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소재 발굴 보물창고 ‘약용식물 추출물’ 연구용 분양

  • 등록 2024.10.21 12:54:10
크게보기

- 농촌진흥청, 연구자 대상 103작물 추출물 245점 분양 중
- 산·학·연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연구에 도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약용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을 돕고자 인삼, 작약, 감초 등 약용식물 추출물을 연구용으로 분양하고 있다며, 관심을 당부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dc00d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46pixel, 세로 9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d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9pixel, 세로 50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d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9pixel, 세로 41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d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12pixel, 세로 559pixel

 

약용식물원 포장

추출물 제조

약용식물 추출물

 

 농촌진흥청은 새로운 식·의약품 소재를 원하는 기업 수요를 반영하고 해외 의존도가 높아 수급이 불안정한 국내 원료 시장을 안정화하고자 2002년부터 채집 지역, 잎․뿌리 등 활용 부위, 추출 용매 조건에 따라 약용식물 추출물을 제작, 분양하고 있다.

 

 현재는 103종 작물로 만든 245점 추출물을 1점당 최대 20mg씩 분양 중이다. 분양을 희망하는 연구자*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누리집(www.nihhs.go.kr →연구성과 →식물추출물분양)을 참고해 신청서를 작성한 뒤 전자우편(jsjeoncy@korea.kr)이나 우편(인삼특작부 특용작물이용과)으로 제출하면 된다.

 * 일반인도 연구용으로 분양 가능

 

 농촌진흥청은 추출물의 원료인 식물자원을 실제로 보존하는 약용식물자원포와 국립약용식물원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연구자가 필요할 경우, 식물자원 증식을 통해 추출물 추가 제조, 추출물 대량 생산, 원료 식물의 기원 정립 등 후속 연구도 가능하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이용과 김금숙 과장은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최근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고,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수출은 2022년 대비 16.6%나 늘었다.”라며 “최근 국내 자생 식물자원을 활용해 건강기능식품 원료를 개발하려는 산업체가 많아짐에 따라 우수한 자생 약용식물자원 개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