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찌꺼기 재활용 농장이 은퇴자 일터로 변신 - 카페에서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를 수거해 표고버섯 배지 등으로 재활용하는 버섯농장, 화훼농장을 통해 은퇴자 대상 일자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동시에 청소년 진로 체험장으로도 활용한다는 구상 ◇ 치매예방거리 조성 - ‘노인’ 분야에서는 경증 치매 환자들의 인지능력 향상 및 증상 악화를 막기 위해 대구 북구의 한 주공아파트에서 단지 내 거리 이정표, 안내판, 동호수, 우편함의 구조를 무채색 디자인으로 바꾸고 노인 주도 대화모임을 계획하는 등 치매예방 환경조성을 추진할 계획 |
국민해결 2018’소셜리빙랩 선정 아이디어
번호 | 분야 | 지역 | 주제 및 내용 |
1 | 환경·자원순환 | 강원 | 시민정원 분양을 통한 공공하천 관리 (춘천시 석사천 부지를 시민들에게 정원으로 분양해 주민들이 보존) |
2 | 환경·자원순환 | 경북 | 저수지 수상정원을 통한 녹조 해결 (저수지를 수상정원으로 꾸며 수질 정화 및 지역 명소로 탈바꿈) |
3 | 환경·자원순환 | 광주 | 커피박 업사이클링과 콩피움 진로창작소 (커피 찌꺼기 재활용 농장을 은퇴자 일터 및 청소년 진로체험장으로) |
4 | 환경·자원순환 | 대전 | 주택가 골목길은 쓰레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까? (쓰레기 문제 해소 위해 거점 수거함 설치, 배출장소 및 시간 안내) |
5 | 환경·자원순환 | 서울 | 마구 버려지는 테이크아웃컵 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 (마구 버려지는 플라스틱 컵의 원활한 회수 위한 재밌는 장치 설계) |
6 | 유휴공간 | 부산 | 빈집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팀 ‘시민건축학교’ 리빙랩 (영도구 뉴타운 해제지역 공·폐가 87곳 활용방안을 주민이 기획) |
7 | 유휴공간 | 제주 | 주민들의 자발적 모임 확장을 통한 광장 활성화 (탐라문화광장 공동화 문제 해결 위해 주민-행정이 프로그램 마련) |
8 | 유휴공간 | 충남 | 원도심 빈집을 활용한 ‘마을혁신 플렛폼 – 리빙랩 공작소’ 만들기 |
9 | 청소년·청년 | 경기 | 10대 밑바닥 노동을 대체하는 지역사회 일자리 만들기 (학교 밖 청소년 대상 자립교육, 진로설계 등 일자리 해법 모델 제시) |
10 | 청소년·청년 | 대구 | 청년 자조금융 설립을 통한 대안적 금융안전망 구축 (청년부채문제 해결을 위해 채무상담, 자조금융 설립 등 생태계 조성) |
11 | 청소년·청년 | 충남 | 창직·창업을 통한 농촌지역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 (협동조합을 기반으로 청년수당을 받아 지속가능한 시스템 구축) |
12 | 노인 | 대구 | 산격1동 치매예방 거리 조성사업 – 기억 보듬길 프로젝트 (단지 내 안내판, 우편함을 무채색으로 바꾸는 등 ‘인지디자인’ 적용) |
13 | 노인 | 서울 | 노인의 소원성취 프로젝트를 통한 사회적 고립감 해소 및 노인(고령화)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2030 청년 자원봉사자들이 노인의 소원을 직접 들어주기) |
14 | 장애인/접근성 | 대전 |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 가능한 거리 조성 (장애인들의 도심 내 상가 접근권 보장 위해 이동식 경사로 설치) |
15 | 장애인/운동권 | 서울 | 당신이 운동하는 곳에서 장애인을 본 적이 있나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즐기는 프로그램 기획·실행 & 앱 개발) |
16 | 관광 | 전남 | 섬과 함께 다시 섬 (여수시 추도에 빈집 활용 숙박시설 마련 등 관광비즈니스모델 구축) |
17 | 공동체 | 충북 | 공유경제를 통한 아파트 공동체 만들기 프로젝트 (공유부엌 활용해 입주민 간 저녁식사를 함으로써 공동체 회복) |
18 | 자살 | 서울 | 찾아가는 따뜻한 친구들, 자살 유가족과 함께하고 싶어요 (자살 유가족을 사회로 이끌어 낼 대화테이블 및 인식개선 캠페인) |
19 | 교육소외 | 강원 | 우리동네 아이들 우리가 키운다 -교육소외 지역 공동교육 프로젝트- (강원 화천군 내 주민들이 결합해 아이들 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
20 | 동네서점 | 충북 | ‘책 생태계’를 되살리는 상생충BOOK (동네서점 및 지역 출판사 생존을 위한 주체들 간 협력체계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