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이달의 신간-6권

  • 등록 2018.12.26 08:07:46
크게보기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농약허용기준강화(이하 PLS)에 대한 농업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유기농업자재 활용 기술」과 「현장에서 궁금한 PLS Q&A(묻고 답하기) 및 농약 오남용 사례집」을 발간했습니다.

「유기농업자재 활용 기술」발간

 「유기농업자재 활용 기술」은 농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기농업기술과 넓이가 좁은 곳에서 재배하는 작목에 사용 가능한 유기자재에 관한 정보를 담았습니다. 
 - 또한, 지금까지 농촌진흥청에서 연구‧개발한 유기농업기술과 영농 정보도 함께 실었습니다.


「현장에서 궁금한 PLS Q&A 및 농약 오남용 사례집」발간

 「현장에서 궁금한 PLS Q&A 및 농약오남용 사례집」은 농업인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나온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책자입니다. 
 - 안전하고 올바른 농약사용 문화가 정착되도록 잘못된 사용(오용) 사례와 필요 이상으로 사용(남용)한 사례도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펴낸 책자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lib.rda.go.kr)에서 전자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농약의 공정 분석 방법」발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농약 관련 기관, 단체, 학계와 산업계에서 농약을 분석할 때 필요한 지침서인 「농약의 공정분석방법」을 증보 발간했습니다.
  농약 공정분석은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농식품 생산과 유통 과정에서 농약 성분이 포함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은 물론, 농약 피해 원인 규명 등 농약 분석에 꼭 필요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2010년 이후 8년 만에 다시 펴낸 이 책자에는 추가·수정·보완된 성분을 포함해 살균제 157성분, 살충제 127성분, 제초제 120성분, 식물생장조정제 33성분, 전착제 9성분, 유인제 7성분 등 총 453성분에 대한 분석법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농약 성분에 대한 화학명, 구조식, 성질, 시약과 기구, 분석방법, 계산식, 물리성 검사 방법 등도 자세히 실었습니다.
  책자에 실린 분석법은 관련 전문가의 감수와 농약안전성전문위의 검토, 농약안전성심의회 심의과정을 거쳤습니다.

 책자는 농약 등록 이화학시험연구기관과 도 농업기술원 등에 배부할 예정이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lib.rda.go.kr)에서 전자책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토양 관리 기술을 활용한 GAP 채소 생산」발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GAP 채소 생산 농가용 기술보급서인 「토양 관리 기술을 이용한 GAP 채소 생산」을 발간했습니다.

 이 책자는 토양과 물, 비료 사용 관리 등 GAP 영농활동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다루고 있으며, 모두 6장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1장은 ‘채소 재배 토양의 특징과 적정 관리 기준’으로 채소 재배지 유형, GAP 채소 생산에 알맞은 안전 토양 기준, 채소 재배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 기준, 토양 유실 방지 기술 등을 다룹니다.
  2장은 ‘GAP에서 비료사용처방 활용’으로 비료와 양분 관리에서 GAP 규정, 비료사용량 결정 방법과 기준, 비료사용처방량 산정 사례와 대상 작물, GAP 인증용 토양시료채취와 비료사용처방서 발급 절차, 흙토람 비료사용처방서 활용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3장은 ‘채소재배지 영양 관리와 염류장해 대책’으로 비료사용처방 기초 이론, 채소 생육시기별 비료 3요소 관리, 식물영양소의 역할, 염류집적 방지 대책, 양분 결핍 시 엽면시비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4장은 ‘물관리 기술’로 농업용수의 기준, 관수의 시기와 양, 관수방법을 설명합니다.
  5장은 ‘채소 작물별 토양 관리 기술’로 고추 등 26종의 채소 작물에 대한 재배 적지, 적정 토양 화학성 기준, 비료사용량 산정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6장은 ‘농산물 우수관리 인증 실시 요령’으로 GAP 인증 등에 관한 세부 실시 요령을 다룹니다.

 책자는 각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에 배부 예정이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lib.rda.go.kr)에서 PDF로도 볼 수 있습니다.


「국내 유채 품종 및 재배기술」책자 발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최근 유채 소비 확대 추세와 더불어 유채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현장에서 농가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국내 유채 품종 및 재배 기술」 책자를 발간,

 보급했습니다. 

 이 책자는 국내에서 육성한 유채 품종의 특성 및 재배 기술을 도식화해 농업인들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이 책에는 △유채의 재배 환경 및 일반 특성 △유채 품종의 주요 특성 △유채 재배기술 △병해충 방제법 및 대책 △유채 기름의 특징 및 기능성에 관한 내용이 상세하게 담겨 있으며,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www.lib.rda.go.kr), 국립식량과학원(www.nics.go.kr) 누리집에서 전자책으로 볼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서영주 바이오에너지작물연구소장은 “이 책자가 유채 산업 활성화 및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라고 전했습니다.


「감귤 영양장해와 기상재해 대책」발간․보급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감귤 재배 시 문제가 되는 영양장해와 기상재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감귤 영양장해와 기상재해 대책」개정판을 발간해 농가에 보급 중에 있습니다.   

 책자는 농가가 활용하기 쉽게 사진을 많이 수록했으며 크게 4개 분야로 구성돼 있습니다.  

 ①감귤재배 시 토양 및 양분관리, ②양분결핍 진단과 조치 방법,  ③시설 감귤 생리장해 대책, ④감귤의 기상재해 증상과 대책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습니다. 

 특히, 시설재배 감귤의 염류장해, 수부증(다습한 환경에서 껍질이 연약해지고 부패되는 현상), 이상기상에 의한 피해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토양에 쌓인 양분에 의한 염류장해의 발생 원인과 피해 증상을 제시하고, 대책으로 토양검정 후 양분을 공급하거나 비료를 여러 차례 나눠서 뿌릴 것을 추천했습니다.  

 시설재배 만감류의 수부증을 줄이기 위해선 시설 내 습도관리에 신경 쓰고 색이 드는 시기에 수용성 칼슘제를 3~4회 뿌려 껍질 조직을 튼튼하게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감귤나무와 과실의 언 피해(동해), 서리해, 가뭄피해 등 기상재해 유형별로 발생원인, 피해 증상, 사전 조치 및 발생 후 대책 등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재배관리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감귤 영양장해와 기상장해 대책」책자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www.lib.rda.go.kr)에서 PDF로 원문을 볼 수 있도록 올려놓을 예정입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최영훈 감귤연구소장은 “감귤의 영양장해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고, 만감류 수확시기에 한파 등 이상기상으로 안정 생산이 위협받고 있어 이 책자가 농가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습니다.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