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17년말 기준 농업법인의 생산구조, 경영실적 등 ‘농업법인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본 조사는 '17년 12월 말 기준으로 운영 중인 농업법인(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조사내용은 ①일반현황, ②종사자현황, ③농지현황 ④경영실적 등을 포함하며, 경영실적에 관한 사항은 국세청의 관련 자료를 활용 하였다.
일반현황
(법인수) 2017년말 기준 운영 중인 농업법인의 수는 총 21,659개소로 ‘16년 대비 2,246개소(11.6%↑)가 증가하였다. UR 시장개방에 대응한 농업경쟁력 강화 대책의 일환으로 농업법인 제도 도입('90) 이후, 농업경영체의 규모화 노력과 정부의 정책 지원 등으로 농업법인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00)5,208개소 → ('04)5,492 → ('08)6,003 → ('12)12,981 → ('17)21,659
(법인유형) 전체 운영 농업법인 21,659개소 중 영농조합법인은 13,363개소로 ‘16년대비 595개소 증가(4.7%↑)하였고, 농업회사법인은 8,296개소로 ’16년대비 1,651개소 증가(24.8%↑)하였다.
(주 사업유형) 농업법인의 주된 사업 유형을 분류하면, 생산법인 7,644개소(37.8%), 유통법인 5,228(25.9%), 가공법인 3,654(18.1%), 기타* 2,668(13.2%), 농업서비스 법인* 1,006(5.0%) 순서로 나타나 생산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농업법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기타) 체험농장, 영농자재 생산·공급 등 / (서비스업) 농작물 선별, 가축분뇨 재활용 등
종사자 현황
(총 종사자수) 농업법인의 총 종사자는 약 141천명으로 전년대비 19,189명 증가(15.7%↑)하였다. 이 중 상시종사자는 약 110천명으로 전년대비 12.6천명 증가(12.9%↑)하였으며, 임시·일용 종사자는 31천명으로 전년대비 6.6천명 증가(27.0%↑)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사자규모) 법인당 종사자수는 7.0명으로 전년대비 0.2명 증가하였고 상시 종사자규모가 5인 이상 9인 이하인 농업법인이 전년대비 높은 증가율(13.6%↑)을 보여 농업법인의 종사자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시 종사자규모별 농업법인 수(전년대비 증가율) : 4인 이하(10.9%), 5~9인(13.6), 10~49인(11.2), 50인 이상(11.0)
경지현황
(경지면적) '17년 12월 말 기준 전체 농업법인이 직접 경작하는 경지면적은 총 78,165ha*, 농업법인 당 경지면적은 9.9ha로 조사되었다. 농업법인의 경지면적(소유+임차)은 전체 경지면적의 4.8%로 전년대비 0.9%p 증가하였다.
- 전체 경지면적은 감소되는 반면 농업법인의 경지면적은 '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법인 경작 경지면적 연도별 추이('10∼'17)>
구분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농업법인 경지면적(ha) |
33,792 |
34,746 |
42,295 |
42,508 |
44,579 |
59,897 |
64,017 |
78,165 |
전체 경지면적(천ha) |
1,715 |
1,698 |
1,730 |
1,711 |
1,691 |
1,679 |
1,644 |
1,621 |
비중(%) |
2.0 |
2.0 |
2.4 |
2.5 |
2.6 |
3.6 |
3.9 |
4.8 |
* 통계청, 농업면적조사
경영실적
(매출액) 농업법인의 총 매출액은 총 29조 5,492억원으로 ‘16년대비 3조 7,816억원 증가하였으며(14.7%↑), 법인당 매출액 또한 약 1,463백만원으로 전년대비 38백만원(2.7%↑) 증가하였다.
(사업유형별) 각 사업유형별 매출액 증감률은 유통(20.3%↑), 농업서비스(20.0%↑), 농업생산(17.2%↑), 가공(7.3%↑) 순으로 증가하였고, 사업유형별 비중은 유통(45.3%), 농업생산(24.3), 가공(23.3) 순으로 나타났다.
(재정건전성) 농업법인당 자산은 1,539백만원으로 전년대비 89백만원(6.1%↑) 증가하였고, 부채는 939백만원으로 전년대비 62백만원 증가(7.0%↑)하였다. 자산과 부채 모두 전년보다 증가하였으며, 농업법인의 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156.4%로 조사되었다.
* 부채/자본 비율 : ('00)286% → ('04)197 → ('08)193 → ('12)162 → ('17)156
농식품부는 매년 농업법인의 경영실적 등 관련 현황의 변화를 조사하여 공표하고 있으며, 동 조사결과는 농업법인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결과의 세부내용은 농식품부 홈페이지(www.mafra.go.kr)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을 통해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