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을 바꿀‘국민해결 2018 아이디어 20개’선정

  • 등록 2018.08.22 10:24:27
크게보기

- 노(No)플라스틱, 청년일자리 창출, 치매예방 등 문제의식 담은 주제 다수 -

◇ 커피찌꺼기 재활용 농장이 은퇴자 일터로 변신
 - 카페에서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수거해 표고버섯 배지 등으로 재활용하는 버섯농장, 화훼농장을 통해 은퇴자 대상 일자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동시에 청소년 진로 체험장으로도 활용한다는 구상 
◇ 치매예방거리 조성

 - ‘노인’ 분야에서는 경증 치매 환자들의 인지능력 향상 및 증상 악화를 막기 위해 대구 북구의 한 주공아파트에서 단지 내 거리 이정표, 안내판, 동호수, 우편함의 구조를 무채색 디자인으로 바꾸고 노인 주도 대화모임을 계획하는 등 치매예방 환경조성을 추진할 계획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국민참여 사회문제해결 프로젝트-국민해결 2018(이하 국민해결 2018)」 사업 공모를 통해 접수된 236개 제안서 중 20개 아이디어를 최종 선정했다.
 
 「국민해결 2018」 아이디어 공모심사는 사회적경제, 마을공동체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서류심사와 160명의 국민심사단이 참여한 온라인 심사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최종 선정된 제안서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환경‧자원순환’이 5개로 가장 많았고 ‘유휴공간 활용’과 ‘청소년‧청년지원’이 각각 3개, ‘노인’과 ‘장애인’이 2개씩으로 나타났다. ‘관광’, ‘공동체’, ‘자살’, ‘교육소외’, ‘동네서점’은 각 1건이었다. 
 
 향후, 최종 선정된 20개 아이디어를 제안한 국민연구자와 분야별 전문가들이 만나 소셜리빙랩 실행팀을 구성하고 세부실행 설계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실행에는 약 7억 원이 배정될 예정이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소셜리빙랩 아이디어 최종 선정 이외에도 주민역량 강화를 통해 문제해결 토대를 구축하는 「마중물 씨앗사업」을 실시할 10개 아이디어를 함께 선정했다. 
 
 ‘마중물 씨앗사업’은 절실한 문제의식과 참신한 시각을 갖추면서 평균 300만원의 소규모 실행에 적합한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선정했다. 
   ※ ‘시각장애인의 화장실 성별구별 불편 해소’(서울), ‘블록형 페트병을 활용한 플라스틱 줄이기’(인천), ‘청년과 시민이 만드는 풀뿌리 미디어’(경북) 등

 김일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국민해결 2018」 아이디어 공모사업은 일상 문제에 많은 관심과 절실한 해결 의지를 가진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없었다면 순조롭게 진행되기 힘들었을 것이다.“라며 ”최종 선정된 아이디어가 의미 있는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응원하겠다.”라고 말했다.

국민해결 2018’소셜리빙랩 선정 아이디어

번호

분야

지역

주제 및 내용

1

환경·자원순환

강원

시민정원 분양을 통한 공공하천 관리

(춘천시 석사천 부지를 시민들에게 정원으로 분양해 주민들이 보존)

2

환경·자원순환

경북

저수지 수상정원을 통한 녹조 해결

(저수지를 수상정원으로 꾸며 수질 정화 및 지역 명소로 탈바꿈)

3

환경·자원순환

광주

커피박 업사이클링과 콩피움 진로창작소

(커피 찌꺼기 재활용 농장을 은퇴자 일터 및 청소년 진로체험장으로)

4

환경·자원순환

대전

주택가 골목길은 쓰레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쓰레기 문제 해소 위해 거점 수거함 설치, 배출장소 및 시간 안내)

5

환경·자원순환

서울

마구 버려지는 테이크아웃컵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

(마구 버려지는 플라스틱 컵의 원활한 회수 위한 재밌는 장치 설계)

6

유휴공간

부산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팀 시민건축학교리빙랩

(영도구 뉴타운 해제지역 공·폐가 87곳 활용방안을 주민이 기획)

7

유휴공간

제주

주민들의 자발적 모임 확장을 통한 광장 활성화

(탐라문화광장 공동화 문제 해결 위해 주민-행정이 프로그램 마련)

8

유휴공간

충남

원도심 빈집을 활용한 마을혁신 플렛폼 리빙랩 공작소만들기

9

청소년·청년

경기

10대 밑바닥 노동을 대체하는 지역사회 일자리 만들기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자립교육, 진로설계 등 일자리 해법 모델 제시)

10

청소년·청년

대구

청년 자조금융 설립을 통한 대안적 금융안전망 구축

(청년부채문제 해결을 위해 채무상담, 자조금융 설립 등 생태계 조성)

11

청소년·청년

충남

창직·창업을 통한 농촌지역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청년수당을 받아 지속가능한 시스템 구축)

12

노인

대구

산격1동 치매예방 거리 조성사업 기억 보듬길 프로젝트

(단지 내 안내판, 우편함을 무채색으로 바꾸는 등 인지디자인적용)

13

노인

서울

노인의 소원성취 프로젝트를 통한 사회적 고립감 해소 및 노인(고령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2030 청년 자원봉사자들이 노인의 소원을 직접 들어주기)

14

장애인/접근성

대전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 가능한 거리 조성

(장애인들의 도심 내 상가 접근권 보장 위해 이동식 경사로 설치)

15

장애인/운동권

서울

당신이 운동하는 곳에서 장애인을 본 적이 있나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기는 프로그램 기획·실행 & 앱 개발)

16

관광

전남

섬과 함께 다시 섬

(여수시 추도에 빈집 활용 숙박시설 마련 등 관광비즈니스모델 구축)

17

공동체

충북

공유경제를 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공유부엌 활용해 입주민 간 저녁식사를 함으로써 공동체 회복)

18

자살

서울

찾아가는 따뜻한 친구들, 자살 유가족과 함께하고 싶어요

(자살 유가족을 사회로 이끌어 낼 대화테이블 및 인식개선 캠페인)

19

교육소외

강원

우리동네 아이들 우리가 키운다 -교육소외 지역 공동교육 프로젝트-

(강원 화천군 내 주민들이 결합해 아이들 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20

동네서점

충북

책 생태계를 되살리는 상생충BOOK

(동네서점 및 지역 출판사 생존을 위한 주체들 간 협력체계 구축)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