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산업, 수출로 성장 활로 찾아

  • 등록 2018.05.11 15:24:17
크게보기

- 2017년 인삼류 수출, 전년대비 18.7% 증가한 1억 5,839만불 달성 -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2012년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최근 5년간 연평균 8.2%의 감소세를 보여 왔던 인삼 생산액이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서서 위기감마저 감돌던 인삼 산업에 희망의 청신호가 켜졌다고 밝혔다. 

 농식품부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인삼 생산액은 8,134억원으로 ’16년에 비해 5.8%(448억원) 증가하였고, 재배면적, 생산량도 각각 1.0%, 14.3% 증가하는 등 그간 산업관련 지표의 하락세가 상승세로 전환됨에 따라, 인삼산업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생산액(억원): (’12) 10,831 →  (’14) 8,453 → (’16) 7,686 → (’17) 8,134(5.8%↑)
   ※ 재배면적(ha): (’12) 16,174 → (’14) 14,652 → (’16) 14,679 → (’17) 14,832(1.0%↑)
   ※ 생산량(톤): (’12) 26,057 → (’14) 20,978 → (’16) 20,386 → (’17) 23,310(14.3%↑)
 
 재배 농가는 21,008호로 전년에 비해 8.4%(1,937호) 감소하여 농가당 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인삼 재배농가 호당 재배면적 : (’16) 0.64ha  →  (’17) 0.71ha

 인삼 산업의 약진은 해외 수출시장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17년 인삼류 수출은 전년(1억 3,349만불)에 비해 18.7% 증가한 1억 5,839만불을 기록하여, 현장에서는 인삼이 대표적인 수출품목으로서의  과거 명성을 다시 회복해 가고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이 51.8% 증가한 77.8백만불, 신남방정책 대상인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 아세안 시장은 19.1% 신장된 19.4백만불, 미국, 캐나다도 각각  18.5%(21백만불), 27.3%(3.2백만불) 증가하였다.
   - 특히 중동지역인 이란의 경우, ’17년 150만불로 전년(72만불) 대비 2배 이상 수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인삼 수출시장이 고른 성장세 속에서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명

2016(A)

2017(B)

(B-A)/A(%)

물량()

($)

물량()

($)

물량

금액

수출 전체(a)

5,828

133,486

6,410

158,393

10.0

18.7

(b)

중국

441

21,681

753

37,975

70.7

75.2

홍콩

192

18,594

194

21,335

1.0

14.7

대만

402

10,952

484

18,446

20.4

68.4

(소계)

1,035

51,227

1,431

77,756

38.3

51.8

아세안

2,123

16,329

2,707

19,445

27.5

19.1

북미

미국

816

17,846

1,215

21,150

48.9

18.5

캐나다

61

2,477

61

3,152

-

27.3

중동

이란

19

720

70

1,498

268.4

108.1

UAE

86

457

91

843

5.8

84.5

체코

8

229

6

312

25.0

36.2

영국

7

270

7

307

-

13.7


  인삼류 품목별로 보면, 대표 품목인 홍삼이 39.8% 증가하여 뿌리삼 (홍삼, 백삼, 수삼 등, 35.6%) 증가세를 견인하였고, 홍삼정, 홍삼조제품, 인삼음료 등 제품류 수출도 10.2% 증가했다. 

품목

2016(A)

2017(B)

(B-A)/A(%)

물량()

($)

물량()

($)

물량

금액

5,828

133,486

6,410

158,393

10.0

18.7

본 삼

253

44,353

318

60,157

25.7

35.6

- 중화권

164

33,545

230

52,802

40.2

57.4

제 품

5,575

89,133

6,092

98,236

9.3

10.2

- 중화권

871

17,682

1,200

24,954

37.8

41.1


 농식품부에서는 인삼 수출이 활력을 되찾기 시작한 것이 주력 수출시장인 중화권(중국, 홍콩, 대만)의 인삼 신제품 수요증가와 함께 중국내 뿌리삼 재고 소진 등이 수요 증가의 주 원인으로 분석했다.
    * 중화권 수출 : (중국) 37,975천$, 75.2%↑, (홍콩) 21,335, 14.7%↑, (대만) 18,446, 68.4% ↑

  건강기능식품 선호․음용 편이성 추구 등 현지 시장의 소비트렌드 변화에 대응한 스틱형제품 등 다양한 신제품 개발과 한류드라마 및 연예인을 활용한 마케팅 활동 강화 등도 수출 확대에 톡톡히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수출 신장세&l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