지 다양한 제품으로 산업화 확대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검정콩 ‘청자5호’를 원료로 한 다양한 가공식품이 만들어지면서 산업화가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청자5호’는 기존 재래 검정콩보다 재배 특성과 수량성이 우수해 재배가 급격히 늘어 품종 점유율이 전체 검정콩의 66%로 확대*됐다. 또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안토시아닌과 이소플라본 성분이 재래종보다 각각 2.7배, 1.4배 많아** 기능성도 갖추고 있다.

* ‘청자5호’ 재배면적(국내 검정콩 중 재배 비율): (’20) 314ha (19.1%) → (’21) 971 (46.6) → (’22) 1,790 (65.9)

** 안토시아닌(㎍/씨껍질g)과 이소플라본 함량(㎍/g): 재래종(8,564/2,252), 청자5호(22,704/3,111)

 

 

그림입니다.

 

 

 기존에 검정콩은 밥에 섞어 먹는 밥밑용으로 주로 이용됐다. 하지만 검정 콩 재배가 확대되고 ‘청자5호’가 안정적으로 생산되면서 검정콩 두유, 두부, 콩 부각, 볶은 콩 등 다양한 가공식품으로 만들어져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발효식품 전문 제조 업체와 협력해 검정콩의 맛과 영양을 그대로 담은 토장*도 선보였다. 이 제품은 특유의 구수함과 감칠맛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메주에 소금물을 넣어 으깬 후 숙성시켜서 장물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먹는 장류의 일종(식품과학기술대사전)

 

 토장 제조업체 관계자는 “검정콩은 미생물 증식이 잘 안 되는 특성이 있어 발효식품 제조가 다소 어렵다. 농촌진흥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청자5호’의 최적 발효·숙성 조건을 연구하여 토장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라고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지난 2021년 동물실험을 통해 ‘청자5호’의 우수한 기능성과 함께 비만과 대사증후군 예방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관련 내용으로 산업재산권*을 출원한 바 있다.

* ‘콩 청자5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10-2021-0054112)

 

 농촌진흥청 밭작물개발과 김춘송 과장은 “기계수확과 논 재배에 적합한 ‘청자5호’를 개발해 검정콩 대량·안정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검정콩 가공제품들이 늘어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가공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콩 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하겠다.”라고 전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