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축산정책

16년 유실·유기동물 9만마리 구조·보호 , 지난 해 대비 9.3% 증가

- `16년 동물의 등록·유기동물관리 등 동물보호 ․ 복지 실태조사 결과 자료

 농림축산검역본부(이하 검역본부)는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동물의 보호와 복지관리 실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6년말을 기준으로 동물등록,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 동물복지농장 인증 및 동물관련 영업 현황 등을 조사한 결과이다.
    ※ 동물보호법 제45조(실태조사 및 정보의 공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동물보호·복지 실태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마다 정기적으로 공표하여야 한다.

<동물등록제>
 동물의 보호, 유실․유기 방지 등을 위하여 주택에서 기르는 개 등에 대해 ‘14년부터 동물등록을 의무화하였으며, ’16년말 기준 총 1,070.7천마리가 등록되었다.

동물등록수 누계

  '16년 신규등록 된 개는 91,509마리로 전년(91,232마리)과 유사한 수준이며, 등록형태는 내장형(65.2%), 외장형(27.6%), 인식표(7.2%) 순으로 내장형 무선식별장치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도별 내장형 무선식별장치 신규 등록 비율


<유실·유기동물 구조·보호 현황>
 ‘16년 동안 구조된 유실・유기동물은 89,732마리로 지자체의 적극적인 구조 등으로 전년대비 9.3% 증가하였다.
     * 유실․유기동물 구조 현황 : [`14] 81.2천마리 → [`15] 82.1 → [`16] 89.7
  동물 종류별로는 개 63.6천마리(70.9%), 고양이 24.9천마리(27.8%), 기타 1.2천마리(1.4%) 순이다.
 동물보호센터에 입소된 유실·유기동물의 보호형태는 분양(30.4%), 자연사(25.0%), 안락사(19.9%), 소유주 인도(15.2%) 순이며 ‘14년 이후 안락사는 줄어들고 소유주 인도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연도별 동물보호센터 유실·유기동물 보호형태
 
 ‘16년 동물보호센터는 281개소(직영 26개소, 위탁 250개소, 시설위탁 5개소)로 전년대비 26개소(8.5%) 감소하였다.
  동물보호센터가 광역화․대형화 되고 시・군에서 직접 관리하는 직영 또는 시설 위탁형 동물보호센터가 증가함에 따라 `14년 이후 동물보호센터의 수는 감소 중이다. 
     * 위탁 동물보호센터 현황 : ['14] 343개소 → ['15] 279 → ['16] 250(감 29)
     * 직영(시설위탁포함) 동물보호센터 현황 : ['14] 25개소 → ['15] 28 → ['16] 31
  지자체의 `16년 유실․유기 동물 구조․보호 및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114.8억원으로 전년대비 17.3억원(17.8%) 증가하였다.

<길고양이 중성화(TNR) 지원 사업>
 ‘16년 길고양이 33,313마리를 대상으로 중성화 사업을 추진하여 4,294백만원이 소요되었고, 전년대비 대상 길고양이 수는 7,007마리(26.6%), 비용은 1,155백만원(36.8%) 증가하였다.

<동물실험윤리위윈회 운영 및 동물사용 현황>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설치기관은 364개소이며 '16년 2,919회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총 2,879천마리의 실험동물이 사용되어 전년대비 약 372천마리(14.8%)가 증가하였다.
     * 연도별 사용 마리수 : ['14] 2,412천마리 → ['15] 2,507 → ['16] 2,879
 사용 마리수가 가장 많은 동물종은 설치류(2,633천마리)이며 어류 (117천마리), 조류(55천마리), 토끼(37천마리), 기타포유류(29천마리) 등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동물종별 실험동물 사용비율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
 동물복지 인증농장은 7개 축종에 대한 인증기준을 마련하여 `16년 36농가를 신규인증, 총 114개 농가를 인증하였다. 
  축종별로 산란계 89농가(1,033.5천마리), 양돈 12농가(31.8천마리), 육계 11농가(974.4천마리), 젖소 2농가(152마리)가 참여하고 있다.
     * `16년 축종별 신규 인증농장 : (산란계) 21농장, (육계) 9, (양돈) 6

<반려동물 관련 영업의 등록·운영 현황>
 총 4,180개의 동물생산․판매․장묘업체가 신고․등록되어 있으며, 종사자수는 5,521명으로 조사되었다.
  등록된 동물판매업체는 전년대비 14.9% 증가한 3,778개소로 704개소가 신규 등록되고 214개소가 폐업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사자수는 4,857명이다.
 동물장묘업체는 전년대비 4개소 증가한 20개소이며 종사자수는 91명으로 조사되었다.
 신고된 동물생산업체는 382개소로 종사자는 573명으로 파악됐다.
 검역본부는 “반려동물 문화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동물보호 특별사법경찰 제도의 도입을 추진하여 동물학대에 대한 단속 및 처벌을 강화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중앙-지방 농촌진흥기관, 호우·폭염 대응 현황 공유…현장 기술지원 강화
농촌진흥청은 8월 4일 오전, 본청 영농종합상황실에서 서효원 차장 주재로 ‘호우·폭염 대응 점검 회의’ 열고, 각 도(道)와 특·광역시 농촌진흥기관 담당관을 통해 지역별 호우·폭염 대응 현황을 공유했다. 서 차장은 지난 7월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복구가 완료되지 않는 상태에서 다시 비가 내려 농업인, 농작물, 농업시설물 피해가 가중됨을 강조하며 각 기관이 역량을 총동원하여 피해 최소화에 나서줄 것을 강조했다. 특히 7일(목)까지 국지적으로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지자체가 지정한 집중 관리지역을 중심으로 농경지 배수로 정비와 농업시설물 보강 등 사전 점검을 강화하고, 집중호우 시에는 농작업 중단·외출 자제 등 농업인 행동 요령을 반복적으로 안내할 것을 당부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호우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중앙-지방 간 신속한 연락망을 통해 각 지역의 농업 부문 피해 상황 등을 수시로 파악할 계획이다. 한편, 비가 그친 뒤에는 습하고 체감온도가 높은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어 농업인 온열질환자 발생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과 현장 지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가금류 등 폭염에 취약한 축종을 중심으로 사양관리 및 축사 환경 관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역량 강화 교육 진행 … 스마트축산과 가까워져요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스마트축산 장비 도입 및 희망 농가를 대상으로 7월 24일부터 9월 26일까지 ‘스마트축산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역량 강화’ 교육을 총 8회 진행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함께하는 이번 교육은 스마트축산 장비를 접할 기회가 부족했던 농가에 장비와 데이터 활용법을 소개하고 장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스마트축산 도입을 적극 독려하기 위해 진행된다. 교육은 △스마트축산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소개 및 도입효과 △현장 적용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사양관리 기술 △스마트축산 데이터 활용 및 해석·연계 방법 △스마트축산 관련 정책 사업 소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7월 24일과 25일, 교육생 76명을 대상으로 1차 교육을 진행했다. 참여한 한우 농가 교육생은 “다양한 장비 활용 방법과 사양관리 기술을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었고, 우수 농가 사례를 통해 그동안 막연했던 스마트축산이 한층 가까워진 느낌”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육은 축종별로 온오프라인에서 진행되며 오프라인 교육은 구글 폼으로 신청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은 별도 신청 절차 없이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광복 80년, 사진 공모전을 통해 100년 전 한반도 식물채집 기록의 수수께끼를 풀다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광복 80년을 맞아, 지난 7월 중 진행한 온라인 사진 공모 캠페인 ‘우리식물의 잃어버린 기록을 찾아서: 이제 당신의 사진으로 이어갑니다’를 통해, 단순한 사진 재현을 넘어 100여 년 전 식물채집 기록의 역사적 퍼즐을 푸는 의미 있는 성과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1917~1918년 미국 식물학자 어니스트 헨리 윌슨(E.H.Wilson)이 한반도 전역에서 식물채집을 하며 남긴 사진과 기록을 바탕으로, 일반 국민이 같은 장소의 사진이나 같은 장소를 찾아 다시 촬영한 사진을 공모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캠페인을 통해 수집된 참가자들의 사진들은 뜻밖의 중요한 사실들을 밝혀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제주도에서 촬영되어 정방폭포로 기록된 사진 속 장소가 실제로는 천지연폭포로 확인되었으며, ▲울릉도 도동 지역의 107년 전 사진과 현재 사진을 비교한 결과, 현저한 생태환경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당시에 촬영된 한 사찰에 대한 기록은, 지명의 일본어 발음을 그대로 표기한 것을 해석하는 중에 ▲‘서울 성북구 관음사’로 기록되었는데, 이번 캠페인을 통해 서울이 아닌 북한 개성의 관음사였음이 밝혀졌다. 이는 당시 윌슨의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