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농축산물 수급 동향 및 전망

- 4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1.8% 하락하며 하향 안정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채소류 등 하락 영향으로 4월 농축산물 소비자물가가 전월 대비 1.8% 하락하였다고 밝혔다. 5월 이후에도 기온 상승, 봄철 생산물 출하, 가축 생산성 회복 등으로 공급 여건이 개선되어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2023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2023. 5. 2. 통계청 발표) ]



○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3.7% 각각 상승

- 농축산물은 전월 대비 1.8% 하락,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



<주요 등락 농축산물>

(단위 : %)



전월 대비

전년 동월 대비

상승

돼지고기(4.3), 배추(13.5), 감자(12.5), 사과(4.4), 닭고기(3.6), 브로콜리(28.0), 달걀(2.0)

돼지고기(4.2), 양파(51.7), 닭고기(12.3), 고춧가루(6.4), 파(16.0), 풋고추(14.4)

하락

풋고추(-26.1), 파(-22.6), 오이(-24.0), 딸기(-13.2), 호박(-22.9), 파프리카(-15.0), 화초(-13.0)

국산쇠고기(-6.7), 쌀(-6.5), 수입쇠고기(-6.6),

포도(-11.1), 달걀(-4.2), 배(-21.7), 배추(-10.3)




주요 농축산물의 품목별 수급 동향 및 전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농산물은 겨울 한파 및 일조 부족 등으로 강세를 보이던 채소류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며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5월 이후에도 기온 상승, 봄철 물량 본격 출하 등 공급 여건이 개선되면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추] 겨울배추 생산량 증가(전․평년 대비 각각 12.8%, 4.4%)로 낮은 가격이 지속되고 있다. 5~6월 출하되는 봄배추 재배면적도 증가(전․평년비 각각 0.3%, 13.7%)하여 수급 안정세가

2023.05.02 12:37:52
스팸방지
0 / 300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