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3년 디지털 역량강화교육 우수사례 보고회’를 1월 25일(목) 인천광역시 학이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역량강화교육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 중으로, 일상생활과 사회·경제 활동이 급격히 디지털화되는 가운데 국민 누구나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의 혜택을 고루 누릴 수 있도록 필요한 디지털 역량 교육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2023년에는 총 99.6만 명이 교육을 받았고, 2020년부터 현재까지 총 287만 명이 교육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2023년 사업 성과와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강사·서포터즈 등 우수 참여자에 대한 시상과 격려를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2023년 디지털 역량강화 사업의 주요 실적을 살펴보면, 17개 광역지자체와 226개 기초지자체가 모두 참여하여 전국 1,011개소의 디지털 역량강화교육장을 운영하였으며, 99.6만 명이 교육을 받았다.
수강생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58.3%)이 가장 많았고 4~50대(17.7%), 10대 이하(16.2%) 등 다양한 연령층이 참여하였다.
< ’23년 연령별 교육생 분석 >
구분 |
10대 이하 |
2~30대 |
4~50대 |
60대 이상 |
기타 |
합계 |
교육생(명) |
161,966 |
58,936 |
170,132 |
580,926 |
24,479 |
996,439 |
백분율 |
16.2% |
5.9% |
17.1% |
58.3% |
2.5% |
100% |
디지털 역량강화교육은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주민센터, 도서관 등 접근이 용이한 다양한 생활공간을 교육 장소로 활용하였으며, 특히 장애인 시설 42곳, 노인복지관 159곳, 지역아동센터 26곳, 농어민 지원센터 13곳, 다문화가정 및 가족 지원센터 16곳 등 취약계층 친화적 장소가 다수 포함되었다.
< ‘23년 디지털 역량강화교육 교육장 현황 >
구분 |
복지관 |
주민센터 |
도서관 |
평생학습관 |
커뮤니티센터 |
지역아동센터 |
개수 |
348 |
190 |
127 |
68 |
56 |
26 |
백분율 |
34.4% |
18.8% |
12.6% |
6.7% |
5.5% |
2.6% |
구분 |
공공기관 |
경로당 |
다문화센터 |
일자리지원센터 |
농어민지원센터 |
기타 |
개수 |
22 |
20 |
16 |
16 |
13 |
109 |
백분율 |
2.2% |
2.0% |
1.6% |
1.6% |
1.3% |
10.8% |
특히 지역 간 디지털 격차 완화를 위해 디지털 교육을 받기 힘든 도서산간 지역을 대상으로 배움터 버스를 운영하여 약 9만 명에게 교육을 제공하였다.
또한, 디지털 심화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 교육*을 활성화하여 약 13만 명에게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등 신기술 교육을 확대 운영하였다.
* 예 : 인공지능 가상 비서,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상권분석 교육 등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관은 “2024년부터는 언제 어디서든 교육이 가능하도록 디지털 교육 실습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온라인 교육을 확대하겠다.”고 언급하며,
“정부-지자체-유관기관 간 협력을 확대·강화하여 디지털 역량강화교육이 디지털 포용사회의 지역 거점으로 뿌리내리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