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병에 강하고 기름 많은 ‘강유’ 참깨 심어볼까

  • 등록 2024.03.13 10:49:36
크게보기

- 역병, 시들음병에 모두 강해 … 수량성 많고 기름 함량도 높아
- 3월 말까지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종자광장’에 직접 신청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국산 참깨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올해 역병과 시들음병에 강하고 기름 함량이 많은 ‘강유’를 심어볼 것을 추천했다.

 

 참깨는 재배기간 동안 역병*, 시들음병**, 잎마름병*** 등의 병해를 자주 입는다. 이러한 잦은 병 발생과 인력 부족 등으로 국내 참깨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역병: 시들음 증상과 함께 병원균이 물을 따라 밭 전체로 빠르게 전염되어 큰 피해를 줌

**시들음병: 식물체 잎이 누렇게 돼 시들어 죽음. 줄기나 뿌리를 잘라보면 적갈색으로 변색돼 있음.

***잎마름병: 잎, 줄기, 꼬투리에 갈색 무늬가 생기고 심하면 잎이 마르고 꼬투리가     여물지 못함.

****재배면적(천ha)과 생산량(천t): ('10) 27, 12.7 → ('15) 25, 11.7 → ('19) 25, 13.0 → ('23) 21, 9.0 자급률(%): ('10) 14.7 → ('15) 12.4 → ('19) 13.9 → ('21) 10.6

 

 최근 역병과 흰가루병에 강한 ‘건백’과 시들음병에 강한 ‘강안’, ‘금옥’이 개발됐지만, 안정적인 참깨 생산을 위해서는 역병과 시들음병에 모두 강한 품종개발이 필요했다.

 

 

 ‘강유’는 지금까지 개발된 국내 품종 중 가장 수확량이 많다. 10아르(a)당 수확량이 137kg으로 표준 품종 ‘건백’보다 13% 많다. 게다가 ‘건백’보다 시들음병과 잎마름병에 강하다. 역병균에는 ‘건백’과 같은 수준의 저항성이 있다.

 

 

 기름 함량이 53%, 단백질 함량이 28%로 높아 참기름과 깨소금 등으로 가공했을 때도 품질이 우수하다. 항산화와 인지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리그난(Lignan) 성분은 1g당 4.8mg으로 ‘건백’과 비슷하다.

 

 ‘강유’는 너무 빽빽하게 심으면 쓰러질 수 있으므로 정해진 심는 간격(재식밀도)*을 지켜야 한다. 특히 어린 모를 옮겨 심을 때는 식물체가 쓰러지기 쉬우므로 지주대를 세우고 묶어줘야 한다.

*참깨 ‘강유’ 적정 심는 간격: 55 x 15cm

 

 한편, 농촌진흥청 간척지농업연구팀은 새만금 간척지에서 재배할 수 있는 소득작물을 알아보기 위해 참깨를 시험 재배*했다. 그 결과, ‘강유’ 수확량이 0.1% 염 처리구에서 10아르당 82kg으로 나타나 간척지에서의 재배 적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2~’23년 새만금 간척지(광활 시험지)에서 토양 검정 시비 후 염 농도 0.0~0.2% 농업용수를 처리함

 

 ‘강유’ 종자는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종자광장’에서 직접 신청할 수 있다. 1차 신청 기간은 3월 31일까지다.

*‘종자광장’(https://www.seedplaza.or.kr) 063-919-1614∼6

 

 농촌진흥청 밭작물개발과 정지웅 과장은 “참깨 신품종 ‘강유’는 병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아 농가 소득향상은 물론 국산 원료곡의 안정적인 생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