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8명 “치유농업, 정신건강에 긍정적 효과”

  • 등록 2024.10.09 10:58:37
크게보기

- 농촌진흥청, 성인 남녀 506명 대상 인식 조사
- 치유농업 장점으로 ‘자연과의 교감’(27.8%), ‘정서적 안정감’(26.4%) 꼽아
- 응답자 55.8%는 도시 지역 내 치유농업 공간 원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을 호소하는 현대인들이 지속해서 느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8명은 치유농업*이 정신건강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 치유농업은 국민의 건강 회복과 유지ㆍ증진을 위한 농업ㆍ농촌자원 활용과 이와 관련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커지며 주목을 받고 있음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치유농업활동_참고사진.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05pixel, 세로 791pixel

<치유농업 활동>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국민권익위원회와 협업해 전국 성인 남녀 506명을 대상으로 치유농업의 정신건강 증진 가능성을 조사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정신건강과 관련한 치유농업의 역할과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올해 8월 26일~9월 6일까지 약 2주간 국민권익위가 운영하는 정책 소통 창구 ‘국민생각함*’에서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 국민생각함: www.epeople.go.kr/idea

 

 설문 결과, 응답자의 84%는 ‘치유농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거나 알고 있다’라고 대답했다.

 

 또한, 전체 응답자의 87.3%는 치유농업이 스트레스 감소, 우울감 완화, 불안 해소 등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기회가 된다면 ‘치유농업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라고 밝힌 응답자도 80%가 넘었다.

 

 

 치유농업의 장점으로는 ‘자연과의 교감’(27.8%)과 ‘정서적 안정감’(26.4%), ‘신체활동’(16.4%), ‘사회적 교류’(11.2%), ‘병원 진료기록이 남지 않는 점’(9.4%) 등을 들었다. 반면, 제약 요인으로는 ‘접근성 문제’(33.4%)와 ‘정보 부족’(29%), ‘비용’(22.1%) 문제 등을 꼽았다. 특히 치유농업 활동지인 농촌까지의 이동에 부담을 느끼는 사용자가 많았다.

 

 치유농업 서비스 제공 장소로는 ‘도시 지역 내 치유농업 공간’(55.8%), ‘농촌 지역 자연 속 공간’(42.9%)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도시 지역은 접근성이 좋다는 점, 농촌 지역은 자연과 교감하며 온전한 휴식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라는 점을 들었다.

 

 치유농업 정보가 제공되길 원하는 경로로는 인터넷과 누리소통매체(소셜미디어, 35%), 지역 공동체 센터(29.5%), 병원 또는 상담 센터(20.5%)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이번 설문은 치유농업의 정신건강 증진 기여 가능성을 국민 눈높이에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국민 요구를 반영해 ‘제1차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에 따라 2026년까지 치유농업 프로그램 19종 개발하는 등 저변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과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김광진 과장은 “응답자 대다수가 치유농업이 스트레스 감소와 우울감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서비스 이용 의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라며 “앞으로 농촌뿐 아니라 도시에서도 치유농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힘쓰는 한편, 관련 지원도 확대해 농업이 품은 치유의 가치를 널리 알려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