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난 ‘꼬마배나무이’ 어른벌레, 초기 방제 중요

  • 등록 2019.02.19 02:55:07
크게보기

- 지역별 방제 시기… 알 낳기 전 기계우유제 뿌리면 효과적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배 과원의 문제 해충인 꼬마배나무이의 피해를 막기 위해 날씨 상황에 따른 최적의 지역별 약제 살포시기를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겨울을 난 어른벌레의 80% 이상이 나무 위로 이동하는 때 또는 알을 낳기 전에 기계유유제1)를 단독으로 뿌리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꼬마배나무이 발육형태별 모습

 

꼬마배나무이는 재배지 기온에 따라 이동 시기가 달라지므로 날씨 예보를 신경 써야 한다. 해마다 2월 1일부터 한낮 기온이 6℃ 이상인 날이 16~21일인 때 방제하고, 맑고 포근한 날이 이어질 때는 인근 농가와 공동 방제를 하면 좋다.

 

2월 7일 예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영남과 호남에서는 2월 13일부터 2월 19일까지일 어른벌레의 이동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이에 따른 약제 살포 시기는

  - 밀양과 사천, 울산, 진주, 하동, 함양, 경주, 순천은 2월 17일~23일, 
  - 보성, 나주, 영천, 성주, 거창, 산청은 2월 19일~25일,
  - 옥천, 논산, 김제, 남원, 무주, 순창, 익산, 임실, 전주, 정읍, 강진, 곡성, 신안, 영암, 장성, 함평, 군위, 김천, 예천, 상주는 2월 21일~27일까지로 볼 수 있다.

 

그 외 충청 이북 지역은 3월 상순에 해당되므로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의 예측 정보를 참고해 방제한다.

 

꼬마배나무이는 주로 배나무의 거친 껍질 밑이나 봉지 잔재에서 어른벌레 형태로 겨울을 나며, 낮 기온이 7℃ 이상일 때 활동을 시작한다.

 

암컷 어른벌레는 나뭇가지 위로 이동해 교미하고 약 250개의 알을 낳은 뒤 3~4주간 살다가 죽는다. 또한, 생육기에는 잎자루 아래나 끈적이는 배설물(감로)을 덮고 있어 약제가 닿기 어려우므로 일단 정착하면 방제가 힘들다.

 

피해가 심한 경우에는 나무자람세가 덜어지거나 과피얼룩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 관리가 필수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 강삼석 소장은 "꼬마배나무이 방제 전에 미리 거친 껍질을 벗겨내고 과수원 주변에 열매를 쌌던 봉지 잔재 등을 치우면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라고 전했다.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