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7.0℃
  • 맑음강릉 7.6℃
  • 맑음서울 6.7℃
  • 구름조금대전 7.0℃
  • 맑음대구 9.0℃
  • 구름많음울산 7.5℃
  • 맑음광주 6.9℃
  • 맑음부산 9.0℃
  • 맑음고창 5.9℃
  • 구름많음제주 8.2℃
  • 맑음강화 5.0℃
  • 구름많음보은 6.4℃
  • 구름많음금산 6.2℃
  • 구름조금강진군 8.4℃
  • 구름조금경주시 9.0℃
  • 구름조금거제 7.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IT·통신

2025년 1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장기 설 연휴(1.25~30일)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수출 일시적 둔화
- 전년 동월 대비 반도체 15개월, 컴퓨터‧주변기기 13개월 연속 수출 증가

 ’25년 1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162.9억 불, 수입은 134.5억 불, 무역수지는 28.3억 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수출은 장기 설 연휴(1.25~30일)에 따른 조업일수가 감소(△4일)하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163.5억불) 대비 0.4%로 일시적으로 둔화되었으나, 반도체 및 컴퓨터‧주변기기의 호조로 수출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 최근 월별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추이(억불, %, 전년동월 대비) >

 

 

 

 

 

  반도체 수출은 시스템 반도체(34.8억불, △4.3%) 감소에도 인공지능 수요 급등, 메모리 선전(61.8억불, 17.2↑%) 등으로 증가하였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인공지능 서버와 데이터센터의 저장장치로 사용되는 대용량 보조기억장치<SSD>(6.4억불, 27.1%↑)의 견조한 수출 확대로 13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1월 수출 현황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101.4억 불, 7.7%↑) 인공지능(AI) 시장 성장, 정보통신 기기 시장 회복으로 전체 반도체 수출은 15개월 연속 증가*

 

   * 반도체 수출 추이(억불, %) : (’23.11월)95.6(10.7↑) → (‘24.12월)145.1(31.1↑) → (’25.1월)101.4(7.7↑)

 

  - 특히, 메모리는 인공지능 서버 투자확대로 인한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 품목 수요 증가로 시스템 반도체 감소에도 선전하며 반도체 수출을 견인

 

 ○ (디스플레이 : 12.6억 불, △16.1%) 텔레비전·개인용 컴퓨터 등 가전제품 수요 부진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가 있으나, 10억 불 수준은 지속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억불, %) : (‘24.7월)19.3(2.1↑) → (10월)18.0(△21.5) → (‘25.1월)12.6(△16.1)

 

 (휴대폰 : 10.1억 불, △8.8%) 카메라 모듈 등 부분품 주요 수출국인 중국(6.1억 불, 12.6%↑)은 증가하였으나, 베트남 등 여타 지역 수요 부진으로 전체 수출은 감소

    * 휴대폰 수출 추이(억불, %) : ('24.11월)14.5(△6.4) → (12월)11.2(19.3↑) → (‘25.1월)10.1(△8.8)

 

  (컴퓨터·주변기기 : 9.3억 불, 10.0%↑) 주변기기 내 보조기억장치(SSD 등, 6.4억 불, 27.1%↑)의 수출 확대로 13개월 연속 증가 기록*

    *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추이(SSD 등, 억불, %) : (’23.12월)8.2(△29.5) → (’24.1월)8.5(33.8↑) → (’25.1월)9.3(10.0↑)

 

  (통신장비 : 1.6억 불, △20.9%) 미국(0.4억 불, 0.6%↑)은 증가했으나, 중국(홍콩포함, 0.1억 불, △12.2%), 베트남(0.3억 불, △43.6%), 유럽연합(0.3억 불, △0.1%), 일본(0.1억 불, △37.7%) 등은 감소

 

    * 통신장비 수출 추이(억불, %) : ('24.11월)2.0(△3.7) → (12월)2.0(4.3↑) → (‘25.1월)1.6(△20.9)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중견기업 41.6억 불, △12.7%) 반도체(21.2억 불, △7.9%), 디스플레이(1.9억 불, △6.0%), 컴퓨터‧주변기기(1.3억 불, △16.3%) 등 감소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60.4억 불, △19.5%) 휴대폰(6.1억 불, 12.6%↑) 수출이 증가, 반도체(43.3억 불, △22.5%), 디스플레이(4.6억 불, △16.9%) 등은 감소

 

    *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4.9월)91.4(22.0↑) → (11월)79.1(△2.2) → (‘25.1월)60.4(△19.5) 

 

  (베트남 : 28.5억 불, 12.2%↑) 휴대폰(1.4억 불, △19.0%) 등 품목 전반 감소이나, 반도체(17.4억 불, 45.2%↑)가 견인하며 전체 수출은 18개월 연속 증가*

 

    * 베트남 수출(억불, %) : (’23.7월)25.2(△18.7) → (8월)30.5(1.7↑) → (’25.1월)28.5(12.2↑)

 

  (미국 : 22.0억 불, 24.6%↑) 서버·데이터센터 수요 중심으로 반도체(8.2억 불, 67.5%↑), 컴퓨터·주변기기(SSD 등 4.6억 불, 72.9%↑) 등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출은 15개월 연속 증가*

 

    * 미국 수출(억불, %) : (’23.10월)17.4(△14.7) →(11월)20.6(12.5↑) → (’25.1월)22.0(24.6↑)

 

  (유럽연합 : 7.3억 불, △18.9%) 반도체(2.2억 불, 16.8%↑) 수출이 증가, 휴대폰(0.3억 불, △65.7%), 디스플레이(0.3억 불, △34.2%) 등은 감소

 

    ※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4.11월)10.7(5.7↑) → (12월)9.1(△3.9) → (’25.1월)7.3(△18.9)

 

  (일본 : 2.9억 불, △4.9%) 디스플레이(0.1억 불, 20.5%↑), 휴대폰(0.1억 불, 0.5%↑), 컴퓨터·주변기기(0.4억 불, 21.0%↑) 등이 증가, 반도체(0.8억 불, △6.3%) 등은 감소

 

    ※ 일본 월별 수출(억불, %) : ('24.11월)2.9(△6.5) → (12월)3.6(14.3↑) → (‘25.1월)2.9(△4.9)

 

 

정보통신산업(ICT) 1월 수입 현황

 

 (품목별) 반도체(77.4억 불, 40.1%↑), 컴퓨터·주변기기(보조기억장치<SSD> 등, 15.4억 불, 3.9%↑)는 증가, 디스플레이(3.6억 불, △28.1%), 휴대폰(6.1억 불, △19.9%)은 감소

 

 (지역별) 미국(8.7억 불, 25.4%↑), 일본(12.5억 불, 21.6%↑) 등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8.1억 불, △23.0%), 베트남(13.0억 불, △6.1%) 등은 감소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인공지능 이용 농생명 빅데이터 활용 방안 모색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김병석 연구정책국장은 3월 18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통합 플랫폼 기업 ㈜더존비즈온(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을 방문, 농업 연구현장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민관 연구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더존비즈온은 인공지능(AI) 기반 법인세무조정 혁신을 통해 회계 담당·임직원의 업무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회계업무 체계를 바꾼 국내 대표적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다. 최근에는 기업 업무를 도와주는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원AI*)를 기반으로 기존에 없던 회계업무 체계를 선보이는 등 혁신적 업무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원AI: 기업내 데이터를 학습하여 회계, 세무, 인사, 이메일, 전자결제 등 업무처리 지원 김 국장은 “최근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해 업무 효율을 높이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라며 “농촌진흥청도 생성형 인공지능을 적극 이용해 농업 연구 현장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 또는 이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농업인 및 관련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국장은 농촌진흥청이 진행하고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국산 목재 활용해 건축문화 선도하는 국립자연휴양림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19일 전국 국립자연휴양림 시설에 국산 목재를 적극 활용하여 목조건축 활성화와 친환경 건축 문화 선도에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목조건축은 다른 건축물과 비교해 탄소 저감 효과가 뛰어난 친환경 건축 방식으로 나무의 생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이를 건축 자재로 활용하면 오랜 기간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 목조주택은 약 17~34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19평 규모의 목조주택이 상쇄하는 탄소 배출량은 승용차 18대의 연간 배출량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서(2022)」 또한, 시설 이용 측면에서도 습도 조절과 단열 효과가 뛰어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휴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신규로 조성하는 휴양림(금산, 감악산, 백양산)과 시설 개선 중인 기존휴양림(낙안민속, 상당산성, 청태산, 중미산)에 다양한 형태의 목구조 건축과 목재 가구류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신규로 조성하는 백양산자연휴양림(부산광역시)은 목재의 장점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