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8.8℃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9℃
  • 구름많음대전 27.2℃
  • 구름많음대구 26.8℃
  • 구름많음울산 26.6℃
  • 구름조금광주 27.7℃
  • 구름많음부산 26.0℃
  • 흐림고창 27.4℃
  • 구름많음제주 24.7℃
  • 맑음강화 27.5℃
  • 구름조금보은 24.5℃
  • 구름많음금산 26.3℃
  • 흐림강진군 24.6℃
  • 구름많음경주시 27.2℃
  • 흐림거제 23.9℃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저궤도 위성통신(6G),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사업 등 2023년 접수된 3개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 2024년 제4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개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23일(화)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4년 제4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이하 ‘위원회’)」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2023년 제2·3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대상으로 선정된 3개 사업의 조사 결과 안건을 심의·의결하였다.

 

 

 

< 2024년 제4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개요 >

 

 

 

▸ 일시 : 2024.5.23.(목), 10:00~11:00

▸ 참석자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주재), 관계부처 실・국장 및 민간위원 등

▸ 안건

  1. 2023년 제2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안)

  2. 2023년 제3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안)

 

【 1. 2023년 제2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➊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천리안위성 5호) 개발 사업 (기상청·과기정통부)

 

 동 사업은 산업체 주관으로 천리안위성 5호를 개발 및 발사(’31년)하여 천리안위성 2A호의 주요 임무*를 승계하고, 우주경제 시대 민간기업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 기상재해 경감, 기후변화·우주기상 감시

 

 

 사업 추진 과정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참여하여 기술이전을 통해 민간기업의 위성개발 역량을 향상시키고 우리나라 우주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위성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로 부품의 해외의존도를 낮추어, 국가안보 자산인 위성의 국산화율을 높일 수 있으며, 동 위성에 탑재할 고사양 기상탑재체를 활용하여 동네단위 초단기 기상예보, 산불·집중호우 국소탐지 등의 국민 체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총사업비) 6,008.44억 원, (사업기간) ’25~’31년(7년)

 

【 2. 2023년 제3차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➊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 (과기정통부)

 

 동 사업은 6세대 이동통신(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핵심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추진 기간동안 통신위성 발사(’30년) 및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시범망)을 구축하고, 관련 기술 및 검증 이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업 추진을 통해 2028년 발표 예정인 6G 표준과 연계하여 우리나라가 선도적으로 관련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핵심기술 자립화와 함께 표준 기반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총사업비) 3,199.9억 원, (사업기간) ’25~’30년(6년)

 

 ➋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 (산업부)

 

 동 사업은 액정디스플레이(LC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 차세대 무기발광(iLED***)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확보와 산업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한다. 마이크로LED를 중심으로 iLED 화소·패널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전 공정 실증에 필요한 인프라인 스마트 모듈러 센터(충남 아산시 탕정면)를 구축 하는 사업이다.

 

  * LCD : Liquid Crystal Display / **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iLED : 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사업추진을 통해 LCD·OLED 대비 신뢰성과 휘도가 높고, 수명이 긴 특성을 가진 초고난도 iLED 기술을 확보하고, 아직 개화 전인 iLED 시장에 선제적으로 진입하여, 우리나라가 세계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도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이바지할 전망이다.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총사업비) 4,840.0억 원, (사업기간) ’25~’32년(8년)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이번 연구개발 예타를 통과한 3개 사업의 시행을 통해 국가전략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내년부터 사업에 즉시 착수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며, “사업에 참여하는 부처와 기관, 기업들은 전 세계 기술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조속한 기술개발과 상용화에 힘써달라.”고 당부하였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무더위 집 나간 입맛 찾아요”…비빔면부터 냉면까지, 여름면 인기
여름 무더위의 열기를 식혀줄 시원한 음식이 인기를 끄는 가운데, 최근 면 요리 가격이 급등하는 ‘누들플레이션’ 현상이 이어지면서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여름면 제품이 조명을 받고 있다. ◆ 매콤새콤하게 입맛 돋우는 ‘별미’ 비빔면…팔도·농심·하림·오뚜기, 치열한 각축전 비빔면은 대표적인 여름면 격전지 중 하나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국내 비빔면 시장 규모는 2015년 757억원에서 지난해 1800억 원을 기록하며 매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여름부터는 농심, 하림 등 신흥강자들이 선전하면서 비빔면 시장의 순위가 큰 격변기를 맞고 있다. 경쟁이 치열해지며 주요 비빔면 생산 기업들은 신제품을 넘어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하림은 지난해 3월 ‘더미식 비빔면’을 출시하며 비빔면 경쟁에 뛰어들었다. 당시 공개했던 ‘아는 맛 보다 맛있다’는 키메시지처럼 하림은 인지도를 착실히 쌓고 있다. 지난해 7~8월 대형마트 3사(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기준 매출액 규모 3위에 올랐다. 최근에는 비빔면 제품군을 확대하여 더미식 비빔면 용기면을 선보이기도 했다. 농심은 지난 4월 말 용기면 ‘배홍동큰사발면’을 출시했다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