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온 뒤 급격한 기온 상승, 과수 ‘열매 터짐’ 대비 철저한 재배 관리 필수

  • 등록 2025.07.22 13:10:35
크게보기

- 집중호우 이후 복숭아·포도 열매 터짐 피해 발생 많아
- 과수원 내부에 물길 만들어 빗물 배출 속도 높여야
- 폭염 시작되면 자주 짧게 미세 살수…과수 수분 스트레스 저감

 농촌진흥청은 집중호우 이후 기온이 급격히 오르고 폭염이 시작되면 복숭아, 포도 등 일부 과수에서 열매 터짐(열과) 피해가 우려된다며 과수 농가의 세심한 재배 관리를 당부했다.

 

 열과는 불볕더위와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급격한 환경 변화로 발생한다. 토양수분이 급격히 증가하면 과실의 수분 흡수가 빨라지는데 과실 표면의 성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나타난다. 복숭아와 포도는 껍질(과피)이 얇고 탄력이 약해 열과 발생 가능성이 높다. 품종, 토양, 나무 자람새(수세)에 따라 민감도는 다르다.

 

 △과수 수분 스트레스 줄이기= 토양이 과습한 상태에서 폭염이 시작되면 토양수분이 빠르게 증발하면서 과수의 뿌리 활력이 떨어지고 수분 흡수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과수원 바닥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과수가 수분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점적 관수 또는 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해 조금씩 자주, 꾸준히 물을 공급해 토양수분 변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낮에 물을 주면 쉽게 말라버리므로 증발량이 적은 이른 아침이나 해질 때를 선택한다.

 

 

 △칼슘 공급= 칼슘은 과실의 세포벽을 단단하게 만들어 껍질의 탄력성을 높여 열매 터짐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흡수율이 빠른 칼슘제를 선택하여 살포하되,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터진 열매는 즉시 제거= 터진 열매로 곰팡이, 세균 등이 침입해 탄저병, 잿빛곰팡이병과 같은 병해가 빠르게 퍼진다. 터진 열매와 가까이 있는 건강한 열매까지 감염시키므로 발견 즉시 따 과수원 밖에서 처리한다.

 

 농촌진흥청은 복숭아, 포도 주산지의 열매 터짐(열과) 피해 상황을 매주 점검하고, 중앙 단위 현장 기술지원단(10개 시군, 14명)을 동원해 수확기까지 안정 재배·생산을 지원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권철희 국장은 “이번 집중호우로 복숭아 열과 피해에 더해 꼭지가 물러져 떨어지는 낙과 피해도 우려돼 조생종 수확을 앞당기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라며 “8월 중순부터 수확에 들어가는 포도의 터진 열매는 발견 즉시 제거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함석구대기자 nongkeong@hanmail.net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5 제일빌딩 705호 농어촌경제신문 Tel (02)785-9449 Fax : (02)785-9459 대표자(발행인) : 함석구 |편집인 : 구자숙 copyright 2016 EKR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