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회소식

경찰의 낮은 검거율에 점점 늘어나는 데이트폭력

데이트폭력 신고건수 해마다 높아지고 있지만, 경찰의 검거비율은 절반 아래로 내려가
한정애 “데이트폭력은 중대범죄, 경찰은 젠더폭력에 기민하게 대응해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국회의원(서울 강서병, 정책위원회 의장)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데이트폭력 범죄 연간 신고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검거비율과 구속비율은 줄어드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폭력 범죄 연간 신고 검거 현황>

구분

신고건수

검거인원

검거비율(%)

구속건수

구속비율(%)

2016년

9,364

8,367

89.4

449

5.4

2017년

14,136

10,303

72.9

417

4.0

2018년

18,671

10,245

54.8

393

3.8

2019년

19,940

9,858

49.4

507

5.1

2020.8월

13,118

6,112

46.6

168

2.7

(자료: 경찰청)

 

데이트폭력은 데이트관계에서 발생하는 언어적·정서적·경제적·성적·신체적 폭력을 일컫는데, 피해자의 대부분이 여성으로 성차별적인 사회구조와 불평등한 성별권력관계에 뿌리를 둔 젠더폭력의 한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범죄유형별 연간 현황>

구분

폭행,

상해

체포,

감금,협박

살인(미수

포함)

성폭력

경범등

기타

2016년

신고건수

6,483

1,225

52

233

1,371

검거인원

6,233

1,017

52

224

841

2017년

신고건수

9,378

1,474

67

143

3,074

검거인원

7,552

1,189

67

138

1,357

2018년

신고건수

12,212

1,567

42

117

4,733

검거인원

7,461

1,089

42

99

1,554

2019년

신고건수

12,615

1,727

35

95

5,468

검거인원

7,003

1,067

35

84

1,669

2020.8월

신고건수

8,362

942

24

36

3,754

검거인원

4,349

629

24

34

1,076

(자료: 경찰청)

 

데이트폭력 범죄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신고건수(2020.8)를 기준으로 폭행·상해가 가장 많은 8,362건(63.7%)을 차지했고, 이어 경범등 기타가 3,754건(28.6%), 체포·감금·협박이 942건(7.1%)으로 뒤를 이었다. 데이트폭력 범죄의 70% 이상이 강력범죄임에도 불구하고 검거비율과 구속비율은 점점 낮아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피의자들은 이미 다른 전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검거된 가해자(2020.8) 중 67%에 이르는 4,072명이 전과자였다. 최소 1범의 전과자부터 9범 이상까지 고르게 분포해 있었으며, 9범 이상 전과자도 전체 검거인원의 15.7%인 965명에 달했다.

 

<데이트폭력 피의자 전과 내역>

구분

1~3범

4~8범

9범 이상

2016년

2,689

1,652

1,150

2017년

3,232

2,060

1,573

2018년

3,413

2,278

1,615

2019년

3,291

2,119

1,514

2020.8월

1,924

1,183

965

(자료: 경찰청)

 

지방경찰청별 데이트폭력 처리 현황은 천차만별이었다. 전년도에 발생한 건수까지 검거해 100%를 상회하는 지방청도 있었지만, 제주·경기남부·충남의 경우에는 지난 3년간 절반도 넘지 못하는 검거 실적을 보였다. 일부 높은 검거율을 보이는 지방청도 있었으나, 검거율이 점점 떨어지는 지방청과 고질적으로 낮은 검거율의 지방청도 많았다.

 

<지방경찰청별 데이트 폭력 처리 현황> (단위 : %)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8월

광주

91.7

91.9

85.0

98.4

103

대전

108

116

99.8

95.0

105

울산

107

88.6

85.5

82.3

48.5

강원

107

94.6

92.6

85.0

81.3

충북

97.1

102

81.7

69.7

64.1

경북

83.3

96.0

79.9

69.5

70.0

제주

92.3

50.2

20.0

13.1

16.5

서울

93.9

75.9

77.3

64.9

68.8

부산

98.0

78.0

84.7

85.6

79.5

대구

96.5

95.3

86.6

69.7

62.2

인천

77.6

86.0

57.0

53.3

47.1

경기남부

70.2

47.4

24.9

22.8

17.4

경기북부

89.3

100.6

68.7

68.4

71.4

충남

91.1

61.4

37.2

33.1

38.4

전북

95.3

96.9

99.2

97.7

99.5

전남

97.9

79.0

50.6

62.6

41.7

경남

101.4

68.3

73.6

88.0

95.9

(자료: 경찰청)

 

경찰은 2016년부터 일선 경찰서마다 ‘데이트폭력TF’를 구성했고, 255개서 4,001명의 전담인력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데이트폭력이 ‘사적이고 소소한 다툼’으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어 경찰의 적극적인 데이트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지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한 의원은 “여성 대상 범죄 중에서도 피해자의 몸과 마음, 일상을 파괴하는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은 여러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조직 개편과 수사권 조정 등을 앞둔 경찰이 데이트폭력을 비롯한 젠더 폭력에 더욱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내 손으로 만드는 축산유통 서비스 …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축산유통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개최!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축산 유통 서비스 혁신을 위해 5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축산유통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경진대회는 소비자, 축산업 종사자, 학계, 대학생 등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과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개선 의견을 공모한다. 공모 주제는 기획 분야와 자율 분야로 구분된다. 기획 분야는 축산유통 디지털화와 스마트 축산 활성화 등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 분야는 품질 평가, 이력제도, 축산유통, 정책 지원, 상생협력 및 지역 발전 등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 전반을 주제로 의견을 공모해 국민이 가진 다양한 축산 유통 관련 의견을 경청한다. 접수 방법은 두 가지이다. 기획안은 구글 폼과 전자 우편으로, 영상(쇼트 폼)은 전자 우편으로 접수할 수 있다. 구글 폼은 포스터 내 정보무늬(큐알코드)와 누리집을 통해 바로 접속 가능하다. * 2025 국민참여 혁신 경진대회 전자 우편 주소: ekape@kois.co.kr 축산물품질평가원은 6월 30일까지 접수된 내용들을 1차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경인지원,스마트 해썹 확산을 위한 견학 프로그램 운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 경인지원은 5월 29일(목)에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와 협력하여 인천 지역의 중소 식품제조업체 25개소를 대상으로 스마트 해썹 현장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번 현장 견학 프로그램은 스마트 해썹 등록업체인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을 직접 방문하여 스마트 해썹 시스템의 운영 사례와 효과를 현장에서 체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후레쉬퍼스트/반찬단지 2공장’은 최첨단 생산설비를 갖추고 볶음김치, 냉동나물을 생산하는 업체로서 ▲공정별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 이력추적 ▲설비 자동 제어 등 디지털 기반 식품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한 대표적인 스마트 해썹 등록 업체이다. 견학에 참가한 업체들은 기존 해썹에서 스마트 해썹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법과 성과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견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는 “생산 및 관리 데이터가 자동으로 저장·전송되는 스마트 해썹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품질을 점검하는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다. 향후 스마트 해썹 도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인천시 식품산업육성지원센터 김정희 센터장은 “관내 식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