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정책

추석대비 주요 농축산물 수급안정 대책

 농림축산식품부는(장관 김영록, 이하 ‘농식품부’) 추석 명절을 앞두고 추석 수요가 많은 성수품 공급 확대, 알뜰 소비정보 제공 등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8월 하순까지 지속된 잦은 비 등으로 채소류를 비롯한 농산물 수급에 대한 우려가 많았으나,  최근까지 비교적 양호한 기상여건으로 채소류 등의 출하가 정상을 찾아 가고 있으며, 추석 전까지 태풍 등 이상기상이 없을 경우 추석명절 수급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1.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대책

가.추석 성수품 공급확대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을 위해 추석 명절에 수요가 많은 10대 품목*의 공급량을 평시대비 1.4배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 (제수용, 선물용) 사과, 배, 소고기, 밤, 대추, (탕국용 등) 배추, 무,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 1일 공급계획 : (평시) 5,374톤/1일 → (대책기간) 7,430톤(138%)

 공급물량은 채소・과일의 경우 정부 비축물량과 농협계약재배 물량을, 축산물은 농협 도축물량과 관련단체 회원 보유물량을, 임산물은 산림조합 보유물량을 대책기간 중 공급한다.

    <품목별 확대 공급>

 먼저, 배추․무는 현재 출하물량의 생육이 양호하고, 출하지역도 확대*될 전망으로 성수기 원활한 공급이 예상된다.
    * 배추․무 : (8월 중순까지) 태백, 정선, 평창 → (8월 하순~9월) 태백, 정선, 평창 이외 강릉, 삼척, 영월, 횡성, 양구 등 출하지역 추가
< 9월 공급전망>

구 분

평년

2016

2017(p)

 

전년비(%)

평년비(%)

배추

110천톤

79

84100

6.327%

23.6~△9.1

21.9천톤

18.3

19.8

8.4%

9.6

    * 평년(과거 5년)중 ‘12~‘15년간 과잉생산으로 9월 공급물량이 많아 ‘17.9월 공급예상량은 평년대비 감소
   - 대책기간 정부 계약재배 일일 공급 계획 : (평시) 배추 430톤/ 무 144톤 → (대책기간) 배추 595톤/ 무 270톤

 사과․배는 금년 추석이 늦어 명절 수요 증가에 대응한 공급여력이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 대책기간 농협계약재배 일일 공급 계획 : (평시)사과 350톤/ 배 500톤 → (대책기간) 사과 700톤/ 배 1,000톤
< 9월 공급전망 >

구분

평년

2016

2017(p)

 

전년비(%)

평년비(%)

사과

76.8

93.1 천톤

94.9

1.9

23.6

65.7

64.6 천톤

78.9

22.2

20.1


 축산물은 한우(2,655천마리)와 돼지(10,432) 사육마릿수가 각각 전년대비 1.4%, 0.7% 증가하여 추석수요 증가에도 수급안정이 전망되고,
   * 사육마릿수(천마리, ’16.6→’17.6): (한우) 2,619 → 2,655 / (돼지) 10,355 → 10,432

   - 계란공급량은 평년(4,000만개/일) 대비 95% 수준(3,800)이지만 소비심리 위축으로 가격 하락세, 9월 중순이후 점차 소비회복* 전망
   * 계란성수기 수요 증가에 대비 계란수매 비축하고(1천만개, 9.11~9.18), 9.18일 이후 계란수급상황에 따라 탄력적 방출 추진

   → 대책기간 일일 공급 계획 : 한우(평시 도축물량 552→ 대책기간 800톤), 돼지(평시 도축물량 2,441→3,000톤), 계란(양계협회 출하물량, 165→204톤), 닭고기(육계협회 출하물량, 785→850톤)

 밤·대추는 금년 생산량이 전년대비 증가 전망이고 명절기간 공급물량(산림조합)도 충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밤 생산량 : (평년) 59,999톤 → (‘16) 53,600 → (’17p) 56,219 (전년비 4.9%↑, 평년비 6.3%↓)
   * 대추 생산량 : (평년) 11,345톤 → (‘16) 10,748 → (’17p) 13,074 (전년비 21.6%↑, 평년비 15.2%↑)
   → 대책기간 일일 공급계획: (평시) (밤) 5.5톤/(대추) 1톤→ (대책기간) 9.1톤/1.5톤


나.정보제공 및 유통단속

 성수품의 알뜰 소비를 돕기 위해 추석 전 성수품 등의 가격동향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는 전국 19개 지역 45개 시장․대형마트 등 소매점을 대상으로 성수품(8부류 28품목), 선물세트(6부류 7품목) 등의 가격을 조사하여 2회(9.21, 9.28) 공표(www.kamis.co.kr - ‘성수품 정보’)한다.

 아울러,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을 중심으로 농축산물의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추석 전에 단계별*로 원산지허위표시 등 부정유통행위 단속(9.6.∼10.2)**도 추진한다.
    * 1단계(9.6.∼9.17.)는 제수․선물용 제조·통신판매업체 중심, 2단계(9.18.∼10.2.) 전통시장, 대형마트 등 도·소매업체 등 중심단속
    ** 특별사법경찰관리 1.1천명, 명예감시원 3천명 등 참여

다.장터개설 및 할인공급

 (장터개설) 농식품부는 소비자들의 성수품, 농식품 선물세트 등 구매편의 지원을 위해 직거래장터․특판장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직거래장터․특판장은 농식품부, 농협, 지자체 등이 개설한 직거래장터 422개소를 비롯 농․임협 특판장 2,122개 등 총 2,544개소를 9.11일부터 추석 전까지 운영한다.

< 직거래장터 및 특판장 운영계획('17.9.11.~10.3.)>

직거래장터

축산물

이동판매

특판장

(·임협 판매장)

합계

로컬푸드직매장

바로마켓, 내고향 장터 등

171

233

18

2,122

2,544개소

    * 장터정보는 인터넷(www.esingsing.com), 스마트폰 ‘싱싱장터’ 앱을 통해 검색 가능

 (할인공급) 직거래장터와 더불어 공영TV홈쇼핑*, 대형 온라인 쇼핑몰(네이버, CJ, 11번가 등) 등 온라인 기획전 등을 통해 성수품․선물용품을 할인 공급한다.
    * 추석 전 1달간(9.1~9.30) 약 290회 추석 성수품 방송 집중 편성

 과일은 중소과로 구성한 과일세트*를 공급(6만개/5~7.5kg, 중소과 구성, 농협계통매장, 공영홈쇼핑, 홈앤쇼핑 등, 20~30%할인)하고, 
    * 사과(5kg, 18개), 배(7.5kg, 14개), 사과·배 혼합(6kg, 13개)

 축산물은 한우․돼지고기 등의 소포장․실속형 선물세트와 정육을 할인공급한다.

   - (한우고기) 소포장․실속형 5만원 이하 선물세트(3천 세트, 축협), 등심․불고기․국거리용 한우 할인판매*(2,300두, 20~30%↓, 9.25~10.4) 및 온라인 판매**
     * 농협 계통매장 및 대형할인매장(이마트 등) 1,800개소
     ** ‘한우 114몰’을 통해 산지와 연계한 직거래 판매(한우자조금, 10~20%↓)

 - (돼지고기, 닭고기) 온라인을 통한 선물세트* 할인판매
  * 돼지고기 : 5만원 이하 실속형 포장 14,350세트 판매 추진(한돈Mall, 신선육, 돈가스, 가공육 등)
  * 닭고기가공품(삼계탕, 닭갈비 등), 햄․소시지 등 식육가공품 선물세트  할인(5~30%)

 밤, 대추는 산림조합 주요 판매장(7개소)을 통해 할인공급(10~40% 할인)할 계획이다.

2. 수급안정 대책반 운영 등

 (수급안정 대책반 운영) 추석대비 주요 농축산물 수급안정대책의 원만한 추진을 위해 ‘17.9.11~9.29일까지(3주간)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 대책반’을 운영한다.

 농식품부 차관(김현수)을 반장으로 하고, 산림청, aT, 농협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대책반에서는 품목별 공급 상황・가격동향을 일일점검하고, 수급불안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관계기관 등과 신속한 협의를 통해 수급안정조치를 취하게 된다.

 농식품부는 이번 추석 성수품 수급에 문제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하면서, 우리 농업인의 정성이 담긴 우수한 농축산물을 선물로 많이 활용해 줄 것을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서 인공지능(AI) 기반 경영혁신 성과 선보여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18일부터 20일까지 울산에서 열린 ‘2025년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에 참여해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한 기관 경영혁신 성과를 알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이번 학회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체계 △스마트축산을 통한 산업 성장지원 현황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제공을 통한 행정 효율화 성과 등 기관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부스에서 인공지능 기반 소 품질평가 장비를 시연해 현장에서 기술이 활용되는 방식을 생생하게 선보여 참여자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축산물품질평가원 디지털추진본부 이호철 본부장이 학회에서 ‘축산유통의 디지털 혁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해 인공지능 기술 활용을 통한 혁신 사례를 참석자와 나눴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 장비를 점진적으로 전국 작업장에 확대 적용해 축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 예정이다. 박병홍 축산물품질평가원장은 “인공지능 기반의 품질평가는 생산자에게는 공정하고 투명한 평가를, 소비자에게는 과학적인 등급판정을 통한 신뢰감을 제공한다”라며 “향후 전국 작업장에 장비 도입을 확대해 등급판정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식품

더보기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 하림, ‘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요리의 맛을 그대로 구현한 ‘The미식(더미식) 트레이요리’ 7종을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장인라면, 즉석밥, 요리면, 국물요리, 요리밥, 육즙만두, 덮밥소스, 밀키트, 요리양념 등에 이은 더미식의 신규 카테고리 제품이다. 이번 신제품은 용기째 전자레인지 혹은 에어프라이어 조리만으로도 팬에서 갓 구워낸 듯한 맛과 식감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트레이 요리 제품으로, 바쁜 일상 속에서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들을 위해 개발됐다. 별도의 요리 준비나 치우는 과정이 필요 없어 집들이나 홈 파티뿐만 아니라 여행, 캠핑 등의 야외 모임에서도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완성도 높은 한 끼 메뉴라는 점이 큰 장점이다. 더미식 트레이요리는 ‘닭다리살 구이’, ‘닭가슴살 구이’, ‘순살 닭갈비’, ‘순살 찜닭’, ‘제육볶음’, ‘함박스테이크’, ‘토마토미트볼파스타’등 총 7종으로 구성됐다. 제품은 트레이 형태로 포장돼 별도의 그릇 없이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며, 단품 요리 또는 밥반찬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닭다리살 구이’와 ‘닭가슴살 구이’는 100% 국내산 닭고기를 사용했으며, 닭다리살과 닭가슴살 각각의 부위를

산림

더보기
AI와 드론 활용한 산림종자 예측 연구, 본격 추진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화·결실 및 종자 생산량 예측 시스템 개발’ 연구를 추진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한 개화·결실 시기 변화, 종자 품질 저하, 임업 인력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드론 원격탐사, 디지털 영상 분석, AI 예측 알고리즘 등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종자 생산 관리에 접목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8월부터 매달 종자 발생량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사업은 농업회사법인㈜제주천지, 경희대학교, ㈜하늘숲엔지니어링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존 표본목 조사와 추정식 활용은 기상 변화로 인한 예측 오차가 컸지만, 이번 시스템이 도입되면 개체별·시기별 실측 데이터와 예측 모델을 통해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자동 비행 드론을 활용하면 조사 인력과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현장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산림종자 관리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명정보연구과 구자정 박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산림종자 채취와 생산량 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과 안정적인 종자 공급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