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숭아·자두·매실, 꽃 피는 시기 깍지벌레 방제해야

  • 등록 2019.04.17 10:42:34
크게보기

                   - 1세대 초기에 방제해야 효과 좋고 피해 최소화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복숭아, 자두, 매실, 체리 등 핵과류1)줄기에 기생하며 피해를 주는 깍지벌레의 집중 방제를 당부했다.

 

핵과류에 피해를 주는 깍지벌레는 뽕나무깍지벌레, 무화과깍지벌레, 가루깍지벌레, 말채나무공깍지벌레 4종이며, 이 중 뽕나무깍지벌레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농촌진흥청이 2017년 핵과류 과수원에서 벌레 발생을 조사한 결과, 뽕나무깍지벌레는 복숭아 과수원 68곳 중 50곳, 자두는 40곳 중 38곳, 매실은 35곳 중 30곳, 체리는 5곳 모두에서 발생했다.

 

핵과류 꽃이 피기 전·후 깍지벌레의 밀도를 낮추면 한 해 동안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알 사진

 

 

뽕나무깍지벌레 암컷 어른벌레는 교미 후 알을 품고 겨울을 난 뒤, 봄철 과수에 꽃이 피면 나무줄기에 붙어 왁스층2) 아래 품고 있던 알을 부화한다.

 

이 알에서 부화한 벌레는 깍지벌레 1세대(1령 약충3))로, 뽕나무깍지벌레는 이렇게 한 해 동안 3세대를 산다.

 

따라서, 세대를 거듭하지 않도록 1세대 부화 후 바로 방제 약제를 뿌려야 살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험 결과, 부화 초기인 1세대 1령 약충 때는 100% 방제가 됐지만, 왁스층이 형성되는 1세대 2∼3령 약충4) 시기에는 살충률이 2.7%에 머물렀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최병렬 과장은 "핵과류에 많은 피해를 주는 뽕나무깍지벌레를 제때 방제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핵과류 과수를 생산하자."라고 전했다.

------------------------------------------
1) 단단한 핵으로 싸여 있는 씨가 들어 있는 열매.
2) 왁스층은 벌레가 천적이나 농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내뿜는 물질(밀랍 층).
3) 1령 약충은 1세대 가운데서도 작은 벌레로 이동성이 있음(부화 약충기).
4) 2~3령 약충은 이동성이 없고 한 곳에 고착됨(고착 약충기).

함석구 대기자 leader777@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