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산림

유엔산림포럼, 기후위기의 해법은 ‘산림’!

4일(4.26∼4.29)간의 포럼을 통해, 한국의 산림 정책과 혁신적인 기술 소개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지난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최된 제16차 유엔산림포럼(UNFF)에 참가하여 기후 및 생물다양성 위기 등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의 산림분야 탄소중립 전략과 혁신적인 재해관리 기술 등을 국제사회에 공유하였다.

유엔산림포럼(UNFF)는 매년 유엔본부에서 개최하는 산림분야의 가장 큰 행사 중 하나로, 193개 유엔 회원국 정부 및 국제기구, 산림분야 이해관계자들이 모여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달성하기 위한 유엔산림전략계획(’17∼’30) 이행노력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정기 회의이다.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16∼‘30) : 유엔과 국제사회가 정한 17개 목표로 구성

 

회의 첫날인 4월 26일(월) 밤 10시(한국 시각)에 개최된 고위급 행사(High Level Round Table)에서 각국 정부의 고위급 대표들은 국제적 위기 대응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산림분야 정책과 활동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산림청 박은식 국제산림협력관은 한국 수석대표로 참가하여, 2050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산림분야 추진전략’과, 산림복원·재해관리 분야의 다양한 유엔기구 협력사업 등을 소개하며 국제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인 ’산림‘을 활용한 노력에 대해 발언하였다.

 

한국은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사무국과의 평화산림이니셔티브*를 통해 접경국가 간 황폐산림복원을 통한 평화·신뢰 증진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의 산림경관복원메커니즘**, 생물다양성협약(CBD) 사무국과의 산림생태계복원이니셔티브***를 통해 전 세계 20여 개국이 넘는 개발도상국의 산림복원을 지원하며 복원 선도국의 입지를 강화해나가고 있다.


   * 평화산림이니셔티브 : Peace Forest Initiative (PFI),
   ** 산림경관복원메커니즘 : Forest and Landscape Restoration Mechanism (FLRM),
  *** 산림생태계복원이니셔티브 :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Initiative (FERI)

 

또한 4월 26일 부대행사에서, 산림청 세계산림총회* 준비기획단은 ‘세계산림총회 홍보 및 전문가들의 주제 토론’을 진행하였고, 4월 27일에는 산림청 국제협력담당관이 주유엔호주대표부 주관 ‘산림분야에서의 혁신기술과 지속가능성’ 주제 행사에서 ‘헬기와 드론, 정보기술을 활용한 한국의 산불정책’을 발표하며 행사 참가자들로부터 큰 호응과 관심을 이끌어냈다.


   * 제15차 세계산림총회(World Forestry Congress, WFC) : 산림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회의로 산림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폭넓게 논의(’22.5.2∼5.6, 서울 코엑스)

 

산림청 박은식 국제산림협력관은 “내년 5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세계산림총회는, 국제사회가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이를 위해 유엔산림포럼이 수립한 유엔산림전략계획(’17∼’30)의 이행 노력을 중간 점검하는 기회로서, 전 세계 산림관계자들에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여름 장마 대비 사료작물 안정 생산 조건은?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여름 장마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줄이고 하계 사료작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려면, 내습성 품종을 선택하고 배수로를 정비하는 등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최근 전략작물직불제 시행으로 논에서 옥수수, 수수류 등 하계 사료작물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밭작물이라 논에서 재배할 때 습해에 매우 취약하다. 하계 사료작물이 습해를 입으면 뿌리 활력이 떨어지고 고온기 시듦 증상이 나타나 생산성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논 재배가 불가피한 경우 내습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료용 벼(총체벼)와 사료피는 침수에 견디는 성질이 강해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논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내습성·다수성이 우수한 신품종인 ‘조온’, ‘다온’을 개발하고, 농가 보급을 위한 종자 생산을 추진 중이다. 파종 이후에는 배수 관리를 철저히 한다. 재배지 외곽에 주 배수로를 확보하고, 내부에 작은 배수로를 설치해 비가 온 뒤 24시간 내 물 빠짐이 가능하게 한다. 장마철 전에는 이랑을 정비하고, 물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한다. 만약 침수 피해로 작물 수확량이 줄어든 경우, ‘응급풀사

식품

더보기
“불향 한입에 풍미 한가득” 도드람, ‘불맛한판 직화불막창’ 출시
한돈 전문식품 브랜드 도드람(조합장 박광욱)이 CU 편의점을 통해 신제품 ‘불맛한판 직화불막창’을 출시하며 간편식과 안주 시장을 겨냥한 제품 라인업 강화에 나섰다. ‘불맛한판 직화불막창’은 국내산 돼지막창을 참숯 직화 방식으로 구워낸 제품으로, 불향 가득한 깊은 풍미와 막창 특유의 쫄깃한 식감을 자랑한다. 조리된 상태로 제공되는 제품으로, 전자레인지에 간단히 데우기만 하면 바로 즐길 수 있어 조리 부담이 없고, 별도의 손질이나 양념 과정 없이도 전문점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점이 특징이다. 이번 신제품은 도드람이 축적해온 돼지고기 가공 기술력과 직화 조리 노하우가 결합된 결과물로, 변화하는 식문화와 1~2인 가구 중심의 소비 트렌드에 발맞춰 1회에 먹기 적당한 180g 소용량으로 구성됐다. 또한 냉장 보관이 가능해 보관 및 활용이 용이하며, 안주로는 물론 혼밥·혼술용 간편식으로도 손색이 없다. 도드람 관계자는 “불맛한판 직화불막창은 정통 직화구이 방식의 깊은 풍미를 집에서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된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간편하면서도 품질을 놓치지 않는 제품들을 지속 선보이며, 소비자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만족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불맛한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