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인삼 생산성 향상은 ‘토양 양분 관리’부터 시작

- 재배 예정지에 볏짚 등 넣어주고, 덜 발효한 퇴비 자제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인삼 예정지 선정이 활발히 이뤄지는 겨울철을 맞아 안정적인 인삼 생산을 위한 토양 염류 관리 요령을 제시했다.

 

 인삼은 한 곳에서 4~6년간 자라는 작물로 토양 속 양분을 알맞은 수준으로 맞춰주는 것이 중요하다.

 토양 표면에 높은 농도의 염류가 쌓이면 염류 장해로 인삼 품질이 낮아지고 수량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뿌리에 상처가 생겨 병원균 침입이 쉬워지고 인삼 뿌리 표면이 붉은색으로 변하는 적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인삼을 재배할 때는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흙토람 누리집(http://soil.rda.go.kr/soil/)’에서 토양 물리성을 확인하고, 지역 농업기술센터에 토양 분석을 의뢰해 토양이 관리 기준에 알맞은지 화학성을 확인하고 염류 농도에 관여하는 요인을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토양에 염류가 쌓이는 것을 막기 위해 재배 예정지에는 덜 발효한 퇴비(닭똥, 돼지똥, 소똥) 사용을 지양해야 한다.

 또 ‘표준인삼경작법’에 맞춰 볏짚, 보릿짚, 호밀짚은 10아르(a)당 1,800kg(마른 것 기준)을 주고, 식물성 유기물인 깻묵(유박)은 10아르(a)당 200kg을 준다. 왕겨는 논과 밭에 양을 달리해서 뿌리는데, 10아르(a)당 논에는 1,000리터(L), 밭에는 4,000리터(L)를 준다.

 토양 분석에서 이미 염류가 쌓인 곳으로 나온 밭은 흙을 3~4회 갈아엎은 뒤 호밀, 수단그라스를 잘라 넣으면 된다.

 이미 인삼을 재배하고 있는 곳에서 염류 농도를 낮추려면 흙을 2~3cm 두께로 덮거나 짚 이엉을 덮어준다. 물을 10~15일 간격으로 1칸당 생육 초기에는 6~10리터, 생육 후기에는 15~18리터 뿌리는 것도 염류 농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현동윤 인삼과장은 “건강한 인삼을 재배, 생산하기 위해서는 인삼이 뿌리 내리고 있는 토양이 중요하다.”라며, “염류 관리를 통한 적정 토양 환경 조성으로 인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참고자료>인삼 토양 염류 관리 요령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국제학술대회에서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연구 성과를 공유하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8월 27일(수)부터 29일(금)까지 여수 디오션리조트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식품 가공, 유통, 저장과 관련된 사업성과 및 식품안전 연구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스마트 혁신과 식품안전: 차세대 기술이 만드는 새로운 표준’을 주제로 8월 28일(목) 오후 4시 30분부터 디오션리조트 그랜드볼룸AB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스마트 식품안전을 위한 딥러닝 기반 신속 병원균 검출 플랫폼(고려대학교 박현우 교수) ▲4차 산업 기술을 활용한 식품특화 스마트센서 개발 연구(해썹인증원 박정일 팀장) ▲스마트 해썹 선도모델 구축 사례(CJ제일제당 고지혜 팀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은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스마트해썹 플랫폼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 운영은 스마트 혁신을 기반으로 한 식품안전관리 기술을 알리는 좋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