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1일 긴급 대책회의 후속, 농업분야 피해 상황 및 대책 점검 -
제7호 태풍 ‘쁘라삐룬(Prapiroon)이 내일 새벽 제주도를 시작으로 내일(7.3일) 15시 부산을 지나는 등 한반도가 직접 영향권역으로 들어감에 따라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은 7.1 긴급 대책회의에 이어 7.2일 10시, 농식품부 소관 실국과 농촌진흥청, 농어촌공사, 농협중앙회 등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2차 대책회의를 소집하였다.
이 자리에서 김 차관은 집중호우에 따른 농업분야 피해 및 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 7.1일 대책회의 시 지시한 태풍 이동경로와 집중 호우지역에 예상되는 피해상황과 조치방안을 집중 점검하였다.
< 농업분야 피해 및 대응상황 >
농식품부가 지자체 등의 보고를 토대로 집계한 농업분야 피해는 7.2일 06시 현재 농작물 4,258.1ha 침수, 저수지 1개소 제방유실, 용수간선 4개소 유실‧매몰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 (지역별) 충북 1.3ha, 충남 137.0ha, 전북 1,724.4, 전남 2,377.0, 경북 3.4, 경남 15.0,(작물별) 벼 3,768.6, 전작 284.4, 채소 4.6, 특작 0.5, 사료작물 200.0
* (저수지) 모원저수지 제방유실(10m, 전남 보성), 용수간선 4개소(전북 장수)
배수장의 즉각 가동을 통해 침수지역의 68%(2,895ha)는 퇴수를 완료했고, 32%(1,363ha)는 금일 중 퇴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제방이 유실된 모원저수지의 경우, 보성군에서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하여 마대 쌓기 등으로 응급복구를 추진 중에 있으며,
- 전북 장남서부 용수간선 4개소는 복구를 완료했다.
< 주요 대책 점검 >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은 7.1일 대책회의 시 지시한 주요 조치필요 사항을 점검하고, 다음사항을 지시하였다.
벼, 밭작물 등의 침수 후 조기에 배수를 실시하고, 비가 그치는 즉시 병충해 등 2차 피해 방지 대책 준비
- 병충해 방제인력 및 방제약 확보 상황 점검, 바닷물 비산에 따른 피해방지 방안 마련 등
태풍 및 호우 예상경로에 있는 저수지의 저수율 관리를 강화하고, 배수장 인력배치 및 배수장 가동 준비상황 등 특별점검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은 강풍과 호우에 의한 쓰러짐, 침관수 피해 등 방지를 위해 지주시설 보강, 배수로 정비 등 대책을 추진토록 지자체를 통한 농업인 지도 강화, 취약지구 특별점검
과수는 강풍에 의해 가지가 찢어지지 않도록 받침대에 묶어주고,
- 수확 가능한 자두‧복숭아 등은 신속히 수확토록 농업인 지도를 지자체에 요청 및 취약지구 특별점검
축산분야는 가축질병 방지를 위해 축사 위생과 환경을 청결히 유지하고,
- 호우시기를 이용한 축산분뇨 무단방류 방지를 위한 취약지구 특별점검
봄감자, 채소류 등 수확, 출하 중에 있는 농작물 피해 예방 및 수급불안해소를 위해 품목별 상황점검 및 대책 추진
< 당부사항 >
김현수 농식품부 차관은 태풍 쁘라삐룬이 직접적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내일 이후 농작물과 농업시설 등에 대한 피해가 확대될 수 있으므로 더욱 면밀한 주의와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농업재해대책상황실을 중심으로 농식품부와 농진청, 농어촌공사, 농협중앙회, 지자체 등 유관기관이 태풍 이동경로와 피해상황을 공유하면서 긴밀히 협력하여 품목별, 시설별로 철저한 대비를 할 것으로 지시하고,
- 기 발생한 피해에 대해서는 조기 응급복구와 병충해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책 추진을 지시하였다.
아울러, 농업인들에게는 정부와 지자체가 긴급 문자 등으로 전달하는 기상정보와 재해대응요령에 주의를 기울여 주실 것과,
- 수확중인 작물 조기 수확, 농장과 주변 정리 등을 통해 태풍과 호우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 피해 발생 시에는 읍‧면과 지역농협 등에 신속히 신고하여 주실 것을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