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고망간강’의 LNG 선박 적용 국제표준화 첫 걸음 이끌어

해수부, 국제해사기구 위원회에서 9개 관계기관ㆍ업계와 공동 대응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국제해사기구(IMO*)7차 화물컨테이너 운송 전문위원회(9. 6.~10.)에서 포스코() 독자개발한 고망간강**을 액화천연가스 운송 선박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국제협약 개정()에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 해사안전, 해양환경보호 등과 관련된 국제규범 제·개정, 이행을 촉진하는 UN산하 전문기구(정회원: 174개국, 준회원: 3개국)

  ** 고망간강 : 극저온(–165℃)에서도 파손되지 않고 인장강도(引張强度)와 같은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여 친환경 선박의 액화천연가스 화물탱크 등에 사용

 

 

  지금까지 영하 165도의 극저온에서 사용하는 화물탱크, 파이프 등은 9% 니켈강 4*의 소재만을 사용하였는데, 이번 전문위원회를 통해 우리 기업에서 개발한 고망간강도 사용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 9% 니켈강, 오스테나이트강, 알루미늄합금, 오스테나이트 Fe-Ni 합금강

 

  고망간강은 기존 소재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하여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며, 탄소연료에서 친환경 연료로 국제적인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기에 발맞춰 친환경 화물운송 및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탱크 및 파이프 소재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고망간강의 사용이 확대될 경우 2025년까지 국내 관련 산업계에 약 2.7조 원의 경제적 이익 창출 기대(포스코() 추산)

 

  이번 국제협약* 개정()은 내년 4월에 열릴 예정인 ‘105IMO 해사안전위원회에서 승인된 후 같은 해 12월에 ‘106차 위원회에서 채택이 되면 20281월경 공식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

 

   * IGC Code : International Code for the Construction and Equipment of Ships Carrying Liquefied Gases in Bulk(액화가스운반선의 구조 및 설비에 관한 국제코드), IGF Code : International Code of Safety for Ships using Gases or other Low-flashpoint Fuels(가스 또는 저인화점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안전에 관한 국제코드)

 

  앞서, 201812월 해양수산부는 IMO의 가이드라인으로 고망간강 임시사용 지침*을 마련하여 국제협약 개정 전이라도 국가의 선택에 따라 고망간강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 극저온용을 위한 고망간강 오스테나이트강 적용 임시지침(Guidelines on the Application of High Manganese Austenitic Steel for Cryogenic Service. ’18.12.)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920()부터 24()까지 IMO ‘71차 기술협력위원회에 참석하여 개발도상국의 해기사 양성을 위한 승선실습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참여와 협력을 요청하는 등 국제 해상안전 강화를 위한 우리나라의 역할 및 노력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 IMO 승선실습 프로그램 개요

 

 

 

 (기간 / 규모) 2021. 10. 27. ~11. 26.(1개월, 자가격리 14일 포함) / IMO 통합기술협력프로그램(ITCP) 기금 10만 불 지원

 

 (주요내용)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및 태국 실습해기사를 초청(22)하여 승선실습 실시(한국해양수산연수원 실습선 활용)

 

 

  명노헌 해양수산부 해사안전국장은 우리 기업이 개발한 고망간강을 통해 국제적인 친환경 연료 전환 추세에 앞장설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며, “아울러, 지난 727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주영국대한민국대사관 겸 주국제해사기구대한민국대표부로 확대ㆍ개편한 것을 계기로, 앞으로도 국제해사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신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며 국제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농업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경국대학교, 경북대학교,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기준 설명회 개최 … 축산데이터 활용 활성화 계기 마련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2일, 세종시 본원에서 장비 및 설루션 업체를 대상으로 축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등록·연계 기준 및 데이터 활용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 축사 센서 및 사양관리 기기 기준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 △장비 인터페이스 기준 개정 내용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추진 방향 설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플랫폼 내 데이터 광장·데이터랩 등 활용법을 시연해 업체의 이해를 높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속적인 장비 보급 독려를 통해 축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축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비를 통해 확보되는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농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번 설명회가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장비 개발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스마트농업지원센터(

식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