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인삼밭 ‘보온, 해가림 시설’ 관리 필수

  • 등록 2024.12.07 12:11:09
크게보기

- 두둑에 부직포, 비닐 덮어 서릿발 피해 예방
- 폭설 피해 없도록 해가림 시설 보강, 차광망 걷어야
- 녹은 눈에 습도 높아지지 않도록 고랑과 배수로 정비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올겨울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삼에서 한파와 폭설 피해가 확산할 수 있다며*,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 12월~2월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거나 비슷할 것으로 전망. 그러나 라니냐 등 다양한 기후요소의 영향으로 인한 기온 변동 폭이 커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기상청(11.22.), ‘3개월 전망’ 보도)

 

 △언 피해 대비 토양 관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DSC03608.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8pixel, 세로 1536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0년 11월 22일 오후 3:56 카메라 제조 업체 : SONY 카메라 모델 : DSC-TX1 F-스톱 : 4.5 노출 시간 : 10/2500초 IOS 감도 : 125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대비 : 일반 채도 : 일반 선명도 : 일반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평가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EXIF 버전 : 0221

<두둑을 비닐로 덮은 모습>

 토양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 서릿발로 인해 인삼 뿌리가 들떠 머리(뇌두)가 얼거나, 눈이 녹을 때 싹이 일찍 터 언 피해를 볼 수 있다. 토양이 얼고 녹는 것이 반복되면 조직도 손상된다.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려면 두둑 위쪽에 부직포나 비닐을 덮고, 뿌리가 솟은 인삼은 고랑 흙으로 덮어준다.

 

 △폭설 대비 해가림 시설 관리

 폭설이 내리면 해가림 시설이 파손되거나 쌓인 눈이 녹으며 습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피해를 볼 수 있다. 낡은 해가림 시설은 미리 고치고 지주목은 표준 규격(3.6×3.0cm)에 맞게 설치한다. 규격 미달 자재나 재활용 자재를 쓰면 피해가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 사용한다.

 

 겨울에는 큰 눈에 대비해 차광망을 걷어 두는 것이 좋다. 차광망을 걷기 어렵다면 해가림 시설 가장자리에 버팀목을 설치하고 끈과 철사로 단단히 고정한다. 눈으로 인해 해가림 시설 붕괴가 우려될 때는 차광망을 일부 찢어 연쇄 붕괴를 방지한다.

 

 

 △높은 습도로 인한 2차 피해 예방

 폭설 후 녹은 눈이 고랑에 고이면 습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인삼 뿌리가 썩고, 머리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할 수 있다. 고랑과 배수로를 철저히 정비하고, 두둑 위쪽에 비닐 등을 덮어 물이 스미는 것을 막아야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과 마경호 과장은 “인삼은 겨울철 관리가 내년 생육과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라며 “농가에서는 대비책을 마련해 한파와 폭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힘써 달라.”라고 당부했다.

 

 한편, 인삼 재배 관련 최신 정보는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 ‘농업기술길잡이-인삼’ 편을 검색, 참고하면 된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