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농업

가을 별미 찰옥수수 심기 서두르세요

- 이달 중하순까지 심어야 단맛 강하고 찰기 좋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가을 별미, 찰옥수수를 제때 수확하기 위해서는 이달 중하순까지 심기를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 즉 무상기간(無霜期間)1) 이 늘어나면서 여름작물을 늦가을까지 재배할 수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은 이를 활용해 2기작 재배로 경지이용률을 높이고, 농가소득을 늘릴 수 가을철 찰옥수수 재배기술을 개발했다.

 

 2기작 재배기술을 활용하면 4월에 심어 7월에 수확하는 봄 재배에 이어 7월에 심어 10월에 수확하는 가을 재배까지 1년에 두 번 재배가 가능하다.

 

 가을에 수확하는 찰옥수수는 알이 차오르는 시기에 온도가 낮고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당도가 높고 맛과 품질이 우수하며 해충의 피해도 적게 입는다.

 

  고품질의 찰옥수수를 수확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까지는 심기를 마쳐야 한다. 대략 7월 15일에 심으면 10월 5∼10일쯤(수염 출현 후 26∼28일), 7월 20일 심으면 10월 10∼20일쯤(수염 출현 후 29∼31일) 풋 찰옥수수를 수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남부 산간지역에서는 7월 15∼20일, 남부·해안지역은 7월 25일까지는 심기를 마쳐야 한다. 이 시기가 지나면 옥수수 알이 제대로 차지 않고 서리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한여름에는 수확 후 2~3일 만에 급속히 알이 딱딱해지는데 늦가을에 수확하면 수확 기간이 6일 이상으로 길어진다.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찰옥수수 품종으로는 ‘일미찰’, ‘찰옥4호’가 있다. ‘일미찰’과 ‘찰옥4호’는 가을 재배에 알맞은 흰색 찰옥수수 품종으로, 이삭이 크고 당도가 높으며 재배하기가 수월하다.2)

 

 농촌진흥청 재배환경과 노태환 과장은 “늦가을에 찰옥수수가 생산되면 소비자는 연중 고품질의 신선한 풋 찰옥수수를 맛볼 수 있고, 재배 농업인은 안정적인 소득을 올릴 수 있어 소비자와 농업인 모두가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찰옥수수 가을재배 수확과 이삭 모습 등

 

□ 찰옥수수 ‘일미찰’(중만생종) 가을재배 (2019년, 수원)

 * 심는 시기에 따른 수확기와 2기작 재배 시 파종 시기

 

 

□ 찰옥수수 ‘일미찰’과 ‘찰옥4호’ 가을재배와 이삭 모습

 

 

 

‘일미찰’

‘찰옥4호’

(7월 20일 파종 → 10월 20일 수확)

(7월 20일 파종 → 10월 20일 수확)


1)  무상기간: 늦은 봄의 마지막 서리 때부터 초가을의 첫 서리 때까지로 1년 중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

2)  봄재배보다 가을재배 시 재배 기간이 단축됨. 봄재배는 파종부터 수확까지 120일 이상 소요되는 데 비해 가을재배는 파종부터 수확까지 100일 소요됨. 당도는 봄재배 시 12∼14브릭스, 가을재배 시 14브릭스 이상임


농업

더보기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물・그늘・휴식 3대 수칙 지켜주세요”
연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전국에 ‘폭염특보’가 발령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기후 민감 직업군인 농업인이 온열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건강 안전 행동 요령을 안내하고, 실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농작업 전 준비 사항= 농작업 당일 날씨와 체감온도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농작업 중 마실 수 있는 시원한 물을 준비한다. 챙이 넓은 모자와 밝은색의 헐렁한 작업복을 입고, 휴대용 선풍기나 보냉 장비(얼음 주머니, 냉각 목밴드 등)를 챙긴다. 더운 시간대(낮 12~17시) 작업은 되도록 피하고, 작업 일정을 조정한다. △농작업 중 점검 사항= 농작업 중 갈증이 나지 않아도 15~20분마다 시원한 물을 마시고, 체감온도가 33도(℃) 이상 오르는 폭염경보가 발효되면, 2시간마다 20분 이상 휴식한다. 더운 날에는 작업 강도를 조정하고, 농작업자를 자주 교대한다. 체감온도가 35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작업을 멈추고 쉰다. 농작업 중 발열, 두통, 어지러움, 매스꺼움, 피로감 등 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농작업 후 관리 요령= 농작업이 끝나면 그늘에서 잠시 쉬면서 수분을 보충한다. 작업 후에는 몸을 씻거나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며 체온을 낮춘다.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식품과학회에서 미래식품 안전전략 연구 성과 공유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한상배, 해썹인증원)은 7월 2일(수)부터 4일(금)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는 ‘2025년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하여 분과를 운영한다. 해썹인증원은 주요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식품안전 연구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다양한 식품 관련 학술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이번 한국식품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위해요소 정보 역량: 데이터 융합이 이끄는 미래 식품 안전 전략’를 주제로 7월 3일(목) 오전 9시 30분부터 12시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 회의실 201호에서 분과를 진행한다. 주요 내용은 ▲해썹 데이터 분석기술 발전(고려대학교 조태진 교수) ▲공공데이터 기반 맞춤형 온라인 위해 분석 서비스(해썹인증원 손영훈 팀장) ▲식품 제조 및 유통 전 단계의 통합적 위해요소 분석을 통한 예측가능한 식품안전 시스템 구축(아워홈 엄태건 부문장)이며, 좌장은 해썹인증원 홍진환 인증사업이사가 맡는다. 홍진환 인증사업이사는 “해썹인증원에서는 식품산업 분야의 최신 기술을 바탕으로 업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에 기반한 위해요소 분석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이번 분과를 통해 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미래 식품안전 전략을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