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 김영록 장관은 8월 28일(월) 최근 살충제 계란과 빈번한 AI 발생으로 문제되고 있는 산란계 사육환경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직접 현장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개선방안에 대해 현장의 의견을 들었다.
김영록 장관은 이날 경기도 평택시의 산란계 농장을 찾아 산란계 케이지 사육환경과 계란 안전성 관리 현황에 대해 설명을 듣고, 농장주 등 참석한 관계자와 사육환경 개선방향과 농가 애로사항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영록 장관은 계란・닭고기 안전성 확보와 질병예방을 위해서 사육 및 생산방식의 패러다임 전환과 유통・판매 단계별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특히, 살충제 계란파동으로 수익성 위주의 가축 사육과 축산물 유통관리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난 것을 계기로 밀식 사육에서 동물복지형으로 사육환경을 개선하고, 유통・판매 단계별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계란유통센터(GP)를 통해 계란 수집·판매를 의무화하고, 소비자 신뢰를 위해 사육환경 표시제와 계란・닭고기 이력추적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영록 장관은 참석한 관계자들에게 안전한 축산물 생산을 위해 생산・유통・판매 주체가 모두 함께 최선을 다할 것을 당부하고 정부도 기존 사육농가가 동물복지형으로 사육환경을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비용, 경영비 증가 등 농가부담을 고려하여 전환 농가에 대한 인센티브와 시설개선 컨설팅 및 교육 등을 통해 농가를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서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경기도 평택의 벼 재배 현장을 방문하여 올해 벼 작황 등을 점검하는 한편, 수확기를 앞둔 농업인들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후, 현장 농업인들을 격려하고 쌀 수확기 대책 방향을 공유하는 한편, 현장의견을 수렴하는 기회를 가지고 올해 수확기 시장안정 및 쌀값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현장의견을 향후 수확기 대책에 충실히 반영할 것을 약속하면서, 내년부터 쌀 생산조정제(논 타작물 재배지원 사업)가 도입되는 만큼, 원활한 타작물 전환을 위한 준비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유관기관 및 지자체 등에 당부했다.
김영록 장관은 향후 벼 작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 대책 마련을 위한 전문가‧현장 의견수렴, 관계부처 협의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