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3 (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대전 24.5℃
  • 대구 28.9℃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흐림고창 25.6℃
  • 흐림제주 29.7℃
  • 흐림강화 22.9℃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5.4℃
  • 흐림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국토교통

’22년 2분기 사망사고 발생 상위 100대 건설사 명단 공개

- 1명 이상 사망사고 발생 발주청 9개소, 시·군·구 25개소-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22년 2분기 중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 및 관련 하도급사, 발주청, 지자체 명단을 22일 공개하였다.

 

 국토교통부가 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CSI) 통계를 분석한 결과, ’22년 2분기 중 건설사고 사망자는 총 44명이다.

 

  이 중 100대 건설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9명으로, 전 분기 14명 대비 5명(△35.7%), 전년 동기 20명 대비 11명(△55%) 감소하였다.

 

[표1] ‘22년 2분기 건설사고 사망자 발생현황

구 분

공공공사

민간공사

합계

100대 건설사

1

8

9

100대 건설사 외

8

27

35

합 계

9

35

44

 

 사망사고가 발생한 100대 건설사는 총 8개사이며, 에스케이에코플랜트의 2개 현장에서 각 1명씩,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

 

  이어, 대우건설, 롯데건설, 디엘이앤씨, 두산건설, 한라, 씨제이대한통운, 강산건설에서 각 1명씩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 특히 디엘이앤씨에서는 3분기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였다.

 

  사망사고가 발생한 공종의 하도급사는 에스케이임업, 동흥개발, 네존테크, 강구토건, 조형기술개발, 현대알루미늄, 종합건설가온, 와이비씨건설 등 8개 사이다.

 

[표2] 상위 100대 건설사(하도급사 포함) 사망사고 발생현황(’22.4∼6월)

시공사

시평

순위

(‘21년)

사고

종류

사망자

(명)

사고일

공 사 명

원도급

하도급

에스케이

에코플랜트

에스케이임업

10

깔림

1

6.1

인천 서구 주상복합 신축공사

맞음

1

5.13

수도권광역급행철도A노선 민간투자시설사업 건설공사

동흥개발

대우건설

네존테크

5

추락

1

4.19

해운대 우동 주상복합 신축공사

롯데건설

시공사

직영

7

익사

1

6.30

용인 보정동 공동주택 개발사업

디엘이앤씨

강구토건

8

끼임

1

4.6

과천지식산업센터 신축공사

두산건설

조형기술개발

28

깔림

1

5.24

임동(유동) 도시환경정비사업

한라

현대알루미늄

29

깔림

1

4.25

성남 업무시설 신축공사

씨제이

대한통운

종합건설가온

46

깔림

1

5.10

제주 관광호텔 신축공사

강산건설

와이비씨건설

95

찔림

1

4.22

화성 도시형 생활주택 신축공사

 

 ’22년 2분기 중 공공공사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9명이며, 민간공사는 35명이다. 공공공사의 발주청은 9개 기관으로, 이 중 에스지레일이 발주한 공사현장에서 2분기 연속 사망사고가 발생하였다.  

 

[표3] 발주청별 사망사고 발생현황(’22.4∼6월)

발주청

사망자

(명)

사고일

공 사 명

대구광역시 달성 교육지원청

1

5.6

서재중학교 급식시설 개선공사

에스지레일

1

5.13

수도권광역급행철도A노선 민간투자시설사업 건설공사

충청남도 산림자원연구소

1

5.16

덕산도립공원 주민 생활환경 개선공사

창원시상수도사업소

1

5.19

예곡가압장 개선사업

서울특별시립강동노인종합복지관

1

5.19

덤웨이터 쉬브 수리

강원도 고성군 상하수도사업소

1

5.20

송죽리 오수관로 정비공사

전라북도 도로관리사업소

1

5.26

위임국도 13호선 진안 삼락 위험도로 개선사업

경상북도 성주군 상하수도사업소

1

6.8

성주군 가천면 급수구역 확장사업

경기도 안양과천 교육지원청

1

6.9

안양 호암초 다목적체육관 증축공사

 

   ’22년 2분기 민간공사의 사망사고가 가장 많았던 인·허가기관은 화성시로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화성시에서는 지난 분기에도 가장 많은 사망자(4명)가 발생하였다.

 

[표4] 인·허가 기관 별 사망사고 발생현황 (’22.4∼6월)  

지역

사망자

인·허가기관 현황

경기도

11

화성시(3명), 용인시(2명), 과천시. 성남시, 파주시, 양평군,
안양시. 고양시(각 1명)

충청남도

3

천안시(2명). 금산군(1명)

서울특별시

2

동작구, 중랑구(각 1명)

부산광역시

2

해운대구, 기장군(각 1명)

인천광역시

2

서구, 연수구(각 1명)

충청북도

2

음성군, 청원구(각 1명)

제주특별자치도

2

제주시(2명)

 ※ (1인 사망 지자체, 총 6개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광주광역시 북구, 함양군, 경주시, 춘천시, 광양시. 민간공사 중 5명의 사망자는 인·허가기관이 없는 직영공사 등에서 발생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 1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건설사(7개사)와 관련 하도급사(6개사)의 133개 현장을 대상으로 금년 4~6월까지 3개월간 불시점검을 실시하였다.

 

  특히, 4분기 이상 연속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한 현대건설과 중대한 건설사고가 발생한 HDC현대산업개발의 일부 현장(현대건설 5개소, HDC 현대산업개발 4개소)에 대해서는 점검 기간을 확대하고 추가 인력을 투입하는 정밀점검을 실시하였다.

 

  - 점검결과, 총 245건의 부실사항을 적발하였으며, 특히 정밀점검을 실시한 9개 현장에서 벌점 3건, 과태료 5건 등 69건의 부실사항을 적발하였다. 

 

  - 이 중 품질시험계획을 누락하거나, 부적정하게 품질시험을 실시하는 등 법령을 위반한 건에 대해서는 이의제기 절차를 진행한 뒤 벌점, 과태료 등을 처분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서 9월까지 특별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농업

더보기

축산

더보기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