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특집

2월 가뭄 예‧경보 및 국가가뭄정보통계 발표

- 향후 3개월 기상가뭄 정상, 전국 댐‧저수지 저수율 예년 수준 이상 유지
- 통계 기반의 가뭄관리를 위한 ‘2022년 국가가뭄정보통계’ 발표

 정부는 2024년 2월부터 4월까지 전국 가뭄 상황에 대해, 저수율이 예년 수준을 상회하는 등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고 통합 예․경보를 발표하였다.

 

 최근 6개월 전국 누적 강수량은 평년(1991~2020년)의 120%(713.2㎜)로, 기상가뭄 상황은 전국적으로 정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최근 6개월(’23.8.2.~’24.2.1.) 전국 누적 강수량 현황 >

 

구  분

전국*

서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

713.2

605.8

729.3

579.3

1029.4

704.5

722.1

717.6

594.2

684.7

858.9

562.3

평년대비 (%)

120

106

111

96

141

126

123

118

100

131

136

74

평년값 (㎜)

593.7

573.2

649.2

611.9

723.8

561.2

584.0

608.4

594.7

527.4

635.8

771.0

   * 전국 : 각 지점별 강수량의 총합을 전국 지점수(제주를 제외한 62개)로 나눈 값

 

  2월과 4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겠고, 3월은 평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기상가뭄은 정상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평년비슷범위(㎜): (2월) 27.5~44.9, (3월) 42.7~58.5, (4월) 70.3~99.3

 

 농업용 저수지 전국 평균 저수율은 88.0%로 평년(’94~’23년, 73.0%) 대비 120.5%로 높다. 지역별로도 110.7%(경기) ~ 124.8%(전남)로 평년 수준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 전국 및 시도별 평균 저수율 현황(‘24.2.1. 기준) >

 

구 분

전국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저수율

(%)

‘24.2.1.

88.0

93.9

93.4

93.9

94.1

88.1

80.9

89.3

87.7

‘24.1.2.

87.3

91.3

91.4

93.4

93.2

88.5

79.4

88.8

86.9

전월대비(%p)

↑0.7

↑2.6

↑2.0

↑0.5

↑0.9

↓0.4

↑1.5

↑0.5

↑0.8

평년대비(%)

120.5

110.7

112.0

118.1

112.7

123.4

124.8

123.9

123.2

 

생활·공업용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 20곳과 용수댐 14곳의 저수율은 각각 예년*의 152%, 139% 수준인 등 현재 모든 댐이 정상 관리 중이다.

 

    * 댐을 준공한 이후부터 전년(‘23년)까지 관측된 저수량의 평균값

 

< 전국 다목적댐 · 용수댐 저수량 현황(’24.2.1. 기준) >

 

구 분

다목적댐

용수댐

전 체

한 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기타

저수량

(백만㎥)

‘24.2.1.

9,399

4,015

2,490

1,772

884

238

276

‘24.1.2.

9,592

4,142

2,580

1,748

883

239

293

전월대비(백만㎥)

↓193

↓127

↓90

↑24

↑1

↓1

↓17

예년대비(%)

152

144

168

143

165

146

139

 

 다만, 일부 섬 지역은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운반급수 등 비상급수를 실시하고 있다.

 

  < 생활용수 비상급수 현황(‘24.2.1. 기준) >

 

구 분

비상급수 현황

섬 지역

 4개 시·군·구* 36개소(4,189명)

 * 인천 중구‧옹진군, 전남 진도군, 경남 통영시

 

 또한, 정부는 국가승인통계인 「2022년 국가가뭄정보통계(관계부처 합동*)」를 2월 13일부터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표하고, 보다 자세한 통계자료를 수록한 통계집도 관계기관 누리집을 통해 제공한다.

 

    * 행정안전부(국립재난안전연구원),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어촌공사), 산업통상자원부(한국수력원자력), 환경부(한국수자원공사), 기상청, 농촌진흥청(국립농업과학원)

 

  국가가뭄정보통계집은 2022년* 한 해 발생한 가뭄의 특성과 현황, 피해, 대응, 복구에 대한 주요 통계를 수록하였다. 정부‧지자체는 이를 정책 수립과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 다음해(D+1) : 자료수집 및 분석, 관련부처 의견수렴, 다다음해(D+2년)2월 : 발간

 

 박형배 자연재난대응국장은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뭄 상황을 매주 면밀하게 점검하면서 가뭄 예방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라며,

 

 아울러, “2020년 이후 매년 발간하고 있는 국가가뭄정보통계집을 통해 국민에게 정확한 가뭄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가뭄 대비에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농업

더보기
재배 쉽고 수확량 많은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24’ 개발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최근 느티만가닥버섯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을 한층 높인 하얀색 품종 ‘백마루24’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느티만가닥버섯은 신선도가 오래 유지되고 조리 활용도*가 높아 성장 잠재력이 큰 품목이다. 하지만, 갈색 품종에서 분리된 하얀색 품종(변이종)은 재배 안정성이 떨어지고 관리가 까다로워 생산에 차질을 빚어왔다. * 느티만가닥버섯은 팽이버섯보다 머리가 크고 대가 굵어서 오독오독 씹는 맛이 좋음. 찌개, 볶음, 구이용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일본에서는 매우 대중적인 버섯임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2021년 개발한 흰색 느티만가닥버섯 ‘백마루’를 기반으로, 수량성과 균일성을 한층 강화한 ‘백마루24’를 새롭게 육성했다. ‘백마루24’는 흰색을 뜻하는 ‘백(白)’과 하늘의 순우리말 ‘마루’를 합친 기존 이름에, ‘개발 연도(2024년)’와 ‘24시 편의점’처럼 언제나 고르게 생산되는 모습을 형상화해 붙인 이름이다. 버섯 재배 속도가 고르고, 수확할 때 크기와 모양 편차가 적어 상품성이 높다. 특히, 균사 활력이 뛰어나 기존 상용 품종(80∼90일)보다 약 10일 빠른 70일 만에 버섯을 배양해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축산

더보기
축산물품질평가원,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서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 선보인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은 9월 10일부터 12일까지 대구 엑스코에서 열리는 ‘2025 한국국제축산박람회’에 참여한다. 이곳에서 인공지능 기반 품질 평가, 스마트축산 등 다양한 주제로 국민을 만날 예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축산생산자단체 6곳이 주최하고 233개 업체가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축산의 고유가치와 디지털 이행’을 주제로 진행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스마트축산에서 인공지능까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만드는 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현장에서 △스마트축산의 주요기술 △스마트축산의 주요 성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품질 분석 과정 △인공지능 기술 도입 후 품질평가 관련 주요 성과 등을 소개한다. 또한, 스마트축산 퀴즈 이벤트를 마련해 관람객이 정답을 맞히는 경우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할 계획이다. 관람객들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 방문 후, 스마트축산과 인공지능 기반 품질평가에 대한 설명을 듣고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면 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박병홍 원장은 “이번 축산박람회가 축산 관계자를 비롯한 많은 국민들이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축산유통 전문기관으로서 인공지능 전환 시대에 발맞춘 기술 활용으로 소비자에게

식품

더보기

산림

더보기