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10월 가뭄 예‧경보 발표

- 향후 3개월 기상가뭄은 정상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전국 댐‧저수지 저수율 예년 수준 이상 유지

정부는 10월 15일,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한 예·경보를 발표하였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의 136.4%(1468.7㎜)로, 기상가뭄 상황은 전국적으로 정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최근 6개월(’23.4.5.~’23.10.4.)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 >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

1468.7

1218.1

1155.2

1106.7

1252.2

1505.7

1536.5

1668.8

1518.5

1332.6

1785.5

1445.3

평년비 (%)

136.4

109.0

103.8

96.7

117.9

145.2

148.4

157.6

139.3

142.2

146.3

118.2

평년값 (㎜)

1079.1

1117.4

1122.1

1151.9

1062.4

1037.3

1032.6

1061.0

1094.2

929.7

1218.7

1221.0

 

  10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11월과 12월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기상가뭄은 정상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평년비슷범위(㎜): (10월) 37.0∼64.3, (11월) 30.7∼55.1, (12월) 19.8∼28.6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84.2%로 평년(67.6%)의 124.6%로 높고, 도별 평년 대비 저수율도 110.5%(강원) ~ 127.4%(충남)로 평년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 전국 및 시도별 저수지 평균 저수율 현황(10.4. 기준) >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저수율

(%)

‘23.10.04.

84.2

85.6

86.2

91.8

88.3

84.5

76.7

87.4

84.3

‘23.09.04.

81.0

79.4

83.9

81.5

78.1

83.4

76.4

82.4

87.0

전월대비(%)

↑3.2

↑6.2

↑2.3

↑10.3

↑10.2

↑1.1

↑0.3

↑5.0

↓2.7

평년대비(%)

124.6

112.5

110.5

127.3

127.4

126.9

127.0

125.3

123.4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의 저수율은 각각 예년의 126%, 117% 수준이다.

 

  현재 모든 댐이 ‘정상’ 관리 중이며, 정부는 앞으로도 댐 수문현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추후 가뭄단계 신규 진입 시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에 따라 체계적‧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 전국 다목적댐 · 용수댐 저수량 현황(10.4. 기준) >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 체

한 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

(백만㎥)

‘23.10.04.

9,839

4,151

2,744

1,823

873

248

311

‘23.09.04.

9,301

3,953

2,555

1,712

860

221

303

전월대비(백만㎥)

↑538

↑198

↑189

↑111

↑13

↑27

↑8

예년대비(%)

126

116

146

121

133

118

117

 

  일부 도서·산간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 표4 >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10.3. 기준)

 

구 분

비상급수 현황

전월 대비

합  계

 6개 시·군·구 38개소(4,344명)

(추가) 4명

도서지역

 4개 시·군·구* 36개소(4,190명)

 * 인천 중구‧옹진군, 전남 진도군, 경남 통영시

-

산간지역

 2개 시·군·구* 2개소(154명)

 * 강원 홍천군, 경북 안동시

(추가) 강원 홍천군

 

 앞으로도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뭄 상황을 매주 정례적으로 점검하면서 가뭄 예‧경보를 매월 발표하고, 가뭄 예방대책을 지속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농업

더보기
‘그린바이오 미생물 산업화’ 생태계 기반 조성 노력
농촌진흥청은 7월 3일부터 이틀간 경북 안동에 있는 국립경국대학교에서 ‘2025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를 열고, 농업미생물자원의 전략적 활용과 산업화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농업미생물자원 관리기관 공동 연수회는 농업미생물자원의 다양성 확보, 보존 체계 구축, 자원 활용을 목적으로 2021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올해는 미생물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된 전국 10개 기관*이 참여해 ‘농업미생물자원의 산업적 다각화’를 주제로 단계별 전략을 모색했다. * 중앙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성균관대학교, 군산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경국대학교, 경북대학교, 농축산용미생물산업화육성지원센터,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이번 연수회에서는 기관별 자원 운영 현황을 발표하고 관리 체계 장점과 보완점을 논의하는 형식으로 진행했다. 또한, 최근 관심이 높은 기능성 미생물, 환경친화적 미생물 소재 개발과 활용 등을 포함해 실효성 높은 다양한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은 기관 간 상호 활발한 교류와 토의가 이어지면서 자원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자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미생물 산업화 전략 수립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기준 설명회 개최 … 축산데이터 활용 활성화 계기 마련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7월 2일, 세종시 본원에서 장비 및 설루션 업체를 대상으로 축산업 데이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장비 등록·연계 기준 및 데이터 활용 설명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스마트 축사 센서 및 사양관리 기기 기준 △축산분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장비 규격 및 서비스 기준 △장비 인터페이스 기준 개정 내용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추진 방향 설명 등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장비에서 확보된 데이터를 연계하는 ‘스마트축산 빅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현황을 공유하고 플랫폼 내 데이터 광장·데이터랩 등 활용법을 시연해 업체의 이해를 높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속적인 장비 보급 독려를 통해 축산업의 데이터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스마트축산의 궁극적인 목표는 장비를 통해 확보되는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해 농가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이번 설명회가 데이터 확보 및 활용에 중점을 둔 장비 개발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지난 17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지정한 ‘스마트농업지원센터(

식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