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짧은 유통기한 탓에 어려움을 겪던 복숭아 수출상 문제를 최신 기술로 극복하고, 수확 시기별 최적 품종을 선발해 연중 안정적으로 수출하는 ‘복숭아 수출 품종 체계 구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국내 육성 신품종의 수출 가능성을 꾸준히 타진해 온 농촌진흥청은 2021년 조생종 ‘홍백’ 품종을 홍콩과 싱가포르에 시범 수출해 현지 젊은 층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2023년에는 조생종 ‘금황’ 품종을 실시간 소통 판매(라이브 커머스)하며 유통 시간을 30시간 이내로 단축, 부드러운 복숭아의 수출 가능성을 확인했다. 올해는 싱가포르 소비자를 대상으로 중생종 복숭아 ‘스위트하백’과 ‘참백’의 수출 가능성을 평가했다.
‘홍백’, ‘금황’ 등 개별 품종에 대한 해외 시장 선호도를 확인한 농촌진흥청은 지속 가능한 케이(K)-복숭아 수출 기반을 다지기 위해 조생종부터 만생종까지 해외에서 선호하는 국내 육성 우수 품종을 연속 공급할 수 있는 이행안(로드맵)을 제시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청도복숭아연구소와 협력해 이산화염소(ClO2)·이산화탄소(CO2)를 함께 처리하는 복합 처리 기술과 선도유지제를 적용할 예정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복숭아 무름을 늦춰 단단함을 유지하고 유통 중 부패를 유발하는 병원균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커 장거리 운송 중 품질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조생종(‘홍백’, ‘금황’), 중생종(‘스위트하백’, ‘참백’)까지 품목을 확대하고, 만생종 우수 품종을 발굴해 복숭아 제철 내내 해외 시장에 고품질의 케이(K)-복숭아를 안정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 9월 5일에는 농촌진흥청 수출농업기술과(기술기반 수출 총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기초기반과, 저장유통과·경북도원 청도복숭아연구소(품종 및 선도 유지 기술 개발), 수출단지(현장 적용) 등 각 분야 전문가가 모여 ‘복숭아 수출 기술 지원 협의회’를 열기도 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품종 선발부터 재배 기술, 수확후관리, 현장 문제 해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유기적으로 협력하며 총력 대응할 것을 결의했다.에 나설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수출농업기술과 안욱현 과장은 “지금껏 복숭아 수출은 유통기간 제한으로 어렵다는 인식이 컸지만, 이제는 선도유지 기술을 기반으로 극복할 수 있게 됐다.”라며 “시기별 품종 체계와 맞춤형 기술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구축하고, 국내 복숭아 농가의 소득 증대와 케이 농산물 세계화에 기여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