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7.8℃
  • 맑음강릉 7.5℃
  • 맑음서울 7.2℃
  • 구름조금대전 7.8℃
  • 맑음대구 9.6℃
  • 구름많음울산 7.8℃
  • 맑음광주 7.4℃
  • 맑음부산 8.6℃
  • 맑음고창 6.0℃
  • 구름조금제주 8.5℃
  • 맑음강화 4.8℃
  • 구름조금보은 6.5℃
  • 구름조금금산 6.4℃
  • 맑음강진군 8.2℃
  • 구름많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4월 항만 수출입 물동량 전년 동월 대비 7.4% 증가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5.7% 증가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20214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13,092만 톤으로, 전년 동월(12,277만 톤) 대비 6.6%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 수출입 물동량은 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출 증가로 자동차 물동량이 증가하고 석유화학제품 수출도 늘면서 전년 동월(1399만 톤) 대비 7.4% 증가11,167만 톤으로 집계되었다.

             

 - 연안 물동량은 수송량 비중이 높은 광석, 자동차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1,878만 톤) 대비 2.5% 증가 1,925만 톤을 처리하였다.

 

 20214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미국, 중국 등 주요 교역국의 경기 회복 영향으로 전년 동월(244TEU) 대비 5.7% 증가 258TEU 집계되었다.

  

 

[ 전국 무역항 항만물동량(’214) ]

(단위 : 만 톤, %)

구 분

’20.4

최근 3개월

’21.4

’21.1

’21.2

’21.3

총물동량

12,277

12,895

11,830

13,587

13,092

전년 동월 대비 

△8.2

△1.6

△2.3

1.3

6.6

 

수 출 입

10,399

11,118

10,278

11,708

11,167

 

   

1,878

1,777

1,552

1,879

1,925

 

 항만별 물동량은 부산항과 광양항, 인천항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5.8%, 9.2%, 6.6% 증가하였고 울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7.1% 감소하였다.

 

 

컨테이너 화물

 

  2021 4 전국 항만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수출입 물동량과 환적 물동량이 모두 증가하여 전년 동월(244TEU) 대비 5.7% 증가 258 TEU를 기록하였다.

 

 

 - 수출입은 전년 동월(139TEU) 대비 6.3% 증가 148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 72TEU(8.0%↑), 수입76TEU(4.8%↑)로 수출 물동량의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주요 교역상대국인 대미(對美) 수출입 증가세(9.3%↑)가 지속되고 있다.

 

 

 - 환적은 전년 동월(103TEU) 대비 5.0% 증가 108TEU를 기록하였다.

  

 

[ 전국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214) ]

(단위 : TEU, %)

구 분

’20.4

최근 3개월

’21.4

’21.1

’21.2

’21.3

총물동량

2,443

2,465

2,205

2,617

2,582

전년 동월 대비 

△1.9

3.8

0.9

1.0

5.7

 

수 출 입

1,394

1,423

1,264

1,553

1,482

   

1,033

1,024

926

1,045

1,085

 

   

16

18

15

19

15

 

  부산항은 전년 동월(182.9TEU) 대비 6.6% 증가 195.0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 환적물량이 모두 증가하였다.

 

 

 

 - 수출입부산항의 물동량 기준 상위국 가운데 일본(9.7%↓) 외한 중국(8.6%↑)미국(14.3%↑) 등 다수 국가의 물동량 증가에 따라 전년 동월(83.9TEU) 대비 6.9% 증가 89.7TEU를 처리했다.

 

 

 - 환적은 전년 동월(99.0TEU) 대비 6.4% 증가 105.3TEU처리하였는데, 이는 주요국가(중국 33.3(9.8%↑))의 환적물량 증가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항은 전년 동월(27.8TEU) 대비 6.4% 증가한 29.5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20202, 7월에 각각 개설된 베트남중국 신규항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27.1TEU) 대비 7.4% 증가29.1TEU, 환적은 전년 동월(6TEU) 대비 소폭 감소한 4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18.2TEU) 대비 2.9% 감소한 17.7TEU를 기록하였는데, 수출입은 소폭 증가(전년 동월(14.9TEU) 대비 1.0% 증가15.1TEU) 하였으나, 해운동맹 재편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3.3TEU) 대비 소폭 감소한 2.6TEU에 그쳐 전체 물동량은 감소했다.

    * HMM의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 가입(’20.4)에 따른 항로 통폐합으로 중동노선 폐지

  

 

비컨테이너 화물

 

 2021 4월 전국 항만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8,542만 톤으로 전년 동월(8,288만 톤) 대비 3.1% 증가하였고, 항만별로 보면 광양항, 인천항은 증가한 반면 울산항과 평택·당진항은 감소하였다.

 

[ 전국 항만 비컨테이너 물동량(’214) ]

(단위 : 만 톤, %)

구 분

’20.4

최근 3개월

’21.4

’21.1

’21.2

’21.3

총물동량

8,288

8,540

7,959

9,063

8,542

전년 동월 대비 

5.1

△4.5

△5.4

0.4

3.1

 

수 출 입

6,424

6,780

6,420

7,202

6,630

 

   

1,864

1,760

1,539

1,861

1,912

 

  - 광양항은 유류 물동량이 감소하였으나 광석 등 제철 관련 제품의 물동량 회복으로 전년 동월(1,900만 톤) 대비 9.8% 증가 2,086만 톤을 기록하였다.

 

 

 - 울산항은 신차 수출 호조와 친환경 자동차 수출 물동량이 증가하였으나, 원유의 수입 물동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년 동월(1,627만 톤) 대비 7.2% 감소 1,510만 톤을 기록하였다.

 

 - 인천항은 유류 및 광석 관련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844만 톤) 대비 5.7% 증가 892만 톤을 기록하였다.

 

 - 평택·당진항은 유류 물동량이 감소하고 제철관련 제품(광석, 철재 등) 감소하여 (856만 톤) 대비 5.6% 감소809만 톤을 기록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원유, 석유정제품, 석유가스 등) 유연탄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4%, 11.7% 감소하였고, 광석 자동차 전년 동월 대비 각각 4.9%, 57.5% 증가하였다.

 

 - 유류는 광양항과 울산항의 원유 수입 물동량 감소와 평택·당진항, 마산항의 석유가스 수입 감소 등으로 전년 동월(3,701만톤) 대비 2.4% 감소 3,613만 톤을 기록하였다.

 - 광석은 철강제품 주요 생산기지가 있는 포항항과 평택·당진항의 광석 수입 물동량은 감소하였으나, 광양항 물동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1,081만톤) 대비 4.9% 증가 1,134만 톤을 기록하였다.

 

 - 유연탄은 광양항과 포항항의 제철용 원료탄 물동량 감소와 화력발전소가 소재한 일부 항만(태안항, 하동항 등)의 유연탄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982만 톤) 대비 11.7% 감소867만 톤을 기록하였다.

 

 - 자동차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의 북미 및 유럽시장 물동량 증가와 자동차부품 수출 물동량 증가로 전년 동월(567만 톤) 대비 57.5% 크게 증가 893만 톤을 기록하였다.

 

 

 박영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지만, 백신 보급 확대와 주요국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으로 인해 수출입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최근 글로벌 ‘물류 적체 현상 및 선복 부족 등이 연쇄적으로 작용하여 국내 항만 터미널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컨테이너 장치율 및 항만 물동량 흐름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출화물 반출입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터미널 운영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농촌진흥청, 인공지능 이용 농생명 빅데이터 활용 방안 모색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 김병석 연구정책국장은 3월 18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통합 플랫폼 기업 ㈜더존비즈온(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을 방문, 농업 연구현장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민관 연구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더존비즈온은 인공지능(AI) 기반 법인세무조정 혁신을 통해 회계 담당·임직원의 업무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회계업무 체계를 바꾼 국내 대표적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이다. 최근에는 기업 업무를 도와주는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원AI*)를 기반으로 기존에 없던 회계업무 체계를 선보이는 등 혁신적 업무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원AI: 기업내 데이터를 학습하여 회계, 세무, 인사, 이메일, 전자결제 등 업무처리 지원 김 국장은 “최근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해 업무 효율을 높이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라며 “농촌진흥청도 생성형 인공지능을 적극 이용해 농업 연구 현장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 또는 이용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농업인 및 관련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국장은 농촌진흥청이 진행하고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
국산 목재 활용해 건축문화 선도하는 국립자연휴양림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김명종)는 19일 전국 국립자연휴양림 시설에 국산 목재를 적극 활용하여 목조건축 활성화와 친환경 건축 문화 선도에 앞장서고 있다고 밝혔다. 목조건축은 다른 건축물과 비교해 탄소 저감 효과가 뛰어난 친환경 건축 방식으로 나무의 생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이를 건축 자재로 활용하면 오랜 기간 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 목조주택은 약 17~34톤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19평 규모의 목조주택이 상쇄하는 탄소 배출량은 승용차 18대의 연간 배출량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서(2022)」 또한, 시설 이용 측면에서도 습도 조절과 단열 효과가 뛰어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휴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는 신규로 조성하는 휴양림(금산, 감악산, 백양산)과 시설 개선 중인 기존휴양림(낙안민속, 상당산성, 청태산, 중미산)에 다양한 형태의 목구조 건축과 목재 가구류를 도입하고 있다. 특히, 신규로 조성하는 백양산자연휴양림(부산광역시)은 목재의 장점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